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투여가 벌자상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edication in the Patients with Bee-St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 2015년, pp.350 - 356  

조병준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문수재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선예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벌자상에 대한 병원 전 응급처치와 약물투여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119 구급대의 병원 전 에피네프린 약물투여를 도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소방본부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통하여 벌자상 환자를 선별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2013년 벌자상으로 119 구급대를 이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벌자상으로 이송된 22명을 대상으로 119 구급대원에 의해 작성된 구급활동일지와 아나필락시스 환자 응급처치 세부 상황표, 환자의 연령과 성별, 약물투여 여부, 환자 이송시간, 활력징후, 주요 증상, 응급처치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의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산소공급, 정맥로 확보 후 수액투여, ECG 모니터링, 항히스타민제 투여가 나타났다. 케이스별로 보면 의료지도 하에 병원 전 에피네프린을 투여한 경우 환자가 중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존하였다. 결론적으로 벌자상 아나필락시스 환자에 대한 119 구급대의 약물투여와 응급처치는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산소공급, 기도유지, 정맥로 확보와 함께 약물투여가 환자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119 구급대가 에피네프린을 사용할 수 있는 법적장치를 마련하여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ffect factors of Pre-Hospital Medication in the Patients with Bee-Sting.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using epinephrine in prehospital stage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management of anaphylaxis following a bee sting. Methods: Patients suffering from a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구급활동일지의 기록만을 바탕으로 증상과 징후를 통해 중증도를 구분하였기 때문에 중등도 분류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고, 아나필락시스의 발생까지의 시간을 알 수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본 연구는 아나필락시스환자를 처치함에 있어서 119 구급대의 병원 전 처치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이기 때문에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을 것으로 판단한다.
  • 따라서 벌자상 후 발생한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특징적 소견과 임상양상 그리고 발생률을 조사하여 벌자상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임상과 에피네프린 약물치료에 대한 임상적인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제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벌자상 환자들의 예후와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고, 특히 응급처치 요인들이 벌자상 환자의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응급의료서비스 체계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벌자상에 대한 병원 전 응급처치와 약물투여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119 구급대의 병원 전 에피네프린 약물투여를 도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소방본부 구급활동일지 자료를 후향적 조사한 연구로서 2013년 벌자상으로 119 구급대를 이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벌자상에 의한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증상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하여 조사한 변수들은 어떤 것인가? 벌자상에 의한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증상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환자의 연령, 성별, 사고 발생월, 신고접수에서 현장 도착시간, 현장출발에서 병원도착시간, 신고접수에서 병원도착까지 전체 이송시간, 소방서에서 현장까지 거리, 현장에서 병원까지 거리, 소방서에서 병원까지 전체 이송거리, 벌자상 후 발생한 증상 및 징후, 응급처치내용, 약물 투여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해당기관의 책임자에게 본 연구의 취지 및 조사내용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 자료열람에 대한 동의를 얻은 후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 벌자상 환자의 시간별 조사 결과는 어떠한가? 벌자상 환자의 시간별 조사 결과는 [Table 4]와 같이 오전에 17명(77.3%)이 발생하였고, 오후 5명(22.7%)으로 나타났다. 월별 벌자상 수 조사 결과 8월에 8명으로 9월에 12명이 발생하였고, 10월에 2명이 발생하였다.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응급 처치 시 중요한 약물은? 전신반응 중 아나필락시스란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비만세포나 호염기구에서 히스타민이나 류코트리엔 등 매개물질의 방출에 의하여 피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심혈관계증상 등이 발생하는 급성반응으로 매우 위험하며 즉각적인 응급 처치를 받아야 할 치명적인 질환이다[1]. 그러나,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응급 처치시 중요한 약물은 에피네프린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에피네프린 투여는 병원내에서 의사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나필락시스 환자가 병원내에 도착해야만 비로소 시작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E. Novembre, A. Cianferoni, R. Bernardini, L. Mugnaini, C. Caffarelli, and G. Cavagni, "Anaphylaxis in children: clinical and allergologic features," Pediatrics, Vol.101, No.8, pp.27-38, 1998. 

  2. D. B. Golden, D. G. Marsh, A. Kagey-Sobotka, L. Freidhoff, and M. Szklo, "Epidemiology of insert venom sensitivity," JAMA, Vol.262, pp.240-244, 1989. 

  3. R. D. Rubenstein, "Bee-sting diseases Who is at risk? What is the treatment?," Lancet, Vol.1, pp.496-499, 1982. 

  4. A. I. Neugut, A. T. Ghatak, and R. L. Miller, "Anaphylaxis in the united states; an investigation into its epidemiology," Arch intern. Med, Vol.161, pp.15-21, 2001. 

  5. J. C. Kim and S. C. Kim, "Clinical Study of Anaphylactic Patients with Bee sting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iety Emerg Med, Vol.16, No.4, pp.403-409, 2003. 

  6. S. Y. Kang and S. I. Chang, "A Survey on the bee venom allergy in children of a rural area,"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Vol.7, pp.1-7, 1987. 

  7. Y. K. Kim and Y. S. Jang, "Prevalence of bee venom allergy in children and adults living in rural area of Cheju Island,"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Vol.18, pp.451-457, 1998. 

  8.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Emergency Medicine, 1th ed. Seoul: Koonja, 2011. 

  9. G. Y. Hur and J. E. Kim, "Clinical features of bee venom allergy,"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Vol.26, pp.145-150, 2006. 

  10. Resuscitation Council, Emergency treatment of anaphylactic reactions, Guidelines for healthcare providers, London: Resuscitation Council, 2008. 

  11. Yonse University EM, Emergency rescue, Care, 7th, Seoul, Kunja books, 2014. 

  12. Y. I. Kim and S. H. Park, "Clinical significance of past history on the preceding reaction to bee sting and specific IgE antibody to bee venom in patients with bee sting anaphylaxi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Vol.30, pp.202-208, 2010. 

  13. S. J. Kim and Y. S. Jung, "Acut renal failure due to multiple hornet sting and snake bite," J Korean Soc Emerg Med, Vol.5, pp.287-289, 1994. 

  14. S. W. Park, B. K. Lee, and S. W. Yun, "Necessity of Epinephrine in Pre-Hospital Stage-In the Early Management of Anaphylaxis Following a Bee Sting," J Korean Soc Emerg Med, Vol.23, No.5, pp.578-583, 2012. 

  15. J. Y. An and J. S. Kim, "Related citations .Hemichorea after multiple bee stings," Am J Emerg Med, Vol.32, No.2, pp.196-199, 2014. 

  16. R. S. Pumphrey, "Lessons for management of anaphylaxis from a study of fatal reactions," Clin Exp Allergy, Vol.30, pp.1144-1150, 2000. 

  17. R. Langley, K. Mack, T. Haileyesus, and S. Proescholdbell, "National Estimates of Noncanine Bite and Sting Injuries Treated in US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s, 2001-2010," Wilderness Environ Med, Vol.25, No.1, pp.14-23, 2014. 

  18. S. Senthilkumaran, S. S. David, R. G. Meneze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riggered by bee sting: an alternative view," Emerg Med Australas, Vol.25, No.6, pp.615-619, 2013. 

  19. J. C. Kim, S. C. Kim, and Y. S. Kim, "Clinical study of anaphylactic patients with bee sting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 Soc Emerg Med, Vol.16, No.4, pp.403-40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