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인 임원십육지의 제조법을 바탕을 이용하여 계피 및 한약재에 누룩을 발효원으로 넣어 발효시킨 음청류인 계장을 제조하였다. 계장은 $10^{\circ}C$, $20^{\circ}C$, $30^{\circ}C$에서 7일간 발효한 후 경시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유기산,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lactic acid, acetic acid, shikimic acid 등의 유기산의 생성으로 인해 pH는 낮아지고 산도는 증가하여 계장의 상큼한 맛과 시큼한 맛이 증가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20^{\circ}C$에서 3일 발효한 시료는 0.5387 mg/mL lactic acid, 0.3810 mg/mL acetic acid, 0.0016 mg/mL shikimic acid를 함유하였으며, 38.18 mg/mL glucose, 7.99 mg/mL maltose, 52.88 mg/mL fructose, 1.64 mg/mL mannitol을 함유하였다. 아미노산 중에서는 계장의 쓴맛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여겨지는 tryptopha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이외에도 asparagines, proline, arginine, aspartate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0^{\circ}C$에서 3일간 발효한 계장은 36.70 mg/L tryptophan을 함유하고 있었다. 전체적인 유기산, 유리당, 아미노산의 함량은 $30^{\circ}C>20^{\circ}C>10^{\circ}C$ 순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10^{\circ}C$에서 3일간 발효한 계장의 향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circ}C$에서 3일간 발효한 계장의 맛 기호도와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통 음청류 계장의 재현을 위해서는 제조 후 $20^{\circ}C$에서 3일간 발효하는 것이 가장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계장의 맛과 관련된 발효 대사물에 관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계장의 맛과 향을 살리면서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발효조건과 활용방안을 탐색한다면 전통 발효음청류 계장의 대중화가 실현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yejang is a Korean traditional beverage manufactured from medicinal plants and fruits using honey, sugar, or starch in cold water. In this study, cinnamon-containing kyejang, which is a type of beverage Jang, was reproduced based on Imwonsibyukji's method published in 1827 in the Korean litera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여러 종류의 전통 음청류가 존재하나 식혜와 수정과에 관해서만 제조 방법, 연관된 품질 특성, 기호도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을 뿐(2-4) 이외의 기타 전통 음청류에 대해서는 인지도와 기호도에 관한 연구만이 일부 보고되어 있다(5,6).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에 나타난 제조법을 바탕으로 전통 음청류 중 하나인 장(漿)을 재현하고 품질 및 기호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 2)Different letters (a-d)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헌 상 가장 먼저 나타난 장(漿)에 대한 기록은 무엇인가? 장(漿)은 한약, 과실, 외무리 등을 꿀, 설탕, 녹말을 푼 물에 침지하여 숙성시켜서 약간 시게 하여 마시는 음료를 말하며 콩을 발효시킨 장(醬)류와는 다르다(7). 장(漿)이 문헌에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조선중기 숙종 때 실학자인 홍만선 (1643~1715)이 쓴『산림경제(1715)』에 모과장의 조리법이 기록된 것이다. 이후 여러 문헌에서 모과장, 여지장, 계장, 유자장 등의 기록이 발견되었으나 조선말기부터의 문헌에서는 장에 대한 기록을 발견할 수 없고 현재 그 조리법이 널리 전수되지 못하고 있다.
음청류란? 음청류란 술 이외의 기호성 음료를 총칭하는 것으로 삼국 시대 이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 음청류로는 차, 탕, 장, 화채, 식혜, 수정과, 갈수, 숙수, 화채 등으로 구분되는 153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다(1). 이처럼 여러 종류의 전통 음청류가 존재하나 식혜와 수정과에 관해서만 제조 방법, 연관된 품질 특성, 기호도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을 뿐(2-4) 이외의 기타 전통 음청류에 대해서는 인지도와 기호도에 관한 연구만이 일부 보고되어 있다(5,6).
계피의 생리활성 물질의 종류와 효능은? 계피의 주요 성분은 방향족 화합물인 cinamonaldehyde로 약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이외에 cinnamyl acetate, cinnamyl alcohol, eugenol, carvacrol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11), 항산화(12), 항균작용(13), 항알레르기(14,15)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e HJ. 1994. Korean beverage culture. Korean J Dietary Culture 9: 421-429. 

