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규칙적 운동, 신체적 기능, 건강수준,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성별 경로 분석
A Path Analysis on Factors - Depression, Level of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and Regular Exercise -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ex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2, 2016년, pp.337 - 348  

박정모 (경인여자대학교) ,  김정숙 (경인여자대학교) ,  김미원 (상명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depression, level of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depression) influenc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Q5D)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according to sex. Methods: A total of 226 elderly subjects over the age of 65 years in community were inc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 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규칙적인 운동, 객관적 신체기능(체력), 건강수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경로와 직, 간접 효과를 규명하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가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남녀에 따라 주력해야 할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노인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삶의 질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중심 의사결정을 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와 경로를 확인하고 차이를 파악하여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차별적인 전략을 적용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경로당을 이용하는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 미치는 요인들의 직ㆍ간접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노인의 삶의 질을 규명하고자 혹은 증진시키고자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남녀 성별을 구분하여 진행한 연구는 드물었다.
  • 이중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 저하, 질병 등 신체적 영역에서의 문제는 사회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건강수명을 단축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이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 설문에 의한 측정이나 정성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영역에서 중재하기 어려운 사회경제적 요인보다는 지역사회 노인에 있어 일상생활에서의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규칙적 운동과 실제적인 신체기능 등 신체적 영역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상관관계를 분석한 다음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삶의 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경로모형을 구성하고 주요 변수들의 직접ㆍ간접효과의 크기와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건강수준, 신체기능 수준, 운동 빈도를 외생변수로 지정하고 우울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경로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 2013)등으로 다양하게 설명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은 크게 나누어 본다면 신체적 영역과 사회, 심리적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 저하, 질병 등 신체적 영역에서의 문제는 사회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건강수명을 단축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이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 설문에 의한 측정이나 정성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이란 개인의 삶의 목적, 기대, 기준 및 관심사가 개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받아 느껴지는 주관적인 삶의 질을 의미한다(Kim, 2013). 그러나 삶의 질에 대한 연구와 논의에 있어 완전히 합의된 개념이나 지표를 정하기 어려워 삶의 질에 대한 정의, 연구 주제나 대상 및 분야, 연구자의 판단 등에 따라 다양하게접근하고 있는데(Yim, Kim & Han, 2013), 노인에 있어 삶의 질은 주로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건강의 정의로부터 발전된 개념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기능을 포함하는 건강과 안녕으로 정의하는 ‘건강관련 삶의 질’을 의미한다.
우리나라가 고령화국가로 진입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2세, 여성 기대수명은 81.7세로(Korean Statistics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6) 은퇴 이후의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이에 따른 역할 상실, 신체적 기능 상실, 경제적 어려움 등의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른 문제해결에 있어 성별, 환경, 건강수준, 연령 등에 따른 다양하고 실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 C. M. (2013).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la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372-383.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2.372 

  2. Cho, G. O. & Nam, S. N. (2013).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life quality according to gender in Korean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4), 775-785. 

  3. Choi, Y. H. & Lee, C. J. (2013). The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variables with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5-15.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5 

  4. Chungnam University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Report on instrument of quality of life (EQ-5D).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5. Gordin, G. & Shephard, R. J. (1985). A simple method to assess exercise behavior in the community.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 10, 141-146. 

  6. Han, S. J. & Kim, H. S. (2014), Factors influencing in low-income living at home based on ICF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2), 337-357. 

  7. Han, S. T. (2008). Study about determinant factor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 comparis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variabl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2(3), 441-461. 

  8. Jun, C. B., Jung, S. Y., & Cho, K. O. (2013). Effects of Korean danc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lood inflammatory markers, and senior fitness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3), 551-561. 

  9.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10. Kim, H. S. & Park, W. Y.(2005). Senior fitness manual. Seoul; Daehanmedia. 

  11. Kim, I. B. & Ahn, D. H.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mental health for successful aging in old-aged women.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8(1), 9-18. 

  12. Kim, J. I. (2013).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1), 99-109.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99. 

  13. Kim, Y. H., Cardinal, B. J., & Lee, J. Y. (2006). Understanding exercise behavior among Korean adults: a test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3, 295-303. 

  14. Kim. J, Y., Lee, S. K., & Lee, S. K.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71-484. 

  15. Korean Statistics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6). Population/household, estimated poulation and proportion by age groups and sex. Retrieved may, 10, 2016,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jsp?pubcodePJ. 

  16. Lee, B. J. (2001).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lderly women's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ir daily activity level. Unpulished ma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7. Lee, H. S. & Kim, H. (2008). The influence of the gym-ball exercise program on the health fitness strength and life quality of the old femal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7(2), 915-927. 

  18. Lee, Y., Lee, Y. S., Han, A., & Kim, S. Y. (2012). Effects of silverobics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one mineral density and living fitness of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1(1), 1155-1164. 

  19. Mills, E. M. (1994). The effect of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among sedentary elderly persons. Nursing Research, 43(4), 207-211. 

  20. Nam, S. K. & Shim, O. S.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53, 196-216. 

  21. Oak, J. S. & Park, W. Y. (2004).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fitness and equilibrium sensory function in old adults. Exercise Science 13, 313-343. 

  22. Oh, J. H. & Yi, M. (2012). Factors that affect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9(2), 102-110. 

  23. Oh, Y. H., Bae, W. O., & Kim, S. K. (2006).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3), 461-476. 

  24. Park, S. Y. (2014).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 KNHANES V-2.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5(2), 249-258. 

  25. Shin, G. Y. & Kim, E. K.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vulnerabl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3), 419-431.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3.419 

  26. Yim, C. H., Kim, J. Y., & Han, I. S. (2013). National level compare and multidimension of national happiness. Scholar presentation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in 2013, 2244-2273. 

  27. Seong, S. S., Choi, C. B., Sung, Y. K., Park, Y. W., Lee, H. S., Uhm, W. S., Kim, T. W., Lee, H. S., Jun, J. B., Yoo, D. H., Lee, O. Y., & Bae, S. C. (200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 Koreans. Journal of Rheumatic Disease, 11(3), 254-2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