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짓 탐지와 뇌과학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거짓 탐지
Detecting Deception Using Neuroscience : A Review on Lie Detection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2 no.3, 2015년, pp.109 - 112  

최예라 (이화여자대학교 뇌융합과학연구원) ,  김상준 (서울고등법원) ,  도혜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  신경식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  김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뇌융합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early 2000s, there has been a continued interest in lie detection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in neuroscience and forensic sciences, as well as in newly emerging fields including neuroethics and neurolaw. Related fMRI studies have revealed converging evidence that b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어조, 표정 등의 비언어적 요소와, 혈압, 땀, 호흡 등의 생리적 요소 등을 통해 증언의 참, 거짓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오랜 노력에 fMRI 등의 최신 뇌영상 기법이 가세하게 되면서, 뇌영상 증거를 법정에서의 거짓 판별에 사용하는 것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4) 이에 본 논문에서는 fMRI를 활용한 거짓 판별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유용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PubMed 검색을 활용하여 제목 또는 초록에서 거짓과 관계된 단어(lie, lying, deception, deceptive, deceive, dishonest, dishonesty) 와 fMRI를 언급한 논문 중 관련성이 없거나 약한 논문을 제외한 58건을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 이러한 초창기의 연구들 이래 여러 패러다임을 사용한 fMRI 연구들이 거짓 및 속임수와 관계된 뇌 영역을 판별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거짓 행동을 효과적으로 판별하는 방법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4)10) Christ 등10)의 구분에 따르면, 이러한 연구들은 1) 법과학(forensic sciences) 분야에서 범죄에 관련한 특징적인 상세정보를 인식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되어 온 guilty knowledge test(GKT)에 기반한 방법으로 물건의 소유 여부에 대해 거짓된 반응을 보이도록 하거나, 2) 과거의 자전적 정보 및 개인적 경험, 3) 최근에 수행한 활동, 또는 4) 최근에 획득한 지식과 관련한 거짓된 반응을 보이도록 하여 이를 진실된 반응 및 중립적 반응과 비교하는 패러다임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어떤 기법인가? 살아있는 사람에서 뇌의 활성 상태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이하 fMRI)은 뇌내 신경세포들의 활동이 증가하면 해당 영역의 혈류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산화헤모글로빈 및 환원헤모글로빈의 농도가 변화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뇌의 활동을 측정하는 뇌영상 기법이다.1) fMRI가 개발된 이후 이를 활용한 연구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의생명 분야의 검색엔진인 PubMed에서의 검색결과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매년 수천여 건의 관련 논문이 출판되고 있다.
사회 신경과학 등의 분야로 어떤 분야가 태동했는가? fMRI의 개발 및 활용도의 증가로 뇌의 활동과 감각 및 행동을 비교적 높은 공간 및 시간 해상도 수준에서 긴밀하게 연관 지을 수 있게 된 것과 때를 같이하여, 단순한 감각이나 행동을 넘어 고차원적이고 복합적인 감정이나 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등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는 사회 신경과학(social neuroscience) 등의 분야가 1990년대 초 이래 발전하게 되었다.2) 이러한 신경과학 분야가 fMRI 등의 뇌영상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뇌가 인간 행동 전반을 관장한다는 점을 밝히면서, 그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 윤리, 법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신경윤리학(neuroethics), 신경법(neurolaw)과 같은 분야가 태동되었다.3)
fMRI의 개발 및 활용도의 증가는 무엇을 발전시켰는가? fMRI의 개발 및 활용도의 증가로 뇌의 활동과 감각 및 행동을 비교적 높은 공간 및 시간 해상도 수준에서 긴밀하게 연관 지을 수 있게 된 것과 때를 같이하여, 단순한 감각이나 행동을 넘어 고차원적이고 복합적인 감정이나 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등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는 사회 신경과학(social neuroscience) 등의 분야가 1990년대 초 이래 발전하게 되었다.2) 이러한 신경과학 분야가 fMRI 등의 뇌영상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뇌가 인간 행동 전반을 관장한다는 점을 밝히면서, 그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 윤리, 법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신경윤리학(neuroethics), 신경법(neurolaw)과 같은 분야가 태동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uettel SA, Song AW, McCarthy 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2nd ed. Sunderland: Sinauer Associates, Inc.;2009. 