  2. Kim MR, Seo JH, Heo OS, Oh SH, Lee KS.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commercial sikh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28-732. 

  3. Jeong SI, Yu H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the roots powder of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59-765. 

  4. Seo JH, Sung TH, Kim MR.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jongkw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370-378. 

  5. Park GS, Kim GS. 2012. Originals: Investigation into the preference and demand for functional drinks (Korean traditional drinks). Korean J Food Cookery 28: 413-421. 

  6. Park EY, Han YS. 2007. A survey on the plans to market traditional Korean beverages as take-out products. Korean J Food Culture 20: 501-508. 

  7. Kim HY. 2001. Beverage in Korea. Hyoil, Seoul, Korea. p 135-136. 

  8. Seo YG. 2007. Imwonsibyukji: jeongjoji. Jeong NW, Jo SH, eds. Kyomunsa, Gyeonggi-do, Korea. p 253. 

  9. Kim NM, Jeon BS, Park CK, Kim WJ. 1993.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miner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in cinnamon extracts. J Korean Agric Chem Soc 36: 249-254. 

  10. Chung HR, Lee JY, Kim DC, Hwang WI. 1999. Synergistic effect of Panax ginseng and Cinnamoum Blume mixture on the inhibition of cancer cell growth in vitro. J Ginseng Res 23: 99-104. 

  11. Tabak M, Armon R, Neeman I. 1999. Cinnamon extracts inhibitory effect on Helicobacter pylori. J Ethnopharmacol 67: 269-277. 

  12. Baker I, Chohan M, Opara EI. 2013. Impact of cooking and digestion, in vitro, on the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innamon, clove and nutmeg. Plant Foods Hum Nutr 68: 364-369. 

  13. Jeong ET, Park MY, Lee JG, Chang DS. 1998.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mutagenesis of cinnamon (Cinnamomum cassia Blume) bark extract. J Fd Hyg Safety 13: 337-343 

  14. Kim RM, Kim YH, Lee EB. 2000. Anti-allergy activity of cinnamomi cortex. Natural Product Sciences 6: 49-51. 

  15. Park KH, Kim DS, Lim YH. 2001. Anti-allergic compound isolated from Cinnamomum cassi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40-42. 

  16. Jeong ST, Kwak HJ, Kim S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genic amine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commercial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27-734 

  17. Yu TS, Kim HS, Hong J, Ha HP, Kim TY, Yoon IH. 1996.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nuruk (until 19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70-179. 

  18.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9. Hwang SH, Chung CH. 2011. Production of sikhae fermented beverage using a dextran producing isolate from kimchi and takju yeas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82-87. 

  20. Kim DC, Choi JW, In MJ. 2007. Acidic beverage fermentation using citrus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ermented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37- 1043. 

  21. Ahn CS, Yuh CS, Bang IS.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mulberry leaf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2: 272-278. 

  22. No JS, Seo HJ, Oh MJ, Kim MH, Cheigh HS, Song YO. 2007.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built in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Korean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32-437. 

  23. Jeong JS, Kim SH, Kim ML, Choi KH. 2007. Acidic beverage fermentation using citrus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ermented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37-1043. 

  24. Cho KM, Ahn BY, Seo WT. 2008. Lactic acid fermentation of gamju manufactured using medicinal herb deco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49-655. 

  25. Korea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8. Dictionar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wangilmunhuasa, Seoul, Korea. p286. 

  26. Ha JH, Hawer WD, Kim YJ. 1998. Changes of free sugar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633-638. 

  27. Ryu BH, Kim DH, Yun WJ. 1996. Characteristics of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sp. KY-002. Korean J Biotech Bioeng 11: 636-641. 

  28. Park HK, Sohn KH. 1997.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 in the flavo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II)-nalysis of nitrogen compound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63-69. 

  29. Cha WS, Cho Mj, Ding JL, Shin HJ. 2008. Nutritional component analysis of green tea tree's root and seed. Korean J Biotech Bioeng 23: 387-391. 

  30. Yang SH, Choi MR, Kim JK, Chung YG. 1992. Characteristics of the taste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443-448. 

  31. Hong BP, Byun HS. 2008.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Ltryptophan of affinity membrane. Membrane Journal 18: 214-218. 

  32. Lim SD, Kim KS. 2009. Effects and utilization of GABA. Korean J Dairy Sci Technol 27: 45-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