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폐MDF의 전처리 및 효소 당화
Pretreatment and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Wasted MDF for Bioethanol Production 원문보기

KSBB Journal, v.30 no.6, 2015년, pp.332 - 338  

강양래 (일산실업(주) 칠서에탄올공장 부설기술연구소) ,  황진식 (일산실업(주) 칠서에탄올공장 부설기술연구소) ,  배기한 (일산실업(주) 칠서에탄올공장 부설기술연구소) ,  조훈호 (일산실업(주) 칠서에탄올공장 부설기술연구소) ,  이은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조영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남기두 (일산실업(주) 칠서에탄올공장 부설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bioethanol production from wasted medium density fiberboard (wMDF). We were investigated the enzymatic saccharification characteristics using the enzyme (Cellic CTec3) after pretreatment with sodium chlorite. According to the 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MDF를 에탄올 발효 기질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폐MDF의 화학조성을 분석하고, 전처리 및 효소 당화를 실시하여 발효 기질인 폐MDF 당화액을 제조하였다.
  • 당화 효소 Cellic CTec3의 적정 사용량과 당화 작용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먼저 전처리한 폐MDF에 0.
  • 효소 사용량과 당화시간 결과를 바탕으로 전처리 폐MDF의 적합한 기질 농도를 설정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전처리한 폐MDF에 0.
  •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폐기물로 처리되는 200만 m3 정도의 MDF를 활용하여 바이오에탄올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폐MDF의 성분분석을 하고, 전처리 및 효소 당화를 하여 폐MDF 당화액을 제조하였다. 폐MDF의 분체 크기에 따른 결과 비교를 위해 sieve 크기 1,000 µm와 200 µm를 통과한 분체로 실험하였으나 결과는 유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전처리와 당화 공정을 확립하여 발효 기질이 되는 당화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전 과정에서 폐MDF를 아염소산나트륨으로 전처리를 한 다음 성분 분석과 FE-SEM 촬영을 통하여 전처리가 원만하게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 전 과정에서 폐MDF를 아염소산나트륨으로 전처리를 한 다음 성분 분석과 FE-SEM 촬영을 통하여 전처리가 원만하게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전처리한 폐MDF를 사용하여 목질계 바이오매스에 효과적인 Cellic CTec3 당화 효소를 이용하여 최적의 효소 당화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DF가 사용 후 전량 폐기물로 처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8 g/cm3의 목질 판상으로 목질 판상재 중에서 가장 가공성이 뛰어나 가구, 인테리어 내장용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다른 목질 판상재 (합판, particle board 등)는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MDF는 해리하면 길이가 10 mm 이하로 짧아져 MDF 원재료로써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전량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폐기되는 MDF를 재활용하여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한다면 긍정적인 효과는 클 것이다 [3,4].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에탄올로 전환하기 위해 어떤 주요과정들을 거치는가?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에탄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주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셀룰로오스와 같은 다당류의 순도를 높이면서 불필요한 리그닌 등을 제거 하는 전처리 (pretreatment) 과정이다. 그리고 셀룰로오스와 같은 다당류를 발효가 가능한 당으로 전환하는 당화 (saccharification), 당을 에탄올로 전환하는 발효 (fermentation), 발효된 발효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 및 농축하는 증류 (distillation) 과정 등을 거쳐야 비로소 산업용 바이오에탄올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 전처리이며, 원재료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전처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전처리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MDF는 무엇인가? 그런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만 매년 약 200만 m3 발생되는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는 바이오에탄올 자원으로써 검토가 절실히 필요하다. MDF는 목재를 fiber로 분해한 후 수지를 도포하여 제조한 밀도 0.4~0.8 g/cm3의 목질 판상으로 목질 판상재 중에서 가장 가공성이 뛰어나 가구, 인테리어 내장용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다른 목질 판상재 (합판, particle board 등)는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MDF는 해리하면 길이가 10 mm 이하로 짧아져 MDF 원재료로써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전량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J. S. (2013) Status and prospects of cellulosic ethanol research and development. KIC News. 16: 2. 

