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
Relations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1, 2015년, pp.1 - 10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강현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권미경 (가톨릭관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 방법과 의무기록 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2개 대학병원과 시립병원, 강릉시 1개 종합병원에서 미숙아로 출생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에서 퇴원이 예정된 환아와 그 어머니 80명이다. 결과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점수의 평균은 $9.75{\pm}5.06$점이었고 산후 우울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12점 이상군은 전체의 30.0%였다. 산후우울과 관련된 변수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F =3.493, p =.035)과 가정 내 월 소득(F=5.828, p =.004), 다태아 여부(t=2.141, p =.037), 융모양막염(t=2.349, p =.021), 양수과소증(t=-2.226, p =.029), 기관지폐이형성증(t=2.085, p =.040), 배기질출혈(t=2.259, p =.027) 여부, 개정판 NBRS 점수(t=-2.772, p =.007)였다. 그리고 산후우울과 미숙아의 입원 시 주요 건강문제의 개수의 합(r=.252, p =.024)과 개정판 NBRS 점수(r=.316, p =.004)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미숙아 어머니들의 산후우울의 위험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며 미숙아의 객관적 건강 상태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수준 등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relationships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the mothers of 80 premature infants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Postpartum depression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 시기에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을 파악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서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산후우울의 위험 인자로 여겨지는 산과적 주요 건강문제와 더불어 미숙아의 주요 건강문제와 같은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미숙아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시 임상적 특성은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동맥관개존중(patent ductus arteriosus), 신생아폐동맥고혈압지속증(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기관지폐이형성증(broncho-pulmonary dysplasia), 배기질출혈(germinal matrix hemorrhage), 뇌실내출혈(intra ventricular hemorrhage), 뇌실주위백질연화증(periventricular leukomalacia), 미숙아망막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신생아황달(jaundice), 괴사성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총 10가지 주요 병력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되는 병력의 총 개수를 합하여 미숙아 건강 문제의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입원기간 동안 인공호흡기 삽입 일수, 재원 기간, 퇴원 시 체중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미숙아 어머니들의 산후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미숙아의 어머니와 미숙아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 성을 파악하여 미숙아 어머니들의 산후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미숙아의 퇴원 예정 시점에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위험 비율은 30%를 차지하고 있어,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퇴원 전 산후우울에 대한 스크리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서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 2009; Lee & Ju, 2014) 매우 복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을 참고하여 미숙아 출산이라는 특정 사건을 경험한 미숙아의 어머니의 산후우울과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서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산후우울의 위험 인자로 여겨지는 산과적 주요 건강문제와 더불어 미숙아의 주요 건강문제와 같은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결과는 향후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서 미숙아와 어머니를 포함한 가족의 적응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 사정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외수정술 및 배란촉진제를 사용한 보조생식술의 발달로 무엇이 증가하는 추세인가? 체외수정술 및 배란촉진제를 사용한 보조생식술의 발달로 이용자가 확대되면서 다태아 임신 및 미숙아를 비롯한 고위험신생아의 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실제로 2011년에는 출생아의 6.
산후우울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산후우울이란 출산 후 여성에게 생기는 심각한 감정의 변화로, 근심, 침울함, 실패감, 무력감 및 무가치함을 경험하며, 기분 변화에서부터 병적인 상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산후우울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10-20%인데(Kim, Yang, & Kim, 2009), 특히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유병률은 만삭아 어머니에 비해 더 높다는 보고가있으며(Kim, Yang, et al.
미숙아의 출산은 만삭아의 출산에 비해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 2009). 선행연구에 따르면 미숙아의 어머니는 만삭아의 어머니에 비해 더 많은 불안을 경험하며 (Ahn, 2002) 아기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걱정과 건강한 아기를 출산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 산후우울에빠질 가능성도 더 높다(Kim, Kim,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ewuya, A. O., Fatoye, F. O., Ola, B. A., Ijaodola, O. R., & Ibigbami, S. M. (2005). Sociodemographic and obstetric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in Nigerian women. Journal of Psychiatric Practice, 11(5), 353-358. 

  2. Ahn, S. (2002). Postpartum Health: A comparison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nd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1), 7-19. 

  3. Bang, K. S. (2011).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4), 444-450. http://dx.doi.org/10.4040/jkan.2011.41.4.444 

  4. Brazy, J. E., Goldstein, R. F., Oehler, J. M., Gustafson, K. E., & Thompson Jr, R. J. (1993). Nursery neurobiologic risk score: levels of risk and relationships with nonmedical factors.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14(6), 375-380. 

  5. Carter, J. D., Mulder, R. T., & Darlow, B. A. (2007). Parental stress in the NICU: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psychological, pregnancy and family factors. Personality and Mental Health, 1(1), 40-50. 

