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 단위 분석
Impact of Factors on community-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munity Uni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 2015년, pp.276 - 285  

정용래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행정경영학과) ,  함명일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민인순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강은정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2012년 단면연구이며, 국가통계포털의 209개의 시군구별 2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본 틀은 International Council of Science(ICSU)에서 제시한 지역사회 건강결정요인을 바탕으로 구성하였고, 6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분석방법은 지역사회 EQ-5D지수와 지역사회 요인들에 다변량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 흡연율, "양호한" 주관적 건강수준 인식률, 상수 및 하수도 보급률 그리고 재정자립도가 EQ-5D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순인구이동률, 비만율, 필요서비스 미치료율 그리고 지역사회 유형이 EQ-5D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수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들의 연관성을 확인했으며, 이것은 지역사회 건강 정책 개발에 유용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community factors on the community-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Korea.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in 2012 using secondary data(n=209) of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framework was based on com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흡연이 EQ-5D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연구결과[30][31]와 단순분석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지만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다는 연구결과[22]도 있기 때문에 지역수준에서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포함한 결과 지역사회의 흡연율이 높을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개인수준의 연구결과와는 완전히 상반되는 것으로써 흡연과 건강 결과에 대한 논문을 고찰해보았다.
  • 이 연구는 지역사회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변수들인 흡연율, 양호한 주관적 건강수준 인식률, 물리적 환경 변수인 상수 및 하수도 보급률, 재정능력 변수인 재정자립도였다.
  • 이처럼 지역사회 단위의 건강관련 삶의 질 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단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영역의 지역사회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단위의 보건의료 자원배분이나 전략적 사업 개발과 지역 사회 개입에 대한 정책적인 방향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을 측정하는데 있어 삶의 질을 포함시킨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최근에 WHO헌장에서 건강을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안녕상태로 정의한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오타와헌장(1981)에서와 같이 개인적·사회적·경제적으로 생산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자원이라고 정의하는 경향이 확산됨에 따라 건강을 측정하는데 있어 삶의 질을 포함시키게 되었다. 이는 전통적인 건강결과를 측정하는 사망률과 이환율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다양한 건강 영역을 설명할 수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의 중요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간적 건조 환경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공간적 건조 환경에는 상하수도, 교통, 도시화 등이 포함되고, 환경적, 생태적 요인에는 자연환경이 포함되어 있다. 공간적 건조 환경과 환경적, 생태적 요인은 거주 지역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감염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지역사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6].
미국의 질병관리본부에서 정의한 건강관련의 삶의 질은? 건강관련 삶의 질은 전반적인 삶의 질의 하위 영역으로[19], 미국의 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0)는 건강관련의 삶의 질이란 생애 동안 개인 또는 집단이 인식하는 육체적 정신적 건강이라 정의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개인 수준과 지역사회 수준으로 나누었다. 개인 수준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은 개인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 건강위험요인, 사회적지지, 사회경제적 상태 등의 연관성을 인식하게 해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Paula Santana, "Ageing in Portugal: regional iniquities in health and health car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0, pp.1025-1036, 2000. 

  2. Ana V. Diez Roux, "Investigating neighborhood and area effects on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1, No.11, 2001. 

  3. Sandro Galea and David Vlahov, "Urban health: evidence challenges and directions," Annu. Rev. Public Health, Vol.26, pp.341-65, 2005. 

  4.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ICSU), Health Wellbeing in the Changing Urban Environment: a Systems Analysis Approach, 2011. 

  5. Paul E. M. Fine, "Herd immunity: History, Theory, Practice," Epidemiologic Reviews, Vol.15, No.2, 1993. 

  6. David Vlahov, Nicholas Freudenberg, Fernando Proietti, Danielle Ompad, Andrew Quinn, Vijay Nandi, and Sandro Galea, "Urban as a Determinant of Health," Journal of Urban Health: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Vol.84, No.1, 2007. 

  7. Robert A. Verheij, H Dike van de Mheen, Dinny H de Bakker, Peter P Groenewegen, and Johan P Makenbach, "Urban-rural variations in health in the netherlands: does selective migration play a part?,"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52, pp.487-493, 1998. 

  8. David hartley, "Rural health disparities, population health, and rural cultur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4, No.10, 2004. 

  9.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for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WHO, 2010. 

  10. Anoshua Chaudhuri, "Socio-economic inequity in healthcare utilization & expenditures in richer states in india," Indian J Med Res, Vol.136, No.3, pp.368-369, 2012. 

