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면적 재배 작물 중 연속수확작물인 높은 들깻잎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들깻잎 중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잔류양상을 연구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회수율시험을 실시한 결과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회수율은 81.9~104.8% 범위로 만족할만하였다. 들깻잎의 생육 기간 중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잔류량 변화는 first order kinetics model을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식으로부터 산출된 감소상수는 bifenthrin에서 $0.0724-0.0535day^{-1}$, chlorfenapyr에서 $0.0948-0.0821day^{-1}$로 나타났다. 두 농약의 들깻잎 중 반감기는 bifenthrin의 경우 9.6-12.9일이었으며, chlorfenapyr는 7.3-8.4일이었다. 산출된 두 농약의 감소상수를 이용하여 pre-harvest residue limit(PHRL)을 산출한 결과 수확 10일전 들깻잎 중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잔류량이 각각 17.1 및 15.9 mg/kg일 경우 수확일에는 두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인 7.0 및 10.0 mg/kg 이하로 잔류하여 안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residual patterns of pesticides applied on crops for ensuring their safety in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residual patterns of pesticides in minor crops, which are small in cultivation area. In this study, residual amou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들깻잎에 대하여 bifenthrin 및 chlorfenapyr를 2회 및 3회 살포한 후 두 농약의 경시적인 잔류양상을 조사하고 first order kinetics model을 적용하여 감소상수 및 반감기를 산출하여 재배기간 중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 관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종 생산된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 작물에 약제가 살포된 후 농약의 초기 부착량 및 재배 기간 동안 작물 중 잔류농약의 반감기(half-life)를 조사하여 잔류양상을 규명하는 것은 최종 생산된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일이다. 최근까지 농약의 잔류양상을 예측하기 위해 여러 kinetics model들이 적용되어 연구되어 왔으나(Park et al.
농작물에 사용되는 농약이 잔류하여 안전성 문제를 야기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은? , 2004).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 및 유통하기 위해서 농약의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MRL)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유통되는 농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사업도 수행하고 있다(Kim et al., 2014).
소면적 재배 작물의 잔류농약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이유는? 그러나 들깻잎을 포함한 소면적 재배 작물의 경우 등록된 농약이 많지 않아(Lee et al., 2007), 사과 및 배와 같은 주요 작물에 비해 잔류농약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QS)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잔류농약으로 인한 부적합 건수가 소면적 재배 작물 들깻잎에서 2011년 70건 및 2012년 56건으로 상당히 높았다(NAQS report, 2011; NAQS report,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Fantke, P., & Juraske, R. (2013). Variability of pesticide dissipation half-lives in plant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7(8), 3548-3562. 

  2. Jung, Y. H., Kim, J. E., Kim, J. H., Lee, Y. D., Im, C. H., & Huh, J. Y. (2004). New Pesticides, pp. 341-361, Sigma Press Inc., Korea. 

  3. Kim, J. B., Song, B. H., Chun, J. C., Im, G. J., & Im, Y. B. (1997). Effect of sprayable formulations on pesticide adhesion and persistence in several crop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1), 35-40. 

  4. Kim, J. H., Hwang, J. I., Jeon, Y. H., Kim, H. Y., Ahn, J. W., & Kim, J. E. (2012). Dissipation patterns of triazole fungicides estimated from kinetic models in apple.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5(4), 235-239. 

  5. Kim, J. Y., Lee, S. M., Lee, H. J., Chang, M. I., Kang, N. S., Kim, N. S., Kim, H. J., Cho, Y. J., Jeong, J. Y., Kim, M. K., & Rhee, G. S. (2014).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for circulated agricultural commodities in Korea-2013,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7(3), 235-242. 

  6. Kim, K. J., Kim, D. S., Heo, S. J., Ham, H. J., & Hur, J. H. (2013). Establishment or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emamectin benzoate during cultivation of amaranth,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7(2), 77-83. 

  7. Ko, K. Y., Lee, Y. J., Won, D. J., Park, H. J., & Lee, K. S. (2003). Residual pattern of procymidone and bifenthrin in perilla leaf during the period of cultivation and storag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1), 47-52. 

  8. Lee, J. H., Park, H. W., Keum, Y. S., Kwon, C. H., Lee, Y. D., & Kim, J. H. (2008). Dissipation pattern of boscalid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2(1), 67-73. 

  9. Lee, M. H., Kim, S. H., Park, Y. G., Jo, G. Y., Shin, B. G., Kim, J. H., Kwon, C. H., Sohn, J. K., & Kim, J. E. (2007). Residual pattern of pesticide, chlorfluazuron in perilla leaves under plastic house.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1(2), 106-116. 

  10. Macbean, C. (2012). The pesticide manual, pp. 105-177, 16th ed.,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Alton, Hampshire, UK. 

  11. Marin, A., Oliva, J., Garcia, C., Navarro, S., & Barba, A. (2003). Dissipation rates of cyprodinil and fludioxonil in lettuce and table grape in the field and under cold storage condition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1(16), 4708-4711. 

  12. Park, D. S., Seong, K. Y., Choi, K. I., & Hur, J. H. (2005). Field tolerance of pesticides in the strawberry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half-lives estimated from kinetic model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9(3), 231-236. 

  13. Park, J. W., Son, K., Kim, T. H., Chae, S., Sim, J. R., Bae, B. J., Lee, H. K., Im, G. J., Kim, J. B., & Kim, J. E. (2012). Comparision of the residue property of insecticide bifenthrin and chlorfenapyr in green onion and scall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6(4), 294-301. 

  14. Son, K., Kang, T. K., Park, B. J., Kim, T. K., Gil, G. H., Kim, C. S., Kim, J. B., Im, G. J., & Lee, K. W. (2012). Effect of field location and spray device on pesticide residue in chilli pepper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6(3), 230-2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