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이 예비 교사들의 PCK 개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actice Teaching Utilizing Content Representation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9 no.6, 2015년, pp.520 - 532  

정유정 (한국교원대학교) ,  이경희 (공주대학교) ,  최병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 수업지도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의 지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CoRe의 역할과 그것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1명의 실습 지도교사와 2명의 예비교사의 CoRe 논의과정, 예비교사가 진행하는 수업의 관찰,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CoRe를 바탕으로 한 논의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개념을 명료화하였으며,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부족한 지식을 보완하며, 새로운 전략을 구성해나갔다. 지도교사는 자신의 구성주의적 교수 지향을 기반으로 자신의 교수 경험을 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CoRe는 예비교사들에게 지도교사의 지도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 지도교사의 PCK를 드러내도록 도와주는 역할, 논의과정에서 그들의 대화를 도와주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여 교육실습에서 지도교사의 수업지도를 도와주는 유용한 틀임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들은 CoRe 작성과정을 통해 수업 준비를 위한 유용한 틀을 제공받았고, 수업계획 단계에서 지도교사와 함께 CoRe를 개발하면서 교과 내용 지식과 교육과정 지식,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는 PCK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 또한, PCK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학생과 교수활동, 과학 교사로서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at kinds of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practice teaching based on CoRe and to identify the role of CoRe and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of student teacher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qualitative case stud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의 ‘7. 교수 절차’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동 영상이나 시범실험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도교 사는 학생들이 직접 실험 활동을 하는 것을 권장하였고, 연구를 통해 실험을 보완하거나 자료를 수집하여 학생들 이 직접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 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 과정의 수업 계획단계 에서 실습 지도교사가 예비교사들에게 CoRe를 작성하게 하고, CoRe를 바탕으로 논의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 의 지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CoRe가 어떠한 역할 을 하는지, 또한 이러한 수업지도 과정이 예비교사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 예비교사 역시 CoRe라는 틀을 바탕으로 지도교사로부터 받은 수업지도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또한 같은 실습교의 다른 예비교사들이 받은 수업지도 과정을 비교하면서 지도교사마다 지도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보완하여 교생 실습의 수업지도 과정에서 최소한의 수업지도를 보장할 수 있는 통일된 틀이 필요함을 지적하 였다.
  • 이 과정에서 CoRe는 지도교사가 예비교사들에 게 지도해야 할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지도교사 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지도교사가 지도내용을 사 전에 준비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암묵적으로 존재하던 지도교사의 PCK를 드러내도록 도와줘 예비교 사들에게 보다 풍부하고 적절한 내용의 지도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토론해야 할 주제를 명확하게 제시 하여 논의과정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CoRe가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교사에 대한 지도교사의 수업지도를 도울 수 있는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의 수업지도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의 지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CoRe의 역할은 무엇이고 그것이 예비교사들에 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의 수업지도 과정에서, 예비교 사들이 CoRe를 작성하고 지도교사와 논의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의 지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CoRe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지도 과정이 예비교사들에 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K: 그러니까 애들이 갖는 거에 최고 문제가 된 건 이 원소 라는 거는 입자론적 관점이 도입되기 이전에 사람들이 이미 계속 생각해왔던 거였잖아요. 근데 아이들이 이미 입자론적 관점을 학습했고.
  • 교사 J: 근데 아이들은 은하고 산화은은 다른 물질이니까 은의 원자가 산화은에 있는 거라는 그런 생각을 못 할 수도 있거든요. K: 선생님 은은 잘 안 나타날 것 같은데요. 보통 불꽃반응 을 나타내는 게 1,2족 원소이고 은은 전이원소라고 하 죠.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Oh, P. S.; Lee, S. K.; Lee, G. H.; Kim, C. J.; Kim, H. B.; Jean, C. H.; Oh, S. 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8, 28, 47. 

  2. Gess-newsome, J.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Gess-Newsome. J.; Lederman,N. 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999a; 3-17. 

  3. Gess-newsome, J. Secondary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ubject Matter and their Impaction Instruction. In Gess-Newsome. J.; Lederman, N. 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999b; 51-94. 

  4. Ko, M. R.; Nam, J. H.; Lim, J.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9, 29, 54. 

  5. Kwak, Y.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6, 26, 527. 

  6. Lim, C. H.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3, 24, 235. 

  7. Magnusson, S., Krajcik, J., Borko, H.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Gess-Newsome, J.; Lederman, N. 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999; 95-132. 

  8. Park,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6, 26, 122. 

  9. Shulman, L. S. Educatuinal Reasearcher 1986, 15, 4. 

  10. Shulman, L. S. Harvard Educational Review 1987, 57, 1. 

  11. Lee, K. 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represented in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he cases of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roperty of figure’.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12. De Jong, O.; Van Driel, J. H.; Verloop, 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5, 42, 947. 

  13. Friedrichsen, P. J.; Abell, S. K.; Brown, P. L.; Landford, D. M.; Volkman, M.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9, 46, 357. 

  14. van Driel, J. H.; De Jong, O.; Verloop, N. Science Education 2002, 86, 572. 

  15. Cho, H. H.; Cho, Y. S.; Kwon, S. M.; Park, D. S.; Kang, Y. J.; Kim, H. K.; Ko, Y. J.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2006, 10, 281. 

  16. Park, S. H.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08, 8, 169. 

  17. Jang, H. S.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in Advance of Practicum of the Practicum-affiliated Course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ractice Teaching.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18. Kang, K.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9, 29, 580. 

  19. Kim, B. C.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5, 23, 49. 

  20. Hur, C. 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07, 25, 95. 

  21. Yoon, H. G.; Shim, J. G.; Park, S.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97, 17, 289. 

  22. Kim, Y. W.; Kim, Y. 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001, 5, 72. 

  23. Kang, K.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9, 29, 580. 

  24. Hashweh, M. Z.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2005, 11, 273. 

  25. Zembal, C.; Starr, M.; Krajcik, J.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Elementary Science Teaching Us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ss-Newsome, J.; Lederman, N. 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999, pp 237-256. 

  26. Lee, 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7, 27, 699. 

  27. Cochran, K. F.; DeRuiter, J. A.; King, R. A.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993, 44, 263. 

  28. Loughran, J.; Gunstone, R.; Berry, A.; Milroy, P.; Mulhall, P. Reserch in Science Education 2001, 31, 289. 

  29. Loughran, J.; Mulhall, P.; Berry, 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4, 41, 370. 

  30. Loughran, J.; Mulhall, P.; Berry, 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8, 30, 1301. 

  31. Loughran, J.; Berry, A.; Mulhall, P.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nse Publishers: Claytone, 2006. 

  32. Lee, Y. S. The Definitions of PCK and PCKr &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Analyzing Them: Focusing on the cas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aching ‘Force & Energy’.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33.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Revised and Expanded f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Jossey-Bass: San Francisco, 1998. 

  34. Lederman, N. G.; Gress-Newsome, J. Reconceptualizing Second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Gess-Newsome, J.; Lederman, N. 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999; 199-214. 

  35. Li, Y.; Chen, X.; Kulm, G. ZDM 2009, 41, 717. 

  36. Ball, A. L.; Knobloch, N. A.; Hoop, 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2007, 48, 56. 

  37. Cooper, R.; Loughran, J.; Berry, A. Science Teachers’ PCK. In Berry, A.; Friedrichsen, P.; Loughran, J. Re-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Taylor & Francis: NY, 2015; 60-74. 

  38. Yang, C. H.; Lee, J. H.; Noh, T.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4, 34, 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