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옥천 호소 저서퇴적물의 인 용출률 산정
Calculation of Phosphorus Release Flux from Benthic Sediments in Sookchun Lak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1, 2015년, pp.9 - 21  

유병로 (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옥천 호소화 수역의 퇴적물 깊이별 오염도를 조사하고, 표층 퇴적토양을 대상으로 인 용출특성을 실험한 것이다. 퇴적물의 총인 농도는 전 구간에서 대청호 준설 환경기준 1.5mg/g을 초과하였고, T-N은 팔당호 준설기준 1.1 mg/g은 초과하였으나 대청호 준설기준 3.0mg/g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준설구역은 소옥천 추소수역(WS-6~WS-12)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퇴적물 깊이별 오염도 조사 결과 강열감량은 깊이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총질소는 깊이에 따른 농도 분포 패턴은 나타나지 않았다. 총인 역시 지점과 깊이별로 농도 변이가 적고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소옥천 호저 퇴적물에서 총인의 용출률은 혐기성 조건에서 $7.2{\sim}15.4mg/m^2/d$, 호기성 조건에서는 $0.5{\sim}2.0mg/m^2/d$, 통기성 조건에서는 $2.0{\sim}4.1mg/m^2/d$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혐기성 조건에서 퇴적 표토층의 총인 농도와 용출률의 관계는 결정계수($R^2$)가 0.7871로 나타나 정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또 반응조의 용존산소 농도와 총인 용출률의 관계는 결정계수($R^2$)가 0.8824인 높은 역상관성을 보였다. 퇴적물의 오염도와 반응조건에 따라 용출률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소수역에 대한 수중 용존산소 농도 및 퇴적 표토층의 총인 함량과 총인 용출률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pollution level of sediment in Sookchun lake, and studied dredging validity by examining phosphorous release characteristics on surface polluted soil. Total phosphorous, the principal cause of algal blooms, exceeded dredging assessment standards regarding Daechung lake (1.5 mg/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Ryu, 2013)는 소옥천 호소수역을 대상으로 퇴적물의 오염도 및 퇴적물로부터 용존산소 농도조건에 따른 용출률을 파악하기 위하여 퇴적환경 및 퇴적물 깊이별 오염도와 표층퇴적물을 대상으로 총인의 용출률을 산정하고 용존산소와 용출률의 관계, 퇴적층의 총인농도와 용출률의 관계를 산정한 것이다.
  • 본 연구를 통해 퇴적물의 오염도와 반응조건에 따라 용출률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소수역에 대한 수중 용존산소 농도 및 퇴적 표토층의 총인 함량과 총인 용출속도와의 관계를 수식화하므로서 각종 수질모형에서 요구되는 퇴적층으로부터의 인 용출량 속도계수의 실험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옥천 말단의 추소 호소수역에 대한 관리가 시급한 이유는? 소옥천은 대청호로 직접 유입되는 하천 중의 하나로 옥천의 하수종말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등 점오염원과 목축, 임야, 농업 등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입으로 대청호 조류발생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소옥천 말단의 추소 호소수역은 유기 퇴적물이 많고 상시 녹조가 발생되고 있을 뿐 아니라 대청호 녹조 대발생의 발원지 역할을 하고 있어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호소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일정 기간 퇴적물에 축적되어 있다가 분해, 확산, 재부유, 생물 섭식 등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과정에 의해 다시 수층으로 용출되어 수질 및 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Lee and Lee, 2000).
수질오염 재연성이 큰 물질인 용해성 물질이 수환경 변화에 따라 상부의 수층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큰 이유는? 퇴적물 중 수질오염 재연성이 큰 물질은 용해성 물질이며, 수환경 변화에 따라 상부의 수층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크고, 일단 수역이 오염된 후에는 오염행위를 중지하고 많은 예산을 투입하더라도 개선되기 어렵다. 이것은 수질을 오염시키는 많은 부분들이 용존상태에서 입자 상태로 변하거나 입자상의 물질에 흡착되어 하상에 퇴적된 후에 수층의 환경변화 및 퇴적물 내에서의 물리 화학적 변화에 따라 재용출 되면서 퇴적물 상부의 수층으로 장기간 이동하기 때문이다(Ryu, 2001; Ryu, 2012a; Ryu and Kim, 2012; Ryu, 2012b).
소옥천이 대청호 조류발생의 중요 요인인 이유는? 소옥천은 대청호로 직접 유입되는 하천 중의 하나로 옥천의 하수종말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등 점오염원과 목축, 임야, 농업 등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입으로 대청호 조류발생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소옥천 말단의 추소 호소수역은 유기 퇴적물이 많고 상시 녹조가 발생되고 있을 뿐 아니라 대청호 녹조 대발생의 발원지 역할을 하고 있어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 Y.C. (2012). A Study on Control Measures of Algal Bloom for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Daechung and Boryeong Reservoirs (III), The Commission on the Geum River Management. 

