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면적 재배작물인 산마늘을 대상으로 tebuconazole 및 fludioxonil의 잔류특성을 조사하여 잔류허용기준(MRL) 및 안전사용기준 설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Tebuconazole 20% 액상수화제 및 fludioxonil 20% 액상수화제 농약을 기준량과 배량의 농도로 토양관주처리한 후, 15, 30, 45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두 약제 모두 dichloromethane을 이용하여 분배하였으며, SPE-Silica cartridge와 SPE-$NH_2$ cartridge를 사용하여 정제한 후, GC/NP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ebuconazole과 fludioxonil의 회수율은 각각 108.8~119.5%, 91.3~104.8%였으며, 이 때의 분석검출한계는 모두 $0.01mg\;kg^{-1}$이었다. 산마늘 중 tebuconazole의 잔류량은 <$0.01{\sim}0.12mg\;kg^{-1}$이었으며, fludioxonil의 경우 $0.01{\sim}0.09mg\;kg^{-1}$이었다. 두 약제의 잔류량으로부터 산출한 ADI 대비 식이섭취율(% ADI)은 각각 17.44%, 25.75%로 산마늘 중 tebuconazole 및 fludioxonil에 대한 ADI 대비 식이섭취율(% ADI)은 80%를 초과하지 않으며, 식이를 통한 두 약제의 노출 위험도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tebuconazole 20% 액상수화제 및 fludioxonil 20% 액상수화제는 산마늘의 병해를 방제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잔류농약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Allium victorialis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a pharmacological agent for various diseases in the form of anti-arteriosclerotic, anti-diabetic and anti-cancer. Allium victorialis is severely affected by various fungal diseases since it naturally grow in the shady and humid envir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마늘을 대상으로 흰비단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tebuconazole 및 fludioxonil의 잔류특성을 조사하여 잔류허용기준(MRL) 및 안전사용기준 설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마늘에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병은? 그늘지고 습한 환경에서 재배되는 특성으로 인해 잎마름병,흰비단병 등의 병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 산마늘에 대한 농약 선택의 폭이 넓지 않아 병해를 방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Kwon,2013). 잎마름병은 산마늘에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흰비단병은 최근 많이 발생하는 병으로 종묘생산 단계부터 피해를 주어 급증하는 산마늘의 수요와 생산에 영향을 주고 있다(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산마늘을 대상으로 흰비단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tebuconazole 및 fludioxonil의 잔류특성을 조사하여 잔류허용기준(MRL) 및 안전사용기준 설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소면적 재배작물 중 하나인 산마늘의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그러나 국민의 식생활 안전을 위해 실시하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농산물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286품목 91,211건 중 1,209건이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산채류, 엽채류, 경채류 순으로 부적합비율이 높아 소면적 재배작물에 대한 안전성 부적합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4). 또한 소면적 재배작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이 일반작물보다 많지 않아 병·해충을 방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소면적 재배작물의 안전성 관리를 위해 농약의 잔류양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Park etal., 2009).
산마늘에 잎마름병,흰비단병 등의 병해가 발생하는 원인은? 소면적 재배작물 중 하나인 산마늘은 종자 파종에서 수확기까지 4년에서 5년 정도 소요되는 작물로 잎·줄기 부분을 식용으로 한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그늘지고 습한 환경에서 재배되는 특성으로 인해 잎마름병,흰비단병 등의 병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 산마늘에 대한 농약 선택의 폭이 넓지 않아 병해를 방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Kwon,2013). 잎마름병은 산마늘에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흰비단병은 최근 많이 발생하는 병으로 종묘생산 단계부터 피해를 주어 급증하는 산마늘의 수요와 생산에 영향을 주고 있다(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eon, S. O. (2014) Residue patterns of Fungicide Boscalid and Insecticide Chlorfenapyr in Korean Cabbage as a Minor Crop, Korea. pp. 2-3. 

  2. Jeon, Y. H. (2010) Residues of pesticides in a Kind of Minor Crop, Perilla Leaves, Korea. p. 4. 

  3. Jeong, Y. H. and Y. S. Park (1990) Korea Association of Farmers. Pesticide Science. p. 102. 

  4. Kim, J. Y., H. N. Kim, S. Manoharan, S. J. Heo, H. N. Jeong, J. E. Kim, K. R. Kim, and J. H. Hur (2014) Translocation of Tolclofos-methyl from Ginseng Cultivated Soil to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and Residue Analysis of Various Pesticides in Ginseng and Soil. Kor. J. Pesti. Sci., 18(3):130-140. 

  5. Kim, K. T. (2008) Residual Characteristics of Insceticide Indoxacarb in Minor Crops, Korea. p. 2. 

  6. Kwon, O. C. (2013) Stimulation of Seed Germination in Allium ochotense Prokh, Korea. p. 2. 

  7. Park, H. J., J. H. Choi, B. J. Park, C. S. Kim, Y. B. Ihm and G. H. Ryu (2004) Uptake of endosulfan and procymidone from arable soil by several vegetables (green house study). Kor. J. Pesti. Sci., 8(4):280-287. 

  8. Park, J. H., M. I. R. Mamun, A. M. Abd El-Aty, J. H. Choi, G. J. Im, C. H. Oh and J. H. Shim (2009) Anextrapolation from crop classifications based on pesticide residues trial data within vegetables in minor crops. Kor. J. Pesti. Sci,. 13:28-38. 

  9. Tomlin, C. D. S (2009) The Pesticide Manual.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UK. pp. 520-521. 

  10. Tomlin, C. D. S (2009) The Pesticide Manual.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UK. pp. 1072-1073. 

  11. Wallerstein, I. S., B. Jacoby and A. Dinoor (1976) Absorption, retention and translocation of the systemic fungicide triarimol in plant. Pestic. Biochem. Physiol. 6:560-5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