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계 대청호 퇴적물 내 인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ary Phosphorus of Daechung Lake in Autumn,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3, 2015년, pp.168 - 175  

심무준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양윤모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오다연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황윤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수형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추계 대청호 퇴적물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인의 형태는 환원환경이 되면 용출될 수 있는 Al-bound와 Fe-bound 인으로 나타났다. 총인, Al-bound와 Fe-bound 인은 가두리 양식장이 분포하였던 회남 지점과 대청댐 앞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가두리 양식장 같은 인위적인 활동보다는 세립질 퇴적물의 이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청호 퇴적인의 농도는 그 어느 존재형태도 타 인공호수에 비해 높지 않았다. 그러나 보다 더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서 존재형태별 연속추출법을 표준화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utumn to determine phosphorus (P) fraction in sediments of Daechung Lake, to elucidate controlling factors for sedimentary P, and to compare with the other areas. For this study,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at 6 sites only once on November 2014 using ponar grab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두 연구 간 Al-bound 인의 농도 차이도 추출에 이용되었던 시약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두 연구에서 이용한 방법을 비교하는 조사가 이루어진 다음에 보다 더 정확한 대청호 퇴적인의 지화학적 특성이 밝혀질 것이다.
  • 더욱이 퇴적물 내 존재하는 인의 함량을 조절하는 인자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전 연구보다 더 많은 지점을 선택한 후 최근 경향을 반영할 수 있는 표층퇴적물을 채집하여 대청호 퇴적물에 존재하는 인의 형태를 파악하고 퇴적인의 형태를 조절하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른 인공호수와 비교하여 대청호 퇴적인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전 연구보다 더 많은 지점을 선택한 후 최근 경향을 반영할 수 있는 표층퇴적물을 채집하여 대청호 퇴적물에 존재하는 인의 형태를 파악하고 퇴적인의 형태를 조절하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른 인공호수와 비교하여 대청호 퇴적인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2010)은 간척호수인 계화호 퇴적물 내 인의 특성을 조사함과 동시에 계화호와 비슷한 환경인 남양호와 화성호의 퇴적물내 인의 농도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계화호에서 용출될 수 있는 철산화물 형태의 인의 농도가 높음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산화물에 결합되어 있는 인이 가진 특성은? 일단 공극수로 방출된 인은 농도기울기에 의한 확산(diffusion)이나 퇴적물 재부유 등을 통하여 수층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철산화물에 결합되어 있는 인은 환경변화에 따라 공극수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공극수와 퇴적물 내 인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형태이다. 환경변화에 따라 퇴적물에서 수층으로 재유입되는 인은 2차 수질오염 즉 부영양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퇴적물에 존재하는 인의 형태와 함량을 연구하는 것은 수질관리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Zhang et al.
추계 대청호 퇴적물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인의 형태는 무엇인가? 추계 대청호 퇴적물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인의 형태는 환원환경이 되면 용출될 수 있는 Al-bound와 Fe-bound 인으로 나타났다. 총인, Al-bound와 Fe-bound 인은 가두리 양식장이 분포하였던 회남 지점과 대청댐 앞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인, Al-bound와 Fe-bound 인이 회남 지점과 대청댐 앞에서 높게 나타난 이유는? 총인, Al-bound와 Fe-bound 인은 가두리 양식장이 분포하였던 회남 지점과 대청댐 앞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가두리 양식장 같은 인위적인 활동보다는 세립질 퇴적물의 이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청호 퇴적인의 농도는 그 어느 존재형태도 타 인공호수에 비해 높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J.O., J.H. Kim, H.K. Lee and S.H. Jun. 1991. Amount of sedimentary phosphorus and metals in sediments of Daechung Lak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4: 137. 

  2. Chung, T.S., J.H. Hwang. 2003. Estimation of transport of particulate pollutants inflowing into Lake Daechung. Proceeding of spring meeting fo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173-176. 

  3. Dapeng, L., H. Yong, F. Chengxin and Y. Yan. 2011. Contributions of phosphorus on sedimentary phosphorus bioavailability under sediment resuspension condition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68: 1049-1054. 

  4. Filippelli, G.M. and M.L. Delaney. 1996. Phosphorus geochemistry of equatorial pacific sediments. Geochimica Cosmochimica Acta 60: 1479-1495. 

