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팽창캡슐 적용 발포폴리프로필렌의 물리적 특성 비교
Phys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oam Blended with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9 no.1, 2015년, pp.64 - 70  

하진욱 (자동차부품연구원) ,  정선경 (자동차부품연구원) ,  이평찬 (자동차부품연구원) ,  황예진 (자동차부품연구원) ,  남병국 (롯데케미칼) ,  한인수 (현대자동차) ,  곽성복 (덕양산업) ,  이재용 (덕양산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팽창 캡슐은 코어에 위치한 발포가스가 기화온도 이상이 될 경우 캡슐을 팽창시켜 상온상태보다 큰 부피를 지닌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플라스틱의 발포소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내외장재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을 베이스 원료로 하여 기존 화학발포제와 열팽창 캡슐을 이용하여 PP 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하였다. 화학 발포제와 열팽창 캡슐을 적용하여 제조된 PP 폼은 모두 첨가된 발포제 및 열팽창 캡슐 함량 증가에 따라 시편의 밀도가 감소하였고, 인장강도를 포함한 기계적 물성 또한 감소하였다. 하지만, 열팽창 캡슐을 이용해 제조된 PP 폼의 경우는 화학 발포제를 적용하여 만들어진 시편대비 충격강도 감소량이 크지 않았다. 발포제 종류별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PP 폼의 매트릭스를 분석하였으며, 다른 형상의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s (TEMs) can be expanded upon heating since the activation energy of liquid hydrocarbon at the core of the TEMs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Due to this property, TEMs are widely used in the industry as blowing agents or light-weight fillers. In this article, chemi...

주제어

참고문헌 (21)

  1. J. Park, J. Lee, S. Kim, J. Kim, and K. Ahn, Transactions of KSAE, 1, 123 (2013). 

  2. D. W. Kim, J. W. Yoon, S. Park, K. Kim, and T. Lee, Int. J. Autom. Techn., 14, 955 (2013). 

  3. C. S. Park, High Performance Epoxy Resins in Composite Application, SAMPE Korea Symposium Il-San, S. Korea, Oct. (2013). 

  4. K. H. Yoon, J. W. Lee, and Y. C. Kim, Polym(Korea), 37, 494 (2013). 

  5. D. Y. Hwang, K. D. Han, D. Han, K. I. Lee, and K. Y. Lee, Polym(Korea), 24, 538 (2000). 

  6. K. Hikita, JSAE Review, 23, 239, (2002). 

  7. D. S. Morehouse and R. J. Tetreault, U.S. Pat. 3,615,972 (1971). 

  8. M. Jonsson, O. Nordin, A. L. Kron, and E. Malmstrom J. Appl. Polym. Sci., 118, 1219 (2010). 

  9. M. Jonsson, O. Nordin, E. Malmstrom, and C. Hammer, Polym. 47, 3315 (2006). 

  10. Y. Kawaguchi and T. Oishi, J. Appl. Polym. Sci., 93, 505 (2004). 

  11. Y. Kawaguchi, Y. Itamura, K. Onimura, and T. Oishi, J. Appl. Polym. Sci., 96, 1306 (2005). 

  12. M. Tomalino and G. Bianchini, Prog. Org. Coat., 32, 17 (1997). 

  13. M. Jonsson, O. Nordin, and E. Malmstrom, J. Appl. Polym. Sci., 121, 369 (2011). 

  14. Y. Zhao, C. Wang, Y, Bai, G. Chen, M. Jing, and B. Zhu, J. Colloid Interf. Sci., 329 48 (2009). 

  15. B. N. Kolarz, M. Wojaczynska, J. Bryjak, and B. Pawlow, React. Polym., 23, 123 (1994). 

  16. M. Jonsson, O. Nordin, A. L. Kron, and E. Malmstrom, J. Appl. Polym. Sci., 117, 384 (2010). 

  17. S. Doroudiani, C. B. Park, and M. T. Kortschot, Polym. Eng. Sci., 38, 1205 (1998). 

  18. E. H. Tejeda, C. Z. Sahagun, R. Gonzalez-Nunez, and D. Rodrigue, J. Cell. Plast., 41, 417 (2005). 

  19. D. Klempner and K. C. Frisch. Handbook of Polymeric Foam and Foam Technology, Hanser, New York, 1991. 

  20. L. J. Gibson and M. Ashby, Cellular Solids: Structure and Propertie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7. 

  21. V. Kumar and N. P. Suh, Polym. Eng. Sci., 30, 1323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