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장회계분석을 통한 임산업의 성장요인분석과 전망
Analysis on the Drivers of Growth in Forestry Sector and Growth Projection through Growth Accounting Analysi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4, 2015년, pp.677 - 684  

이요한 (영남대학교 지속가능발전학과) ,  정재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부) ,  민경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부)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과거 임산업의 성장과정을 분석하고 임산업의 성장회계분석을 통하여 투입요소별 성장기여도를 분해한 후 향후 임산업의 잠재 성장률을 전망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임산업의 성장요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궁극적으로는 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경제의 빠른 회복과 함께 우리나라 임산업은 2000년 이후 성장률이 안정되었다. 그러나 과거 임산업은 노동과 자본의 투입에 기초한 성장을 하였다면, 2000년 이후에는 임산업의 성장은 자본 투입의 증가에 의해 주도되었다. 성장회계분석을 통해 잠재 성장률을 추정한 결과, 2012년부터 2020년의 기간 동안 임산업 생산액 평균성장률은 1.65%이며, 이에 대한 노동과 자본,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는 각각 0.08%, 1.58%, -0.01%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성장 추세를 따른다고 가정한다면 2020년 임산업 총생산액은 약 36.25조 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 long-run growth trend of the forestry sector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forecasted the potential growth in the future after investigating main drivers of growth in the forestry sector through growth accounting analysis. Based on results, we finally suggested a direction to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년까지의 임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임산업 성장률을 전망하고자 한다. 잠재성장률의 전망을 위해서 먼저 총노동투입과 총자본투입에 대해서 예측하고, 각 투입요소의 증가율 및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축한다.
  • 이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임산업의 규모를 파악하고 과거 임산업의 성장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임산업의 성장에 대한 향후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임산업 성장 추세에 변화가 있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 이를 과거 10년에서 초기 5년과 이후 5년으로 나누어서 기간별 성장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 각 투입요소별 기여도에 대해서도 분해하여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 이를 통해 임산업 성장 추세에 변화가 있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성장회계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성장 추세의 변화가 양적인 투입요소인 노동과 자본의 축적 변화에서 기인했는지 혹은 질적인 측면에서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증가율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임산업을 광의의 개념에서 접근하여 임업, 목재업, 제지업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변화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들이 전체 임산업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볼 수 있다.
  • 이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임산업의 규모를 파악하고 과거 임산업의 성장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임산업의 성장에 대한 향후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 때 개별 산업의 생산함수가 같은 Cobb-Douglas의 함수형태를 갖는다고 가정할 때 집계생산함수(aggregate production function)도 같은 함수 형태를 갖는다고 가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두 모델, 즉 식 2와 식 4를 같은 생산함수로 가정하여 각각을 Cobb-Douglas 함수를 이용하여 성장요인을 분석하여 요인별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이는 과거 임산업의 성장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여 미래 잠재성장률 전망에 대한 기초로 삼으려고 한다.
  • 그리고 임산업의 성장에 대한 향후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임산업 성장 추세에 변화가 있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성장회계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성장 추세의 변화가 양적인 투입요소인 노동과 자본의 축적 변화에서 기인했는지 혹은 질적인 측면에서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증가율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성장회계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성장 추세의 변화가 양적인 투입요소인 노동과 자본의 축적 변화에서 기인했는지 혹은 질적인 측면에서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증가율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임산업을 광의의 개념에서 접근하여 임업, 목재업, 제지업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변화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들이 전체 임산업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볼 수 있다.

