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욕기 산모의 양육스트레스, 산후우울, 피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Fatigue on Quality of life in Early Postpartum Mother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1 - 7  

김정숙 (공주대학교 간호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는 출산 후 6-8주 이내의 여성 113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8월부터 2018년 9월까지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요인은 양육스트레스(${\beta}=-.646$, p<.001), 피로(${\beta}=-.329$, p=.009)순으로 확인되었다. 양육스트레스(r=-.647, p<.01), 산후우울(r=-.826, p<.01), 피로(r=-.760, p<.01)는 삶의 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출산 후 산모는 공허감, 산후우울감 등 정서적 기분변화를 느끼는 경우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산욕 기간 동안 신체적, 정신적 건강관련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 of quality of life of mothers in the postpartum period.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of 113 women who lived in D metropolitan area within 6-8 weeks after birth,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모들 대상으로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하여 통계적 분석을 한 것은 산모의 산후우울, 양육스트레스, 피로와 관련하여 예방 및 치료적 접근과 관련해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지역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여 반복연구를 하였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하겠다.
  •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산모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간호중재 관련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양육스트레스, 산후우울증, 피로 차이를 파악하고, 변수간의 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일반적 특성과 양육스트레스, 산후우울, 피로 정도를 파악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산후우울의 차이에서는 출산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욕기산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산모의 삶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피로를 변수로 포함하지 않아 삶의 질 영향요인을 연구하였다[3, 9,10]. 이에 본 연구는 양적변수 피로를 포함하고 설문지역을 달리하여 질적변수를 몇 가지 더 추가로, 즉 분만유형, 출산력, 주관적 경제상태 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총체적으로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중재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산 후 여성이 삶의 질의 변화를 경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출산 후 여성은 생식기의 변화, 내분비계, 복부, 유방 등의 신체적 불편감과 새로 태어난 아기를 양육해야 하는 어머니로서의 역할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여 생기는 심리적 어려움으로 인한 삶의 질의 변화를 경험한다[1].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은 신체, 정신, 사회, 경제적 영역에서 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 안녕을 의미하며 이는 산모 뿐 아니라 전인적 간호수행을 실천하는 간호사에게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2].
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울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출생으로 아기의 건강, 아기의 수유와 수면행동을 경험하면서 오는 일상적 스트레스이며 어머니 역할에 대한 부담감이다[3]. 양육스트레스는 엄마로서 역할의 수용을 성숙하게 하지 못하여 받는 스트레스로 산후우울과 상관성이 있으며 산후우울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변인으로 산후우울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4]. 아기양육은 생후 1일부터 약 8주까지 매일 반복적으로 상당히 많은 에너지와 시간을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육스트레스를 완전히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양육스트레스란 무엇인가? 그러나 병원관계자 및 가족들은 출산 후 산모의 진단적 건강관련에만 집중하며 산모의 개인적이고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적절한 간호 서비스 개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3].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출생으로 아기의 건강, 아기의 수유와 수면행동을 경험하면서 오는 일상적 스트레스이며 어머니 역할에 대한 부담감이다[3]. 양육스트레스는 엄마로서 역할의 수용을 성숙하게 하지 못하여 받는 스트레스로 산후우울과 상관성이 있으며 산후우울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변인으로 산후우울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 D. Hill & J. C. Aldag. (2007).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following childbirth.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6(4), 328-334. DOI: 10.1111/j.1552-6909.2007.00164. 

  2. World Health Organization Division of Mental Health. (1993). WHOQOL study protocol: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s MNG/PSF/93.9). Geneva : World Health Organization. 

  3. J. H. Yeo & N. M. Chun. (2013).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Korean Acad Nurs 43(1), 11-19. DOI: 10.4040/jkan.2013.43.1.11 

  4. D. J. Lee. (2017). The Effects of Fatigue, Postpartum family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Master's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5. M. K. Kyon, H. W. Kim, N. S. Kim & J. O. Jang. (2006).The postpartum depression level of the infant mother Maternal Role Confidence, Parenting Stress, and Infant Temperament. The Korean Nursing Society. 12(3), 314-321 

  6. J. U. Song. (2009).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Women's Health Nursing, 15(3), 216-223. 

  7. L. C. Pugh & R. Milligan. (1993).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childbearing fatigu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5(4), 60-70. 

  8. S. Y. Choi, H. G. Gu & U. K. Ru. (2011). The effects of maternal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perceived quality of life. Korean J. Woman Health Nurs, 17(2), 118-125. 

  9. U. H. Min.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 with infant 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10. S. R. Chun. (2017).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Women. Master's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11. C. E. Cutrona. (1984). Social support and stress in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3(4), 378-390. 

  12. G. A. Jeon. (1990). Postpartum stress and social network influence postpartum depression Master'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3. J. L. Cox, J. M. Holden & R. Sagovsky.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786. 

  14. J. I. Kim. (2006). A Vali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e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Women's Health Nursing, 12(3), 204-209. 

  15. H. Yoshitake. (1971). Relations between the symptoms and the feeling of fatigue. Ergonomics, 14(1), 5-186. 

  16. J. U. Song.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vel of Postpartum Women's Fatigue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7(3), 241-255. 

  17. G. C. Dunbar, M. J. Stoker, T. C. P. Hodges & G. Beaumont. (1992).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 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British Journal of Medical Economics, 2, 65-74. 

  18. J. S. Yoon etc. (1998).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KvSBQOL). Neuropsycholog, 37(2), 280-294. 

  19. J. Y. Lee. (2006). Fatigue, Parenting Stress and Sleep Patterns of Women According to Period of Postpartum. Master's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S. B. Coyle. (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others: A review of the research.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30(6), 484-506. DOI: 10.1080/07399330902801260 

  21. D. Da Costa, M. Dritsa, N. Rippen, I. Lowentsteyn & S. Khalife.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depressed wome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9(2), 95-102. DOI: 10.1007/0737-005-0108-6 

  22. J. W. Yang & I. S. Jung. (2018). Convergence effect of spouse's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primipar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Society, 9(1), 171-180. DOI: 10.15207/JKCS.2018.9.1.171. 

  23. L. J. Yeon & K. H. Young. (2018)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on Breastfeed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High risk Moth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71-180. DOI: 10.15207/JKCS.2018.9.6.357 

  24. I. S. Jung. (2018). Convergence effects of husband''s help on self-efficacy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69-77. DOI: 10.22156/CS4SMB.2018.8.1.069 

  25. I. S. Jung. (2017). Effects of husband's help on the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and self-efficacy : A pilot stud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45-52. DOI: 10.22156/CS4SMB.2017.7.6.0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