  2. Nam, K. D. (2013) The development of biomass for bioethanol production, fermentation, distillation technology and its utilization. BT News 20: 2. 

  3. Lee, S. M., J. Y. Park, S. B. Park, B. D. Park, and H. H. Jung (2011) Industry status and trend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plate wood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432. Korea 

  4. Bae, J. G. (2012) Waste wood recycling scheme established advanced research institution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5. Sun, Y. and J. Cheng (2002) Hydrolysis of lignocellulosic materials for ethanol production: a review. Bioresour. Technol. 83: 1-11. 

  6. Chung, C. (2008) Cellulosic ethanol production. Biotechnol. Bioprocess Eng. 23: 1-7. 

  7. Sanchez, O. J. and C. A. Cardona (2008) Trends in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fuel ethanol from different feedstocks. Bioresour. Technol. 99: 5270-5295. 

  8. Kim, Y. R., A. N. Yu, B. W. Chung, M. H. Han, and G. W. Choi (2009) Lignin removal from barley straw by ethanosolv pretreatment. Biotechnol. Bioprocess Eng. 24: 527-532. 

  9. Seo, H. B., J. G. Han, W. S. Choi, O. K. Lee, S. M. Lee, S. H. Choi, H. Y. Lee, and K. H. Jung (2008) Bioethanol production from wood biomass hydrolysate with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Biotechnol. Bioprocess Eng. 23: 494-498. 

  10. Park, Y. C., J. W. Kim, and J. S. Kim (2011)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of ammonia soaking method for cellulosic biomass. Korean Chem. Eng. Res., 49: 292-296. 

  11. Pengilly C., M. P. Garcia-Aparicio, D. Diedericks, M. Brienzo, and J. F. Grgens (2015) Enzymatic hydrolysis of steam-pretreated sweet sorhum bagasse by combinations of cellulase and endo-xylanase. Fuel. 154: 352-360. 

  12. Wise, L. E., M. Murphy, and A. A. Addieco (1946) Isolation of holocellulose from wood. Paper Trade Journal. 122: 35-43. 

  13. NREL. Biomass Research. Standard Procedures for Biomass Compositional Analysis. http://www.nrel.gov/biomass/analytical_procedures. html. (2015) 

  14. Kim, J. H., D. H. Park, B. C. Choi, K. J. Kim, B. K. Lee, and S. H. Na (2007) Bioethanol production technology and utiliz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15. Kang, H. W., Y. L. Kim, J. Y. Park, J. H. Min, and G. W. Choi (2010) Development of thermostable fusant, CHY1612 for lignocellulosic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Biotechnol. Bioprocess Eng. 25: 565-571. 

  16. Nam, K. D. (2012) The excellence of our ethanol and internationalization. Alcohol Industry. 3: 22-27. 

  17. Jeon, H. J., B. O. Lee, K. W. Kang, J. S. Jeong, B. W. Chung, and G. W. Choi (2011) Production of bioethanol by using beverage waste. Biotechnol. Bioprocess Eng. 26: 417-421. 

  18. Kim, Y. J., and S. M. Jeong (2013) Bioethanol fermentation of cellulosic food wastes by pichia stipitis. Society of Waste Management. 30: 478-485. 

  19. Nam, K. D. (2004) Alcohol fermentation technology. Alcohol Industry 24: 30-48. 

  20. Choi, J. M., S. S. Choi, and S. H. Yeom (2012) Bioethanol production from wasted corn stalk from gangwon province: from enzymatic hydrolysis to fermentation. Chem. Eng. 23: 326-332. 

  21. Park, J. I., H. C. Woo, and J. H. Lee (2008) Production of bioenergy from marine algae: status and perspectives. Chem. Eng. 46: 833-84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