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대산국립공원 신성암~중대사 전나무림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Community from Sinseongam to Jungdaesa in Odae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6, 2015년, pp.895 - 906  

김동욱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종엽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염정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 신성암에서 중대사 구간을 대상으로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향후 전나무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총 20개 조사구($400m^2$)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지 주변지역에 대한 현존식생 현황을 파악하였고, 군집분류는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 분석을 하였으며, 식물군집구조 분석은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별 분포, 표본목 수령 및 생장량, 종다양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현존식생 유형은 총 1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해발고가 낮은 계곡부에는 전나무-신갈나무림과 낙엽활엽수림이, 해발고가 높은 사면부에는 신갈나무림이 주요 식생이었다. 군집분류 결과, 총 네 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교목층에서는 네 개의 군집 모두 전나무가 우점하였고, 군집 IV를 제외한 3개 군집에서 전나무가 차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군집 I, II, III의 경우 전나무가 우점하는 현재의 군집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까치박달 등 낙엽활엽수의 세력이 확장될 것으로 판단되며, 군집 IV의 경우 장기적으로 전나무의 세력약화와 까치박달-낙엽활엽수 군집으로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전나무는 79~128년생, 잣나무는 75~87년생, 느릅나무는 190년생이었으며, 전나무의 생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둔화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0.3889~1.3332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from Sinseongam to Jungdaesa in Odaesan National Park, furthermore, it seeks to curate the basic data for planning of the Abies holophylla's forest management in Odaesan National Park.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ecological environ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나무림 분포지인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림 고지대 사찰 주변에 분포하는 전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전나무림의 생육 특성, 천이경향 및 향후 전나무림 관리를 위한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나무의 수고는 얼마인가? 기후대는 온대북부와 아한대림의 경계에 있는 지역이다. 전나무는 온대북부와아한대림을 연결하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수고가 30m 에 이르는 거목이다(Kim and Yim, 1996). 전나무는 대체로 고산지대의 수종으로 보고 있으며, 한대림을 구성하는 주요 수종으로 분비나무와 비슷한 분포권을 갖고 잣나무보다 낮은 곳에 분포하기도 한다(Yim, 1985).
오대산국립공원의 기후대는 무엇인가? 1975년 지정된 오대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핵심생태축인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7개 국립공원 중 하나이며, 계곡이 깊고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이다. 기후대는 온대북부와 아한대림의 경계에 있는 지역이다. 전나무는 온대북부와아한대림을 연결하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수고가 30m 에 이르는 거목이다(Kim and Yim, 1996).
오대산국립공원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것은 언제인가? 1975년 지정된 오대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핵심생태축인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7개 국립공원 중 하나이며, 계곡이 깊고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이다. 기후대는 온대북부와 아한대림의 경계에 있는 지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hoi, B.K. and C.W. Lee(2014) Distribution status and age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population in Sudo-Am Temple Forest. KJEE 47(3): 160-1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urtis, J. T. and R. P. Ma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4. Harcomb, P.A. and R.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5. Hill, M.O.(1979a)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pp. 

  6. Hill, M.O.(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pp. 

  7. Kim, C.H. and K.B. Yim(1996)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natural abies holophylla Maxim. forest in Mt. Odaesan. Dongguk Journal: Natural Sciences 35: 135-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 S.Y., S.H. Han, W.H. Lee, S.H. Han, H.S. Shin and C.W. Yun(2014)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icea jezoensis and abies hollophylla stand in Mt. Gyebang. Kor. J. Env. Ecol. 28(2): 182-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K.J., J.C. Jo and Y.C. Choi(1996) The community structure in old-growth forest of the Sangwonsa-Biro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l. 9(2): 166-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K.Y., J.S. Kim, J.W. Choi and B.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l 22(2): 173-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K.J., K.B. Yim, J.C. Jo and C.H. Ryu(1990) A study on forest Sokrisan (Mt.)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1) -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 Korean J. Environ. Ecol. 4(1): 23-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im, J.H., M.Y. Shin, C.Y. Lee, Y.Z. Ko and Y.W. Chun(1992) Regeneration methods and tending practices for quercus mongolica - abies holophylla natural mixed stands II. popul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in old - aged mixed stand. Journal of Forest Science 4: 29-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Nam, S.Y., S.I. Yoo, W.G. Park and S.S. Han(2000) Ecological research of abies holophylla forest at Wol-jong Temple (Mt. Odae, Kangwon-do). Journal of Forest Science 16: 69-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Orloci, L.(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 2nd ed. W. Junk, The Hague, 468pp. 

  15. Park, B.K. and H.S. Choi(1980) Studie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roduct of abies holophylla in Kwangnung. Journa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Better Living 25: 65-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I.H., K.J. Lee and J.C. Jo(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1(1): 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ielou, E. 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 

  18. Yim, K.B.(1985) The theory of forestry. Hyangmunsa, 491pp. (in Korean) 

  19. Yim, K.B.(1991) The point body of forestry. Hyangmunsa, 340pp. (in Korean) 

  20. Yim, K.B., I.H. Park and K.J. Lee(1980) Phytosociological chang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duced by insect damage in Kyonggi-do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50: 56-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Youn, Y.G.(2009) Analysis of stand structure for natural mixed stands of abies holophylla - quercus mongolica by site position. Korean J. Env. Biol 27(2): 176-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