  2. Cacioppo JT, Amaral DG, Blanchard JJ, Cameron JL, Carter CS, Crews D, et al. Social Neuroscience: Progress and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erspect Psychol Sci 2007;2:99-123. 

  3. Aggarwal NK. Neuroimaging, culture, and forensic psychiatry. J Am Acad Psychiatry Law 2009;37:239-244. 

  4. Farah MJ, Hutchinson JB, Phelps EA, Wagner AD. Functional MRIbased lie detection: scientific and societal challenges. Nat Rev Neurosci 2014;15:123-131. 

  5. Spence SA, Farrow TF, Herford AE, Wilkinson ID, Zheng Y, Woodruff PW. Behavioural and functional anatomical correlates of deception in humans. Neuroreport 2001;12:2849-2853. 

  6. Langleben DD, Schroeder L, Maldjian JA, Gur RC, McDonald S, Ragland JD, et al. Brain activity during simulated deception: an eventrelat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study. Neuroimage 2002;15:727-732. 

  7. Lee TM, Liu HL, Tan LH, Chan CC, Mahankali S, Feng CM, et al. Lie detection b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Hum Brain Mapp 2002;15:157-164. 

  8. Ganis G, Kosslyn SM, Stose S, Thompson WL, Yurgelun-Todd DA. Neural correlates of different types of deception: an fMRI investigation. Cereb Cortex 2003;13:830-836. 

  9. Kozel FA, Johnson KA, Mu Q, Grenesko EL, Laken SJ, George MS. Detecting deception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Biol Psychiatry 2005;58:605-613. 

  10. Christ SE, Van Essen DC, Watson JM, Brubaker LE, McDermott KB. The contributions of prefrontal cortex and executive control to deception: evidence from activation likelihood estimate meta-analyses. Cereb Cortex 2009;19:1557-1566. 

  11. Langleben DD, Loughead JW, Bilker WB, Ruparel K, Childress AR, Busch SI, et al. Telling truth from lie in individual subjects with fast event-related fMRI. Hum Brain Mapp 2005;26:262-272. 

  12. Davatzikos C, Ruparel K, Fan Y, Shen DG, Acharyya M, Loughead JW, et al. Classifying spatial patterns of brain activity with machine learning methods: application to lie detection. Neuroimage 2005;28:663-668. 

  13. Kozel FA, Johnson KA, Grenesko EL, Laken SJ, Kose S, Lu X, et al. Functional MRI detection of deception after committing a mock sabotage crime. J Forensic Sci 2009;54:220-231. 

  14. Hakun JG, Seelig D, Ruparel K, Loughead JW, Busch E, Gur RC, et al. fMRI investigation of the cognitive structure of the Concealed Information Test. Neurocase 2008;14:59-67. 

  15. Gamer M, Klimecki O, Bauermann T, Stoeter P, Vossel G. fMRI-activation patterns in the detection of concealed information rely on memory-related effects. Soc Cogn Affect Neurosci 2012;7:506-515. 

  16. Wolpe PR, Foster KR, Langleben DD. Emerging neurotechnologies for lie-detection: promises and perils. Am J Bioeth 2005;5:39-49. 

  17. Schauer F. Can bad science be good evidence? Neuroscience, lie detection, and beyond. Cornell Law Rev 2010;95:1191-1220. 

  18. Hong SO. The accuracy and legal effects of fMRI lie-detection evidence. Seoul Law J 2011;52:511-540. 

  19.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Search Cornell [homepage on the Internet]. Daubert V. Merrell Dow Pharmaceuticals (92-102), 509 U.S. 579 (1993) [cited 2015 Aug 12]. Available from: https://www.law.cornell.edu/supct/html/92-102.ZS.html. 

  20. Supreme Court of Korea en banc Decision 2009Da52649 Decided September 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