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Innovative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 2015년, pp.451 - 461  

진윤희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  김성종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기업에서 혁신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여 직무자율성을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적 분석결과로 부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연구가 수행되었다. 공공조직의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관한 이론이 잘 정립되지 못해 일반 조직행태 분야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는 직무자율성, 직무열의 등의 변수들이 공공조직의 혁신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기획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 검증이 이루어졌고 분석결과 직무자율성인식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부분적 매개변수로 작용함이 나타났다. 직무열의가 직무자율성인식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것은 행동의 준비상태인 태도를 구성하는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통한 확인이라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가 있다. 실무적 차원에서는 공기업에서도 직무자율성을 높이는 것을 통해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를 불러일으키고 혁신행동을 격려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성과관리와 같은 제도적 수단과 함께 업무계획의 수립, 업무수행방법의 선택 등에 관한 결정을 할 수 있는 자율성을 보장해줌으로써 직무수행과정에서 열정을 느끼고 궁극적으로 혁신행동을 유발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innovative behavior in public organizations. Major finding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variable 'job engagement' took a positive ro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기업에서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 조직에서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자율성-직무열의-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공공부문 조직의 구성원들이 혁신행동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 따라서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련성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직무열의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라 생각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자율성은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분석해보고자 하며 직무자율성이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직무열의가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과의 사이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할 것인지도 검증하게 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자율성의 지각이 혁신행동을 자극하는 인과적 구조를 밝히고 직무열의가 두 변수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직무열의가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공기업에서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이 분석 모형에서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변수 ’직무열의‘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검증도 이루어진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직무자율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직무자율성은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직무열의는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 직무열의는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혁신행동에 대한 선행연구자들은 조직의 구조와 문화적 특성, 조직 구성원 개인의 태도와 심리적, 정서적 특성들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험적 연구 결과 ‘조직 공정성’, ‘심리적 자본’, ‘조직문화’, ‘리더십 특성’, ‘직무특성’, ‘핵심자기평가’,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이 혁신행동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3][5][6][9][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 내에서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한가? 혁신은 변화로부터 기대되는 혜택을 이끌어 내기 위한 의도적 시도로 새로운 아이디어, 절차, 제품을 집단 및 조직에 의도적으로 도입하고 적용하는 것이다[30]. 조직 내에서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실행주체인 구성원의 역할과 태도가 중요하다. 조직구성원들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혁신활동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때 조직수준에서의 혁신활동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조직 수준에서 혁신행동이 일어나기 위해 조직이 변화에 대해 개방적이고 혁신을 위해 충분한 환경을 제공하고 지원해 주어야 하는 이유는? 따라서 혁신행동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조직이 변화에 대해 개방적이고 혁신을 위해 충분한 환경을 제공하고 지원해주어야 한다[6]. 불확실한 환경에서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위축되고 변화를 두려워하게 되는 성향이 있으므로 스스로 변화를 주도하고 자신의 직무를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심리적 환경의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된다[1][19].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그동안 언급되었던 개인의 심리적 자본과 관련된 요인의 하나인 직무 자율성과 직무열의가 혁신행동 자극요인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심층적 분석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혁신행동이란? 혁신행동은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과업이나 소속 집단 또는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새롭고 유익한 아이디어를 도입해 과업 수행방법 및 절차 등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과업수행 결과의 향상을 꾀하는 업무행동을 말한다[13]. 모든 조직에서 혁신행동은 조직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원천으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16][2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고득영, 유태용,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성격과 조직혁신풍토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5권, 제1호, pp.215-238, 2012. 

  2. 김성종, "지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713-721, 2014. 

  3. 김형진, 심덕섭, "심리적자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인적자본 개발노력과 사회적자본 개발 노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11호, pp.3003-3028, 2013. 

  4. 김해룡, 김쌍언,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5집, 제4권, pp.199-229, 2011. 

  5. 김해룡, 양필석, "핵심자기평가와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1권, 제5호, pp.1831-1857, 2008. 

  6. 문계완, 최석봉, 문재승,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6호, pp.3289-3320, 2009. 

  7. 박경규, 신이현, 최항석, "혁신행동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한국경상학회, 제20권, 제4호, pp.95-119, 2012. 

  8. 박경환, 한인수, "혁신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성격과 작업환경: R&D 연구원 기술인력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28권, 제2호, pp.477-504, 1999. 

  9. 심덕섭, 하성욱, "직무특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산업혁신연구, 제29권, 제3호, pp.95-124, 2013. 

  10. 오아라, 직무열의(Job Engagement)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선행요인, 조직시민행동 및 혁신행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1. 이덕로, 김태열, "직무특성이 개인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선행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37권, 제3호, pp.443-475, 2008. 

  12. 이용규, 정석환, "공조직에서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13권, 제1호, pp.7-34, 2007. 

  13. 최인옥, 박지환, 선종규, "조직문화와 구성원 혁신행동의 관계: 조직신뢰와 과업갈등의 조절효과," 산업혁신연구, 제27권, 제3호, pp.1-33, 2011. 

  14. 하용규, "인적자본과 혁신해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440-449, 2010. 

  15. T. M. Amabile,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5, No.2, pp.357-367. 

  16. D. Ancona and D. Caldwell, "Management Issues Facing New Product Teams in High Technology Companies," Advances in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Greenwich, CT, JAI Press, pp.191-221, 1987. 

  17. A. Bandura and E. A. Locke, "Negative Self-efficacy and Goal Effects Revisite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1, pp.78-99, 2003. 

  18. M. A. Camp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Job Design: A Constructive Replication With Extens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3, No.3, pp.467-481, 1988. 

  19. J. Collins and J. I. Porras, Built to Last: Successful Habits of Visionary Companies, Harper Business, 1994. 

  20. M. Frese, W. Kring, A. Soose, and J. Zempel, "Personal initiative at work : Difference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pp.37-64, 1996. 

  21. E. Glassman, "Managing for creativity Back to Basics in R&D," R&D Management, Vol.16, No.2, pp.175-183, 1986. 

  22. J. R. Hackman and G. R. Oldham,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16, pp.250-279, 1976. 

  23. O. Janssen,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3, pp.289-302, 2000. 

  24. R. Kanter, "When a thousan flowers vloom: Structural, collective, and social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n Staw B. M. and L. L. Cuming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0, pp.169-211, CT, JT Press, 1988. 

  25. Katz, "The motivational basis of organizational behavior," Behavioral Science, Vol.9, Issue.2, pp.131-146, 1964. 

  26. G. R. Oldham and A. Cummings,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urnal, Vol.39, No.3, pp.607-634, 1996. 

  27.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Tesgt manual for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Unpubished manuscript, Utre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Retrieved from http://www.schaufeli.com, 2001. 

  28. S. Scott and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pp.580-607, 1994. 

  29. Van de Ven,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Management Science, Vol.32, No.5, pp.590-607, 1986. 

  30. M. A. West and J. L. Farr, "Innocvation at Work: Psycological Perspectives," Social Behavior, Vol.4, No.1, pp.15-30, 1989. 

  31. J. Zhou, "Feedback Valence, Feedback Style, Task Autonomy, and Achievement Orientation: Interactive Effects on Creativ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 No.2, pp.261-276,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