$\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침입외래식물인 가시박과 털물참새피에 의하여 교란된 하안식생
The Riparian Vegetation Disturbed by Two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in South Kore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2 no.3, 2015년, pp.255 - 263  

이창우 (국립생태원 위해생물연구부) ,  김덕기 (국립생태원 위해생물연구부) ,  조현석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효혜미 (국립생태원 위해생물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하안역에서 외래식물 침입은 고유식물을 대체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이다. 우리나라 고유 하안식생에 침입하는 두가지 주요 침입외래종인 가시박 (Sicyos angulatus)과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가 고유 하안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두 식물이 침입한 전국 하천의 22개 조사지점에서 식물상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가시박은 한반도 중부지방에 주로 침입하였다. 이 외래식물은 수로를 따라서 왕성하게 덩굴을 형성함으로써 제방 사면과 높은 고수부에서 교관목과 장경 초본의 고유식생을 피압하여 하천관리자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초본식물이다. 털물참새피는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 얕은 지하경과 왕성하게 분지하는 포복경을 가지고 있는 이 침입식물은 정체되거나 유속이 느린 물 위를 덮는 치밀한 매트를 형성하여 경쟁력이 약한 고유 침수식물이나 단경 정수식물을 위협하였다. 하천 하안지역에서 새로운 침입종의 도입을 방지하고 침입한 외래종을 방제하여 고유 하안식생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이곳에서 인위 교란을 방지하고 적절한 외래식물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logical invasion of alien plant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serious threats to biodiversity in riparian zones. The effect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on the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riparian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가시박과 털물참새피가 침입한 하천 수변부에서 식생 구조를 조사하여 이들 침입외래식물에 의하여 변형된 수변부 식생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합리적 식생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안역이란 무엇인가? 하안역 (riparian zone)은 하천을 따라서 형성된 계절적 또는 간헐적으로 범람하는 지역이다. 하안역은 홍수 저감, 수질 정화, 퇴적 완충, 지하수 재충전, 야생생물 서식지로서 기능을 제공한다 (Naiman and Décamps 1997).
털물참새피의 습지지수는 어떠한가? 2002, Stroh 2006). 이 식물의 습지지수는 임의습지 (facultative wetland) 또는 절대습지 (obligate wetland)이다 (USDA 2015).
하안역이 제공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하안역 (riparian zone)은 하천을 따라서 형성된 계절적 또는 간헐적으로 범람하는 지역이다. 하안역은 홍수 저감, 수질 정화, 퇴적 완충, 지하수 재충전, 야생생물 서식지로서 기능을 제공한다 (Naiman and Décamps 1997). 이곳에 분포하는 하안 식생은 종횡적 하천 환경의 이질성에 의하여 생물다양성이 높고 홍수 교란에 의존적인 초기 천이단계의 특성을 보인다 (Masters and Sheley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guiar, F.C., Ferreira, M.T., Albuquerque, A. and Bernez, I. 2005. Invasibility patterns of knotgrass (Paspalum distichum) in Portuguese riparian habitats. Weed Technology 19: 509-516. 

  2. Asaeda, T., Rashid, M.H., Kotagiri, S. and Uchida, T. 2011. The role of soil characteristics in the succession of two herbaceous lianas in a modified river floodplain.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7: 591-601. 

  3.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4. Choung, Y.S., Lee, Y.T., Cho, K.H., Joo, K.Y., Min, B.M., Hyun, J.O. and Lee, K.S.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Chuncheon, Korea. (in Korean) 

  5. EPPO. 2010. EPPO data sheet on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Bulletin OEPP/EPPO Bulletin 40: 401-406. 

  6. Gonzalez, E., Sher, A.A., Tabacchia, E., Masip, A. and Pouline, M. 2015.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A global review of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pproaches in the international, peerreviewed liter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58: 85-94. 

  7. Greenway, M., Dale, P. and Chapman, H. 2003. An assessment of mosquito breeding and control in 4 surface flow wetlands in tropical-subtropical Australia. Water Science & Technology 48: 249-256. 