가설 설정

  • 베이스라인(Baseline)을 구하기 위해 노동투입, 자본투입은 최근 5년(평균 기준) 의 추세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이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있었던 2008년 전후의 노동과 자본의 변화 양상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또한 추가적인 노력이 없다는 가정 하에 총요소생산은 기존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단, 업종별로 구분하여 전망치를 분석하는 경우 세부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못해 나타나는 오차변수들이 많기 때문에 집계변수를 이용하여 임산업 생산액을 기준으로 예측한다.
  • 잠재성장률의 전망을 위해서 먼저 총노동투입과 총자본투입에 대해서 예측하고, 각 투입요소의 증가율 및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축한다. 베이스라인(Baseline)을 구하기 위해 노동투입, 자본투입은 최근 5년(평균 기준) 의 추세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이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있었던 2008년 전후의 노동과 자본의 변화 양상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또한 추가적인 노력이 없다는 가정 하에 총요소생산은 기존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 생산함수는 노동과 자본이라는 투입요소에 대해서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constant returns to scale)의 특성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또 노동과 자본에 대한 소득분배율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Cobb-Douglas 생산함수로 식 2의 성장회계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 이 때 개별 산업의 생산함수가 같은 Cobb-Douglas의 함수형태를 갖는다고 가정할 때 집계생산함수(aggregate production function)도 같은 함수 형태를 갖는다고 가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두 모델, 즉 식 2와 식 4를 같은 생산함수로 가정하여 각각을 Cobb-Douglas 함수를 이용하여 성장요인을 분석하여 요인별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이는 과거 임산업의 성장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여 미래 잠재성장률 전망에 대한 기초로 삼으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의 성장회계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는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가? 특히, Kwark(2007)은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을 통해 외환위기 전과 후의 차이점을 분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국내 경제 전반의 성장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고 임산업 성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Hwang et al.
잠재성장률 추정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잠재성장률을 추정하기 위해서 시계열 계량모형을 이용하거나 생산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활용 된다. 시계열 계량모형은 성장률을 추정하거나 총생산 수준을 영구적인 부분과 일시적인 부분(예, 경제에서 발생 하는 석유파동과 같은 쇼크)으로 분리시켜 영구적인 부분만을 잠재총생산 수준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활용된다(Choi and Kim, 1996; Lee, 1996, Park and Yoo, 1996).
외환위기 전·후의 임업생산액 추세성장률 추이는 어떠한가? 08%임을 의미한다. 한편, 외환위기 전·후를 구분하여 임업생산액 성장경로를 분석한 결과, Figure 2에 제시된 것처럼 1982년부터 1997년까지의 임업생산액 추세성장률은 3.41%으로 나타났고, 외환위기의 영향이 컸던 1998년, 1999년을 제외한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임업생산액 추세 성장률은 5.95%로 나타나 외환위기 전·후의 임업 전반에 걸친 구조적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한편, 외환위기로 인해 1998년 임업생산액은 1997년 대비 120%이상 감소하기도 했지만, 1999년 대비 2000년의 생산액 성장률은 140%로 나타나 생산액 기준으로 외환위기에 따른 피해를 성공적으로 극복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nk of Korea. 2010. Korean System of National Accounts. pp. 389. 

  2. Choi, K.P. and Kim, C.J. 1996. Estimating Potential Output in a Semi-Open Economy. Journal of Korean Economic Analysis 2(1): 65-99. 

  3. Ha, D.K. and Hwang, H.D. 2004. Analysis of farm resource use and economic efficiency in Korean farm household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38(1): 31-47. 

  4. Han, J.H., Cho, K.S., Kim, D.S., and Lim, K.M. 2002.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the Korean Economy : 2003-2012. Korea Development Institute. 

  5. Hwang, S.C., Yoo, L.N., and Yu, Y.B. 2015. An Estimation and Analysis of Agricultural Output in Korea (1955-2012). Korea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31(4): 21-43. 

  6. John, M. Antle, Bocar Diagana, Jetse J. Stoorvogel, and Roberto O. Valdivia. 2010. Minimum-data analysis of ecosystem service supply in semi-subsistence agricultural system. The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ource Economics 54(4): 601-617. 

  7. Kim, C.M., Lee, M.K., and Han, H.S. 2008. Estimating Value- Added and number of workers Related to Agriculture and Fishery. Korea Rural Development Institute. pp. 174. 

  8. Kim, D.S., Jinmyun Kom, and Minsoo Kim. 2002. Accounting for Economic Growth in Korea: 1963-2000. Korea Development Institute. pp. 177. 

  9. Kwark, N.S. 2007. The Change in Potential Growth After the Currency Crisis in Korea Based on Growth Accouting Analysis. The Korea Journal of Economic Studies 55(4): 549-588. 

  10. Lee, J.W. and Song, C.J. 2005. Sources of Economic Growth in the Korean Industries, 1970-2001. Journal of Korean Economic Analysis 11(1): 1-35. 

  11. Lee, Y.H. and Hwang, Y.J. 1996. Potential GDP Estimation by Stochastic Production Frontier Model. Journal of Korean Economic Analysis 2(1): 103-126. 

  12. Lee, Y.S., Kim, J.I., and Jung, H.J. 2008. A Study on Measurement of TFP and Determinant facto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13(1): 76-86. 

  13. Min, K.T., Chang, C.S., and Hur, K.T. 2011. Policy Issues on Wood Demand and Supply to Tackle Climate Chang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 150, pp. 130. 

  14. Park, J.K. and Yoo, Y.H., 1996. Estimation of Potential GNP Permitting Multiple Breaks : New Keynesian Interpretation. Journal of Korean Economic Analysis 2(1): 129-169. 

  15. Pyo, H.K. and Kim, S.R. 2012. Estimation of Quarterly Capital Stock and Potential GDP Growth Rate in Korea (1981-2012).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11(1): 1-66. 

  16. Pyo, H.K., Lee, G.H., and Ha, B.C. (2005)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and Productivity Estimates in Korea(1984- 2002). Journal of Korean Economic Analysis 11(1): 109-160. 

  17. Statistics Korea. 2011. 2010 Agriculture, Forestry & Fisher Census Report. pp. 458. 

  18. Young, A. 1995. The Tyranny of Numbers: Confronting the Statistical Realities of East Asian Experience. Quaterly Journal of Economics 110(3): 641-6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