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대산 국립공원 노인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Noinbong Area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no.2, 2014년, pp.103 - 115  

김창환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  강은옥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최영은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대산 국립공원 노인봉(해발고도 1,338 m)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습성림, 산지침엽수림, 아고산침엽수림, 아고산활엽수림, 산지관목림, 식재림으로 세분되었으며, 평지삼림식생은 하반림, 기타식생으로 암벽식생, 농경지 등이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은 62개 군락, 산지습성림 85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18개 군락, 아고산침엽수림 4개 군락, 아고산활엽수림 4개 군락, 산지관목림 2개 군락, 식재림 21개 군락, 하반림 1개 군락, 기타식생 7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락$36,970,088.196m^2$의 48.140%로 가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굴참나무군락이 $3,078,054.002m^2$의 4.008%, 졸참나무군락 $2,079,416.007m^2$, 2.708%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인봉일대 산지낙엽활엽수림의 78.175%는 신갈나무가 우점 또는 차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층층나무군락이 전체의 15.482%를 차지하고 있으며, 들메나무와 상층부의 식피율이 비슷하여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은 8개 군락으로 전체의 17.368%를 차지하고 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 군락이 전체의 78.091%로서 대부분의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 1종이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기타식생에서 아고산침엽수림은 전나무-신갈나무군락 등 총 3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오대산 국립공원 전체 식생면적의 0.005%를 차지하고 있다. 아고산활엽수립은 사스래나무군락 등 총 4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오대산 국립공원 전체 식생면적의 0.443%를 차지하고 있다. 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림 전체의 72.222%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식재림이 17.721%, 잣나무가 2.613%로 3개 수종이 전체의 92.556%로 대부분이 이들 3종에 의하여 식재되어졌다. 결론적으로 오대산 국립공원 노인봉 일대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 소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층층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 소수의 수종들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지역 일대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 산지낙엽활엽수림과 산지습성림의 경계부 중 습도가 높은 계곡은 층층나무, 들메나무, 사면부는 피나무, 신갈나무 등에 의하여 우점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고산의 침염수림은 기후온난화 등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낙엽활엽수의 분포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vegetation of Noinbong (1,338 m) in Odae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mountain forest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mountain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subalpine coniferous forest, subalpine deciduous forest, shrub fo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의 노인봉 일대 현존 삼림식생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식생천이 등을 분석함으로써, 노인봉 일대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대산 국립공원은 언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는가? 1975년 2월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오대산 국립공원(총면적 326.348 km2)은 백두대간 축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도 6호선을 경계로 서쪽에는 비로봉 (해발고도 1,563m)을 주봉으로 두로봉(해발고도 1,422m), 상왕봉(해발 고도 1,491m), 호령봉 (해발도 1,561m), 동대산 (해발 고도 1,338m) 등이 말발굽 형태를 이루고 있는 오대산 지구 (월정사지구)가 위치하고 동쪽은 노인봉 (해발고도 1,338m)을 중심으로 황병산 (해발고도 1,407m), 매봉 (해발고도 1,173m), 천마봉(해발고도 999m) 등으로 둘러싸인 소금강지구가 위치하고 있다(Heo et al.
오대산국립공원은 식물구계로 보면 어디에 속하는가? 오대산국립공원은 식물구계로 보면 한반도 중부아구에 속하며 식물군계로 보면 냉온대 낙엽활엽수림대에 속한다 (Kil et al., 1998).
오대산국립공원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은 무엇인가? , 1998).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난티나무, 거제수나무, 까치박달 등이 주요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해발 700m 이상의 고지대 능선부 및 계곡부에 전나무, 잣나무, 분비나무, 주목 등 침엽수종이 분포하고 있다(Lee et al.,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tunde. Wien. 865p. 

  2. Choi, S.H., J.O. Kwon and S.H. Min. 1996.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Noinbong area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56-165. 

  3. Chun, Y.M., J.K. Ahn, M.P. Hong, J.T. Shin, H.J. Won and S.H. Lee. 2011.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nity in Odaesan National park 45(4): 559-570. 

  4. Heo, C.H., S.Y. Kim and S.T. Yun. 2005. Value promotion for tourism geology through survey on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Public understanding of earth scienc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3): 218-231. 

  5. Kil, B.S., C.H. Kim., Y.S. Kim., H.K. Yu and B.S. Kim. 1998. The Flora of the north-western slope on Odaesan National Park; Comprehensive report. Korea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Report 38: 47-91. 

  6. Kim, Y.S., S.H. Chon and K.H. Kang, 1996. Floristic study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77-98. 

  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A detailed actual vegetation map project of Odaesan National Park. 

  8. Lee, C.B. 1971. The vegetation of Odaesan and Sogeumgang. Korea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Preliminary Research Report on Sogeunmgang and Odaesan 99-115. 

  9. Lee, K.J., W. Cho and B.H. Han. 1996.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15-125. 

  10. Lee, S. 2000a.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 ( I ) -Site of plant community in Tondgaes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 173-184. 

  11. Lee, S. 2000b.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 (II) -Site of plant community in Tondgaes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 552-563. 

  12. Lee, U.C., Y.S. Kim, Y.B. Lee and Y.G. Park. 1998. The Flora of the north-western slope on Odaesan National Park. Korea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Report 38: 13-45.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urvey method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National Environment.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The third national survey natural environment-Kangnung, Jeongseon. 

  15.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6.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Workshop Source Book of Detail Actual Vegetation Mapping in 2012. 

  17. Prak, B.K. and J.Y. Oh. 1971. The Vegetation of Odaesan. Korea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Preliminary Research Report on Sogeunmgang and Odaesan. 131-138p. 

  18. Yun, C.W., S.H. Lee, H.J. Kim, H.S. Sin, H.G. Park, M.S. Yu and C.H. Lee. 2010.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Physiognomy Type in Mt. Odea. Korean Forest Society 174-177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