  8. Hashimoto, Y. 2010. Impact of the single cutting in summer on species composition, coverage and species richness in Sicyos angulatus community in the alien species-rich river through the urban area in Japan. Landscape Research Japan Online 3: 32-38. (in Japanese) 

  9. Hsiao, A.I. and Huang, W.Z. 1989. Effects of flooding on rooting and sprouting of isolated stem segments and on plant growth of Paspalum distichum L. Weed Research 29: 335-344. 

  10. KNA. 2015. The Korean Plant Names Index. Korea National Arboretum. http://www.nature.go.kr/kpni/. Accessed 1 March 2015. (in Korean) 

  1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2. Liendoa, D., Biurruna, I., Camposa, J.A., Herreraa, M., Loidia, J. and Garcia-Mijangos, I. 2015. Invasion patterns in riparian habitats: The role of anthropogenic pressure in temperate streams. Plant Biosystems 149: 289-297. 

  13. Manuel, J.S. and Mercado, B.L. 1977. Biology of Paspalum distichum. I. Pattern of growth and asexual reproduction. Philippine Agriculturist 61: 192-198. 

  14. Masters, R.A. and Sheley, R.L. 2001.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managing rangeland invasive plants. Journal of Range Management 54: 502-517. 

  15. NIE. 2014.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 (I).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in Korean) 

  16. NIER. 2012. Invasive Alien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17. Noda, K. and Obayashi, H. 1971. Ecology and control of knotgrass (Paspalum distichum). Weed Research, Japan 11: 35-39. (in Japanese) 

  18. Naiman, R.J. and Decamps, H. 1997. The ecology of interfaces: Riparian Zon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8: 621-658. 

  19. Oksanen, J. 2013.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in R: Vegan Tutorial. http://cc.oulu.fi/-jarioksa/opetus/metodi/vegantutor.pdf. Accessed 1 April 2015. 

  20.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21. R Development Core Team. 2013.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Accessed 1 April 2015. 

  22. Richardson, D.M., Holmes, P.M., Esler, K.J., Galatowitsch, S.M., Stromberg, J.C., Kirkman, S.P., Pysek, P. and Hobbs, R.J. 2007. Riparian vegetation: degradation, alien plant invasions, and restoration prospec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3: 126-139. 

  23.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USA. 

  24. Shin, D.H. and Cho, K.-H. 2001.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with geomorphology and disturbance in the riparian zone of Seunggi Stream, Incheon. Korean Journal of Ecology 24: 273-280. (in Korean) 

  25. Stohlgren, T.J., Bull, K.A., Otsuki, Y., Villa, C.A. and Lee, M. 1998. Riparian zones as havens for exotic plant species in the central grasslands. Plant Ecology 138: 113-125. 

  26. Stroh, H.G. 2006. Contribution to the ephemeral wetland vegetation along riverbanks and lakeshores of Western Thrace (NE Greece). Tuexenia 2006: 353-388. 

  27. Uchida, T., Nomura, R., Asaeda, T. and Rashid, M.H. 2012. Co-existence of Sicyos angulatus and native plant species in the floodplain of Tama River,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4: 336-347. 

  28. USDA. 2015. Plants Databas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http://plants.usda.gov/. Assessed 5 July 2015. 

  29. Van Lill, W.S., Kruger, F.J. and van Wyk, D.B. 1980. The effect of afforestation with Eucalyptus grandis Hill ex Maiden and Pinus patula Schlecht & Cham on stream flow from experimental catchments at Mokobulaan, Transvaal. Journal of Hydrology 48: 107-118. 

  30. Yang, Y.H., Song, C.K., Park, S.H. and Kim, M.H. 200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genus Paspalum L. Journal of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18: 37-41. (in Korean) 

  31. Zavaleta, E., Hobbs, R.J. and Mooney, H.A. 2001. Viewing invasive species removal in a wholeecosystem context.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6: 454-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