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빈곤층의 주택개보수서비스 이용 경험
Experiences of the Housing Improvement Service Utiliz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 2015년, pp.171 - 184  

김지혜 (협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  김세원 (협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초록

본 연구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취약계층의 삶의 현실과 주택개보수서비스 이용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를 이용한 9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심리적 사회적으로 위축되는 한편, 비염과 알레르기 등의 건강상의 문제, 잠재된 위험에 대한 불안감 등을 안고 살고 있었다. 그러나 빈곤한 생활로 인하여 주택개보수에는 신경을 쓸 수 없는 형편이었으며, 집주인이나 세입자 모두 집에 대한 애착이 적어 주거개선에 무관심하여 주거의 열악함이 관리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담당 공무원 등의 연계로 주택개보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서비스 수혜에 대한 고마움이 매우 컸다. 주택개보수서비스 이후, 외관상으로 깔끔해진 집과 수리 이후의 안정감, 사회관계의 회복, 따뜻한 겨울나기에 대한 기대 등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고마운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주택개보수서비스는 '제한적인 서비스'로서의 한계 또한 갖고 있었다. 주로 외관상의 시급한 문제에 치중한 공사였고, 이는 제한된 공사비로 인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현 주거의 문제는 개보수 뿐 아니라,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상황들도 많이 있어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제도 및 정책적 변화도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주택개보수서비스와 관련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alities of life and the utilizing experience of housing improvement service among the vulnerable living in the indecent house.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nine interviewe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igured out that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택개보수의 제한적인 서비스는 어떤 점이 나타났는가? 그러나 이처럼 ‘고마운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주택개보수서비스는 ‘제한적인 서비스’로서의 한계 또한 갖고 있었다. 주로 시급한 외관상의 문제에 치중한 공사가 많았는데, 이는 제한된 예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또한 현재 주거의 문제는 소규모 주택개보수서비스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근본적인 주거환경개선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주택사업을 기본으로 하고 지자체 및 민간에서 지원해야 하는 부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3]. 본 연구를 통해서, 주택개보수서비스를 이용한 취약계층의 삶의 현실, 서비스 이용 경험, 개보수된 주거의 상태가 가져오는 긍정적인 성과와 서비스의 한계 등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주거빈곤은 전반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주거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유지하고 개인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주거환경에 따라 일상생활의 조직화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1]. 따라서 주거빈곤은 단순히 높은 주거비부담으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거 공간 내에 거주하는 가족 생활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가족 구성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위생상태, 가족관계, 생활만족, 아동발달 등 가족 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존 주택의 유지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기는 언제부터인가? 특히, 2000년대 들어 주택 보급률이 100%를 넘어서게 되면서부터 신축과 전면적인 재개발 방식에서 기존 주택의 유지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2002년 주거현물급여를 시작으로 다양한 방식의 주택개보수사업1이 수행되기 시작하였다[3][4]. 최근에는 주택개보수서비스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자체와 민간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여러 사업을 수행하는 등 우리사회의 중요한 정책 사업이 되어가고 있으며, 양적으로나 방법적으로 더 확대되고 다양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임세희,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2.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규모 및 특성의 변화(2005-2011)", 사회보장연구, 제30권, 제3호, pp.215-242, 2014. 

  3. 김세원, 김지혜, 2013년 경기도 무한돌봄 집수리 사업 만족도 분석, 경기복지재단, 2013. 

  4. 문영록, "주택개량사업의 평가와 향후 정책 방향", 주거복지컨퍼런스, 한국도시연구, 2013. 

  5. 이재홍, 천득염, "사회취약계층 주택개보수사업 개선방향연구-전남지역의 농어촌주거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5권, 제4호, pp.73-82, 2014. 

  6. 정금호, "농촌 주거취약계층 주택개보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5권, 제4호, pp.17-27, 2013. 

  7. 박인석, 강인호, 강부성, "주거만족도에 의한 주거 호나경의 개선우선순위 분석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9권, 제6호, pp.9-16, 1993. 

  8. 고재경, 주택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한 그린홈 보급 활성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0. 

  9. 임재현,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1호, pp.279-304, 2011. 

  10. 한국주거학회, 주거복지론, 교문사, 2007. 

  11. D. B. Coultas, H. Gong, R. Grad, A. Handler, and S. A. McCurdy, "Respiratory diseases in minorities of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Medicine, Vol.150, No.1, 1994. 

  12. D. J. Dedman, D. Gunnell, G. D. Smith, and S. Frankel, "Childhood housing conditions and later mortality in the Boyd Orr cohort," Journal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Vol.55, pp.10-15, 2001. 

  13. L. Haker, "Chance of a lifetime-the impact of bad housing on children's lives," http://image.gu ardian.co.uk/sys-files/Society/documents/ 2006. 

  14. 구자해, 우동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2, No.2, pp.123-126, 2002. 

  15. 김은미, 아동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6. 김민희,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복지패널에서 활용한 최저주거기준 미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7. N. M. Wells and J. D. Harris, "Housing quality,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withdrawal: A longitudinal study of low-income women," Journal of Environment Psychology, Vol.27, pp.69-78, 2007. 

  18. 김연옥, 유채영, 이인정, 최해경, 가족복지론, 나남출판, 2005. 

  19. 임세희, 이봉주, "최저기준 미달 주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3호, pp.243-265, 2009. 

  20. G. W. Evans, H. N. Ricciuti, S. Hope, I. Schoon, R. H. Bradley, R. F. Corwyn, and C. Hazan, "Crowding and child cognitive development-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responsiveness among 36-month-old children," Environmental and behavior, Vol.20, No.5, pp.1-14, 2009. 

  21. 국토해양부, 저소득층 주택상태 조사 및 개보수 사업 추진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11. 

  22. 김홍철, 저소득층의 에너지 복지와 WAP(주택에너지 효율화 사업), 환경정의대안사회국, 2011. 

  23. 시사투데이, "국토부, "저소득 자가가구, 주택상태 따라 주택개량 지원", 2014.10.30.일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