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효능감 변화
A Change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ing Practice Course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34 no.2, 2018년, pp.155 - 176  

홍주연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한인기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hange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ing practice course. For this purpose we collect data through questionnaire from 61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make a questionnaire we rearrange Ryang's MTES i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TES는 개인적 교수효능감(MTPE)과 결과기대감 (MTOE)이라는 하위요소로 구성된 18개 문항의 척도이고 한국에서의 수학교수 효능감 측정 및 관련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량도형의 MTES를 사용하여 중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학교수효능감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의 예비수학교사들이 교육실습을 통해 수학교수효능감이 긍정적으로 변화되는지, 즉 교육실습을 통해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효능감이 높아졌는지를 정량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육실습 전과 후의 수학교수효능감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Ryang([28])이 개발한 수학교수효능감척도(MTES)를 주목하였다.
  • 이제, 각 년도 별 교육실습 전과 후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자. 각 년도의 표본 크기가 작으므로 정규성 검증을 시행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교육실습 이전의 점수와 교육실습 이후의 점수의 차이에 대한 통계량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및 표준오차를 구하고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t-값과 t-값의 유의확률을 구하여 귀무가설(교육실습 전과 후의 교수효능감에는차이가 없다.)의 기각 여부를 판단하였다.
  • 이때 MTES는 MTEBI의 PMTE와 MTOE와 거의 유사한 개념으로 MTES의 MTPE 는 12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는 수학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장래에 수학을 효율적으로 가르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자기효능감(Perceived Self- Efficacy, SE)과 결과기대감 (Outcome Expectancy, OE)으로 구성된다([16]). SE이란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행동 과정을 조직,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을 의미하며, OE는 주어진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사람들의 판단에 해당한다.
SE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자기효능감(Perceived Self- Efficacy, SE)과 결과기대감 (Outcome Expectancy, OE)으로 구성된다([16]). SE이란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행동 과정을 조직,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을 의미하며, OE는 주어진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사람들의 판단에 해당한다.
교육실습 전과 교육실습 후의 수학교수효능 감의 변화에 대한 귀무가설을 검정하였는데, 이때 두 가지 측면은 무엇인가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수집된 자료들에 대해 SPSS23를 사용하여 통계량을 계산,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전과 교육실습 후의 수학교수효능 감의 변화에 대한 귀무가설을 검정하였다. 이때 두 가지 측면에서 귀무가설을 검정하였는데, 첫째는 2015년, 2016년, 2017년에 수집된 자료 전체를 하나로 묶어서 통계적으로 귀무가설의 검정을 실시하였고, 둘째는 각 년도 별 자료에 대해 귀무가설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귀무가설이 기각되었으며, 교육실습 전과 교육실습 후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문봉,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35-53(2016). 

  2. 강문봉, 김정하,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519-537(2014). 

  3. 김아영,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서울: 학지사(2010). 

  4. 김정하, 강문봉,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5(1), 75-93(2015). 

  5. 김헌수, 이난,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태영출판사(2010). 

  6. 남영신, 국어대사전, 서울: 성안당(2003). 

  7. 량도형, 수학 교육 효능감 도구 MTEBI 한글판의 신뢰도와 타당도, 수학교육 46(3), 263-272(2007). 

  8. 박성혜, 교육실습을 통한 중등 예비 교사들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의 변화, 한국교원교육연구 24(1), 271-297(2007). 

  9. 손강숙, 정소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 경험의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163-185(2016). 

  10. 윤석진, 박현주, SSCS 전략을 적용한 교육실습 과정 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의 변화 및 교육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 교사교육연구 51(1), 29-40(2012). 

  11. 이중석, 교육심리학, 충북: 협신사(2001). 

  12. 이영혜, 권종겸, 이봉주,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수학교육학연구 23(4), 407-422(2013). 

  13. 최계현, 황우형, 상호또래교수에서의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53(1), 1-24(2014). 

  14. 허양원, 김선유,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5(2), 337-352)(2013). 

  15. Ashon, P. T. & Webb, R. B.,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1986). 

  16. Bandura, A.,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1977). 

  17.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1986). 

  18. Bandura, A., Self-regulation of motivation and action through goal systems, Cognitive perspectives on emotion and motivation 44, 37-61(1988). 

  19. Bandura, A., Regulation of cognitive processes through perceived self-efficacy, Developmental Psychology 25, 729-735(1989). 

  20.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1997). 

  21. Barfield V. & Burlingame, M., The pupil control ideology of teachers in selected schoo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42(4), 6-11(1974). 

  22. Charalambous, C. Y., Philippou, G. N., & Kyriakides, L., Trac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efficacy beliefs in teaching mathematics during fieldwork,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7, 125-142(2008). 

  23. Enochs, G. L., Smith, L. P., & Huinker, D.,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4), 194-201(2000). 

  24. Gibson, S. & Dembo, M.,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nal of Education Psychology 76(4), 569-582(1984). 

  25. Hoy, W. K. & Woolfolk, A. 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1993). 

  26. Hoy, A. W. & Spero, R. B., Changes in teacher efficacy beliefs during the early years of teaching: A comparison of four measur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343-356(2005). 

  27. Ryang D., Development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Korean Version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3), 363-377(2013). 

  28. Ryang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atthematics Teaching Efficacy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3(2), 185-200(2014). 

  29. Riggs, I. M.,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1988). 

  30. Riggs, I. M. & Enochs, L. G.,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7-637(1990). 

  31. Soodak, L. & Podell, D. M., Teacher efficacy and student problems as factors in special education referral.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7, 66(1996). 

  32. Tigchelaar, A. & Korthagen, F., Deepening the exchange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mplications for the pedagogy of teacher education of recent insights into teacher behavi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 665-679(2004). 

  33. Tschannen-Moran, M., Hoy, A. W., & Hoy, W. K.,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 Research 68(2), 202-248(1998). 

  34. Tschannen-Moran, M. & Hoy, A. W.,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783-805(2001). 

  35. Wingfield, M., Nath, J. L., Freeman, L. & Cohen, M., The effect of site based preservice experiences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language arts, and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ED 441 766(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