  2. Cho, Y.C., and Chung, S.W. (2007). "Sediment release rate of nutrients from namyang reservoir." J. of Kor. Soc. Environ. Eng. Vol. 24 No. 4, pp. 319-325. 

  3. Choi, J.Y., and Ban, Y.J. (2007). Improving Artificial Wetland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KEI report WO-06. 

  4. Istvanovices, V. (1994). Fractional Composition Adsorption and Release of Sediment Phosphorus in the Kis-Balaton Reservoir,Water Research., Vol. 28 No. 3, pp. 717-726. 

  5. Kang, P.G., Lee, S.W., and Park, H.G. (2007). Study on the Release of Phosphorus and Nitrogen from Sediment in Lake Soyang, Spring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pp. 957-966. 

  6. Ki, B.M. (2011). A Study on Nutrient Release from Sediment of Artificial Lake, Master's these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Korea. pp. 28-30. 

  7. Kim, D.H. (2002). "AStudy on theMeasurement of Nutrients Release from Sedi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11, No. 12, pp. 1333-1337. 

  8. Kim, S.H., and Oh, J.M. (2011). "Optimal management of dredged sediments by dredging criteria."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12, pp. 86-92.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Freshwater Sediment Management and Beneficial Use of Dredged Material. 

  10. Lee, Y.S. (2005). Water Quality Effect of Sediment Release on Reservoi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Spring conference of KSEE, pp. 1149-1152. 

  11. Lee, Y.S., and Lee, G.S. (2000). "A Study on releas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its impacts on water quality in Daecheong Dam reservoir."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ment, Vol. 9, No. 2, pp. 99-107. 

  12. Ryu, B.R. (2001). "Releasing characteristics of nitrogen, phosphorus and metals of the sediments in Boryung Lak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2, No. 4, pp 29-38. 

  13. Ryu, B.R. (2012a). "On-site sediment oxygen demand in bottom sediment in Gapchun Lake."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Vol. 13, No. 4, pp. 301-308. 

  14. Ryu, B.R. (2012b).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eirs Construction in the Geum River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nual Autumn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pp. 109-113. 

  15. Ryu, B.R. (2013). A Study on the Reduction Method of Green Algae through the Feasibility analysis of Dredging in the So-ok chun, The Commission on the Geum River Management, pp. 19-84. 

  16. Ryu, B.R., and Kim, Y. (2012). A Study on Sediment Environment of Sejong Weir, Annual Autumn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pp. 61-64. 

  17. Yoon, M.H., Hyun, J.T., Huh, N.S., Kwon, S.H., and Cho, D.C. (2007). "A study on release characteristics of lake sediments under Oxic and Anoxic Conditions." J. of KSEE, Vol. 29, No. 9, pp. 1003-1012. 

  18. Zago, C., Capodaglio, G., Ceradini, S., Ciceri, G., Abelmoschi, L., Soggia, F., Cescon, P., and Scarponi, G. (2000). Benthic Fluxes of Cadmium, Lead, Copper and Nitrogen Species in the Northern Adriatic Sea in front of the River Po outflow, Italy, Sci. Total Enviro., Vol. 246, pp. 121-1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