  11. John Duff, "Financing to forster community health care: A comparative analysis of singapore, Europe, North america and australia," Current sociology, Vol.49, No.3, pp.135-154, 2001. 

  12. Ronald M. Andersen,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6, pp.1-10, 1995. 

  13. David W. Baker, Joseph J. Sudano, Jeffrey M. Albert, Elaine A. Borawski, and Avi Dor, "Lack of Health Insurance and Decline in Overall Health in Late Middle Age," N. Engl. J Med, Vol.345, pp.1106-1112, 2001. 

  14. Jackie Green, "Health education-the case for rehabilitation," Critical Public Health, Vol.18, No.4, pp.447-456, 2008. 

  15. Meredith Minkler, Nina Wallerstein, and Nance Wilson, Improving health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 and community building,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practice, chapter 14, 1997. 

  16. Angus Nicoll, "Integrated management of childhood illness in resource-poor countries: an initiative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Vol.94, pp.9-11, 2000. 

  17. The secretary's advisory committee on 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objectives for 2020, Recommendations for the framework and format of healthy people 2020, 2008. 

  18. 나백주, "제5기 지역보건의료계획 방향과 지침 소개",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제35권, 제2호, pp.195-203, 2010. 

  19. T. Aghamolaei, S. Sadat Tavafian, and Shahram Zare, "Determinant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People Living in Bandar Abbas," Iran, Iranian J Public health, Vol.40, No.2, pp.128-135, 2011. 

  20.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Measuring Healthy Days: Population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2000. 

  21. 김정연,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 구축,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22. 한미아, 류소연, 박종, 강명근, 박종구, 김기순, "일부 농촌지역 성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 예방의학회지, 제41권, 제3호, 2008. 

  23. 조동기, "건강관련 삶의 질의 사회인구학적 상관 요인에 대한 공간분석", 한국인구학, 제2권, 제3호, pp.1-20, 2009. 

  24. Suzanne Polinder, Juanita A Haagsma, Eefje Belt, Ronan A Lyons, Vicki Erasmus, Johan Lund, and Ed F van Beeck,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general injury populations," BMC Public Health, Vol.10, p.783, 2010. 

  25. EuroQol group, "EuroQol: 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EuroQol Group. Health Policy, Vol.16, No.3, pp.1999-208, 1990. 

  26. 질병관리본부, 삶의 질 조사도구(EQ-5D)의 질가중치 추정연구 보고서, 2007. 

  27. E. Audureau, S. Rican, and J. Coste, From deindustrialization to individu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ultilevel evidence of contextual predictors, mediator and modulators across french region, 2003, Health & Place, Vol.22, 2013. 

  28. K. R. Fontaine and I. Barofsky, "Obes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besity review, Vol.2, pp.173-182, 2001. 

  29. Matthias Vogl, Christina M Wenig, Reiner Leidl and Subhash Pokhrel, "Smok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nglish general population: implications for economic evaluations," BMC Public Health, Vol.12, p.203, 2012. 

  30. 손기영, 김민균, 김지연, 나세원, 위지영, 이유리, 정예지, 천유진, 김채윤,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자본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제10권, 제3호, 2010. 

  31. 최충현,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대한 회귀모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2008)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32. Alan D Lopez, Neil E Collishaw, and Thapni Piha, "A descriptive model of the cigarette epidemic in developed countries," Tobacco Control, Vol.3, pp.242-247, 1994. 

  33. Ira B. Wilson and Paul D. Cleary,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AMA, Vol.273, No.1, pp.9-65, 1995. 

  34. 조민우, 이상일, 길선령, 이지호, 강위창, 손혜숙, 유철인, "EQ-5D를 이용한 일개 광역시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보건행정학회, 제18권, 제3호, 2008. 

  35. 배상열, 고대식, 노지숙, 이병훈, 박형수, 박종,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55-266, 2010. 

  36.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WHO, 2008. 

  37. David P. Rebhan, Health Care Utilizati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ories and models of health care seeking behavior,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38. 박고운, 박병현, 지방자치 단체의 사회복지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2007. 

  39. 윤은기, 삶의 질 측정지표와 델파이분석,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11. 

  40. 조성호, 신원득 김흥식, 허재완, 윤태웅, 경기도민의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9. 

  41. David Vlahov, Emily Gibble, Nicholas Freudenberg, and Sandro Galea, "Cities and health: History, Approaches and Key Questions," Academic Medicine, Vol.79, No.12,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