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산부 흉부촬영 시 복부차폐의 적정성 평가
Adequacy Assessment to Abdomen Shield of Pregnant X-ray Chest PA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7 no.4, 2015년, pp.207 - 212  

김기진 (건양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김가중 (극동대학교 방사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performing Chest x-ray examination to pregnant woman, normally we shield back side of abdomen. In this situation, scattered rays made by equipment and surrounding structure can enter front side of abdome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 suitability of abdomen shield especially to pregn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가 진단용 방사선 검사가 전자파보다 유해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가 되었다[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산부의 흉부 촬영 시 발생되는 산란선이 차폐가 되지 않는 복부전면으로 입사가 되는지 확인하고 일반적으로 복부차폐를 시행하는 방법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복부전면으로 입사되는 산란선은 평균 0.
  • 따라서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임산부의 흉부 방사선 촬영 시 태아의 방사선 피폭을 방지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이 납치마를 이용하여 복부부위를 차폐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복부부위의 납치마는 X선 튜브에서 발생되는 1차선(Primary ray)의 차폐목적보다도 영상을 묘출하는 과정 중 X선과 환자와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해 광전효과(Photon effect), 컴퓨턴 산란(Compton scatter), 후방산란(Back Scatter)등의 여러 물리적 현상에 의해 발생 된 산란선(Secondary ray)을 차폐하기 위한 목적이다. 국내 대학병원 일반촬영실의 임산부 흉부 촬영 시 납치마 사용 방법을 확인한 결과 6개 병원 모두 등 뒤에만 납치마를 위치하게 하여 촬영을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산부 흉부촬영 시 복부 전면으로 입사되는 산란선의 존재유무와 임상에서 흔히 이루어지는 복부 차폐의 방법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 만약 1차 X선이 촬영장비와 검사실 벽면과의 상호작용으로 발생된 산란선이 임산부의 복부로 향한다고 가정할 경우 그림 1과 같이 납치마를 후면에만 위치할 경우 전면 복부의 방사선에 의한 차폐는 고려하고 있지 않아 복부전면 즉 태아의 방사선피폭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산부의 흉부 방사선 촬영 시 일반적으로 복부차폐를 하는 방법에 대하여 적합성을 평가하고 임산부의 흉부 방사선 촬영 시 발생되는 복부 방사성 피폭 저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부부위의 납치마의 주된 목적은? 따라서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임산부의 흉부 방사선 촬영 시 태아의 방사선 피폭을 방지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이 납치마를 이용하여 복부부위를 차폐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복부부위의 납치마는 X선 튜브에서 발생되는 1차선(Primary ray)의 차폐목적보다도 영상을 묘출하는 과정 중 X선과 환자와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해 광전효과(Photon effect), 컴퓨턴 산란(Compton scatter), 후방산란(Back Scatter)등의 여러 물리적 현상에 의해 발생 된 산란선(Secondary ray)을 차폐하기 위한 목적이다. 국내 대학병원 일반촬영실의 임산부 흉부 촬영 시 납치마 사용 방법을 확인한 결과 6개 병원 모두 등 뒤에만 납치마를 위치하게 하여 촬영을 하였다.
일반촬영의 특징은 무엇인가?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 전산화단층촬영(Comuted Tomograph, CT),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ce Imaging, MRI), 일반촬영(General Radiography)등 여러 영상기법이 사용이 된다. 이중 일반촬영은 상대적으로 CT에 비해 피폭이 현저히 낮고, 다른 사진에 비해 촬영이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현재 의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1]. CT에 비해 방사선피폭이 낮다 하더라도 방사선을 이용한 영상촬영이기 때문에 1996년 2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Safety Series No.
일반촬영이 1996년 2월 국제원자력기구의 Safety Series No.115에서 권고를 받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중 일반촬영은 상대적으로 CT에 비해 피폭이 현저히 낮고, 다른 사진에 비해 촬영이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현재 의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1]. CT에 비해 방사선피폭이 낮다 하더라도 방사선을 이용한 영상촬영이기 때문에 1996년 2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Safety Series No.115에서 권고를 하였다. 일반촬영 중 흉부 방사선 촬영(X-ray Chest PA)은 일반 X선 검사 중 가장 횟수가 많은 검사로서 전체 방사선검사의 30∼60%를 차지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im, Y.Y. et al.(2013) "Evaluation of Cancer Detection Efficiency by Means of Hybrid and Inverse Filter in Chest Radiography." Korea Society of Radiology Science, 36(4):319-326. 

  2. Lee, I.J. Kim, Y.H. Lee, C.N. et al. (2009), "Evaluation of Image According to Exposure Conditions using Contrast-Detail Phantom for Chest Digital Radiograph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2(1):25-32 

  3. Gil, J.W. Park, J.H. Park, M.H. et al,(2014) "Estimated Exposure Dose and Usage of Radiological Examination of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39(3):142-149. 

  4. Donnelly, E.H. Smith, J.M. Farf?n, E.B. Ozcan, I.(2011) "Prenatal radiation exposure: background material for counseling pregnant patients following exposure to radiation." Disaster Med Public Health Prep, 5(1):62-68, 

  5. Cho, H.C.(2004) "Study on perception and behavior abou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Measurement of radiation dose for workers who work in the angiography room."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6. NCRP,(1987) "Ionizing Radiation Exposures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 States,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 MCRP Publication 93. 

  7. Akio, S.(2006) "About the outline about the radiation pamphlet for the citizen." 4th Th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f KTJ Radiological Technologists. 

  8. Park, J.K. (2005) "Gynecologic Patient's Recognition of Radiation Exposure in Gyeongbuk Area."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8):176-187. 

  9. IAEA Safety Series No.115,(1996) "International Basic Safety Standards for protection against Ionizing Radiation and for the safety of Radiation Sourc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