  5. Hawang, J., W. Chung. and Y. Chung. 2001. Phosphorus and metal content in the sediments from Daechung and Keum-River estuary reservoi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4: 85-91. 

  6. Jensen, H.S. and B. Thamdrup. 1993. Iron-bound phosphorus in marine sediments as measured by bicarbonate-dithionite extraction. Hydrobiologia 253: 47-59. 

  7. Jensen, H.S., P.B. Mortensen, F.O. Andersen, E. Rasmussen and A. Jensen. 1995. Phosphorus cycling in a coastal marine sediment, Aarhus Bay, Denmark. Limnology and Oceanography 40: 908-917. 

  8. Kim, B.C., J.H. Park and S.H. Jun. 1994. Phosphorus composition and release from Lake sediment and fecal deposit of fish cultur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7: 275-283. 

  9. Kim, K.H., J.H. Lee and K.G. Ahn. 2012. Spatio-temporal fluctuations with influences of inflowing tributary streams on water quality in Daechu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 158-173. 

  10. Lake B.J., K.M. Coolidge, S.A. Norton, and A. Amirbahman. 2007.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ternal loading of phosphorus from anoxic sediments in six Maine, USA, lakes.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373: 534-541. 

  11. Lee, J.K., T.W. Ahn and J.M. Oh.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on the phosphorus fraction properties from reservoir sedi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32: 840-850. 

  12. Lee, Y.S. 2005. Water quality effect of sediment release on reservoir. Proceeding of spring meeting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149-1152. 

  13. Liu, E., J. Shen, H. Yuan, E. Zhang and C. Du. 2013.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sedimentary phosphorus in Taihu Lake and the implications for internal loading change and recent eutrophication. Hydrobiologia 711: 87-98. 

  14.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996.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water quality of Daechung Resrvoir (II). NIER NO. 96-19-490. 

  15. Oh, K.H., D.H. Jeong, S.Y. Yang, T.W. Jeon and Y.C. Cho. 2013. Effects of submerged aerator on the growth of algae in Daechung Reservoi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35: 268-275. 

  16. Paludan, C. and H.S. Jensen. 1995. Sequential extraction of phosphorus in freshwater wetland and lake sediment: significance of humic acids. Wetlands 15: 365-373. 

  17. Richards, F.A. 1965. Anoxic basin and fjords. In: Riley, J.P. and G. Skirrow (Eds). Chemical Oceanography. V.1. Academic. 611-645. 

  18. Rittenberg, S.C., K.O. Emery and W.L. Orr. Regeneration of nutrients in sediments of marine basin. Deep-sea Research 3: 23-45. 

  19. Ruttenberg, K.C. and R.A. Berner. 1993. Authigenic apatite formation and burial in sediments from non-upwelling, continental margin environments. Geochmica Cosmochimica Acta 57: 991-1007. 

  20. Ryu, B.R. 2001. Releasing characteristics of nitrogen, phosphorus and metals of the sediments in Boryung Lake.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2: 29-38. 

  21. Seo, D.I. 1998. Strat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of Daechung La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20: 1219-1234. 

  22. Shim, M.J., S.R. Cho, K.T. Na, J.S. Shin and E.S. Kim. 2001. The geochemical properties of phosphorus from sediments of Lake Shihw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4: 16-27. 

  23. Son, J., T. Lee and H.S. Yang. 1999. Phosphorus phases in the surface sediment of the South Sea. Journal of Korean Fish Society 32: 680-687. 

  24. Wang, S., X. Jin, H. Zhao and F. Wu. 2006. Phosphorus fractions and its release in the sediments from the shallow lak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 of Yangtze River area in China. Colloids and Surfaces: Physicochemical Engineering Aspects 273: 109-116. 

  25. Zhang, Z., X. Tan, L. Wei, S. Yu and D. Wu. 2012. Comparison between the lower Nansi Lake and its inflow rivers in sedimentary phosphorus fractions and phosphorus adsorption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Earth Science 68: 1569-1576. 

  26. Zhu, Y., R. Zhang, F. Wu, X. Qu, F. Xie and Z. Fu. 2013. Phosphorus fraction and bioavailability in relation to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in sediments from Lake Hongfeng, Southwest China. Environmental Earth Science 68: 1041-1052. 

  27. Zonta, R., L. Zaggia and E. Argese. 1994. Heavy metal and grain-size distributions in estuarine water sediments of the Cona Marsh (Venic Lagoon, Italy). The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151: 19-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