  6. Choi, J., Lee, J., Cho, J., Lee, C., Jang, J., & Lee, K. (2010). Assessment of maternal and neonatal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rics & Gynecology, 23(2), 106-115. 

  7. Choi, Y., Bishai, D., & Minkovitz, C. S. (2009). Multiple births are a risk factor for postpartum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Pediatrics, 123(4), 1147-1154. http://dx.doi.org/10.1542/peds.2008-1619 

  8. Chourasia, N., Surianarayanan, P., Adhisivam, B., & Bhat, B. V. (2013). NICU Admissions and Maternal Stress Levels. The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80(5), 380-384. http://dx.doi.org/10.1007/s12098-012-0921-7 

  9.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6), 782-786. 

  10. Dennis, C. L., & McQueen, K.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feeding outcomes and postpartum depression: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Pediatrics, 123, e736-e751. http://dx.doi.org/10.1542/peds.2008-1629 

  11. Fisher, J., & Stocky, A. (2003). Maternal perinatal mental health and multiple births: Implications for practice. Twin Research, 6(6), 506-513. 

  12. Feeley, N., Zelkowitz, P., Cormier, C., Charbonneau, L., Lacroix, A., & Papageorgiou, A. (2011). Posttraumatic stress among mother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t 6 months after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pplied Nursing Research, 24(2), 114-117. 

  13. Gaillard, A., Le Strat, Y., Mandelbrot, L., Keita, H., & Dubertret, C. (2013).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study of 264 women followed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Psychiatry Research, 215(2), 341-346. http://dx.doi.org/10.1016/j.psychres.2013.10.003 

  14. Horowitz, J. A., Murphy, C. A., Gregory, K. E., & Wojcik, J. A. (2011). Community based screening initiative to identify mothers at 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40(1), 52-61.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10.01199.x 

  15. Hwang, H., Kim, H., Yoo, I., & Shin, H. (2013).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1), 39-48. http://dx.doi.org/10.4094/chnr.2013.19.1.39 

  16. Hyung, W. J., & Choi, H. M.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idiopathic polyhydramnios and oligohydramnios and perinatal outcome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17(3), 287-293. 

  17. Kang, B., Jung, K., Hahn, W., Shim, K., Chang, J., & Bae, C. (2011). Regional analysis on the incidence of preterm and low birth weight infant an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200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18(1), 70-75. http://dx.doi.org/10.5385/jksn.2011.18.1.70 

  18. Kim, E. S., Kim, E. Y., Lee, J. Y., Kim, J. K., Lee, H. J., Lee, S. H., et al. (2009).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management on postpartum depression of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57-170. 

  19. Kim, J., Kim, J., Kim, B., Eun, D., Kim, H., Kim, J., et al. (2004). Psychosocial and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Korean Journal of Obsterics and Gynecology, 47(10), 1865-1871. 

  20. Kim, M., Yang, H. S., & Kim, J. (2009). A study on agreements among screening tests and related factors with post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2(11), 1133-1143. 

  2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Policy issues on birth outcomes from shifting trends in childbearing (Issue Brief No. 2011-37-3). Seoul: Author. 

  22. Korja, R., Savonlahti, E., Ahlqvist-Bjorkroth, S., Stolt, S., Haataja, L., Lapinleimu, H., et al. (2008). Maternal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mother- infant interaction in preterm infants. Acta Paediatrica, 97(6), 724-730.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08.00733.x 

  23. Lee, J. Y., & Ju, H. O. (2014). Predictors of early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2), 87-95. http://dx.doi.org/10.4094/chnr.2014.20.2.87 

  24. Lee, Y. J., Song, B. S., Song, T. B., & Choi, Y. Y. (2010). The effects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funisitis on outcom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1(1), 66-73. 

  25. Milgrom, J., Ericksen, J., Negri, L., Gemmill, A. W. (2005). Screening for postnatal depression in routine primary care: properties of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in an Australian sampl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9(9), 833-839. 

  26. Milgrom, J., Gemmill, A. W., Bilszta, J. L., Hayes, B., Barnett, B., Brooks, J., et al. (2008). Antenatal risk factors for postnatal depression: A large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8, 147-157. 

  27. Samsung Medical Center. (2010).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nd analysis of survival rate of high-risk newborn infants (Issue Brief No. 10-11). Seoul: Author. 

  28. Segre, L. S., O'Hara, M. W., Arndt, S., & Stuart, S. (2007). The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2(4), 316-321. 

  29. Statistics Korea. (2012, September 13). 2011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March 7, 2014,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60046 

  30. Yeo, J. H.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six months postpart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an Health Nursing, 12(4), 355-3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