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파 TV에 광고총량제 도입에 대한 태도: 일반인과 전문가 인식비교
The Attitude on Introduction for Total Amount in Terrestrial Broadcasting Television: Comparison of Public and Professional Awaren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205 - 213  

정진택 (국립한국복지대학교 산업디자인과)

초록

디지털 다매체 다채널 시대를 맞이하여 인터넷, 케이블, 그리고 위성방송 및 IPTV 등의 뉴미디어의 성장으로 지상파 방송은 시청률 저하와 함께 광고비 또한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상파 TV에 광고총량제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광고총량제 도입이슈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광고총량제 도입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지상파 TV에 광고총량제를 도입하자는 의견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들 사이에 인식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총량제도의 바람직한 적용단계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매체간 단계적/제한적 허용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량제도의 장점에 대해 일반인들보다는 전문가들의 긍정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총량제도의 단점에 대해 일반인들이 전문가들에 비해 긍정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광고총량제 도입의 타당성 자료는 향후 광고총량제 시행에 대한 근거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ra of multi-channel digital multimedia on the Internet, cable, satellite and IPTV and the growth of new media such as terrestrial broadcast advertising with the poor rating has also dropped sharply. In this situation, terrestrial TV suggesting the introduction for total amount system appearing com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은 총량제도를 시행할 때 필요한 규제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총량제도 시행 시 중요한 고려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 이는 광고를 주요 재원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의 입장에서는 콘텐츠 제작의 위기를 초래하고, 결국 시청자에 대한 양질의 콘텐츠 제공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고총량제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들이 어떤 인식을 지니고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인식결과를 토대로 광고총량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총량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을 총량제도의 도입이 방송광고시장의 활성화에 필요정도와 총량제도가 시행될 경우 지상파에 중간광고 허용인식으로 알아보았다. 먼저 총량제도의 도입이 방송광고시장의 활성화에 필요정도에 대한 인식결과는 [Table 1]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고총량제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들이 어떤 인식을 지니고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인식결과를 토대로 광고총량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광고총량제에 대해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대별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광고총량제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가 어떠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지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상파 방송의 방송광고에 대해 한국은 어떻게 규제하고 있는가? 방송광고는 방송사 영업수익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 재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광고규제가 방송시장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한국은 경쟁정책상 지상파 방송을 유료방송에 비해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으며, 광고판매대행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결합판매, 광고종류, 시간, 횟수 등도 나열식으로 규제하고 있어 다른 국가에 비해 규제강도가 매우 강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방송광고총량제는 무엇인가? 매체 환경의 변화와 방송광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송광고 규제의 개선에 대한 논의중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이 바로 광고총량제이다. 방송광고총량제는 방송광고의 종류, 시간, 횟수, 방법 등에 대해 정부가 법률로 규제하지 않고 전체 광고량만을 정하여 규제하고, 그 구체적인 운영 방법은 방송사의 자율편성권에 부여하는 제도이다. 즉, 광고를 하루 또는 시간에 따라 어느 정도의 시간 또는 비율 이하로 광고 방송을 할 수 있다는 형식으로 규제하는 것이다.
제도적 문제를 제외하고 지상파 방송의 광고 점유율 하락 현상에 작용한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지상파 방송의 광고 점유율 하락현상은 케이블TV, 위성, IPTV 등으로 이어지는 뉴미디어의 등장 및 성장, 소비자의 변화,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변화, 방송광고 유통구조의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1]. 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측면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eo, Beom-Seok (2012). A Study on Advertising Revitalization of Terrestrial Broadcasting: Focusing Advertising Regulation for Total Amount and Commercial Breaks. Advertising Research, vol 94, 94-116. 

  2. Kim, Sanghoon & Park, Hyunsoo (2002). Improving current rules and regulations for broadcasting advertising in South Korea using advertising regulations for total amount and advertising in the middle of program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13, No. 5, 137-158. 

  3. Lee, Soobum (200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gulatory system of Korea broadcasting advertis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advertising professionals and consumer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18, No. 3, 7-28. 

  4. Beom-seok, Seo & Byung-haw, Yang (2001). The study of attitude toward the introduction of advertising regulations for total amoun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2(5), 31-56. 

  5. Korea Advertising Society (2004). Research institutions and laws relating to broadcast advertising. 

  6. Broadcasting Commission (2001). Broadcasting Policy Planning Committee comprehensive report 

  7. Kim Bonghyun (2004).. Korea Advertising industry research current issues. Korea Federation of ad groups 

  8. Park Hyunsoo (2008). Total amount system and broadcast advertising sales of institutional change, Improvement of broadcast advertising system to direct the advanced economies. Korea Advertising Society. 

  9. An Daechun (2011). Broadcast advertising Market Revitalization,. Advertising response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hensive channels and media representatives appeared. Korea Advertising Society. 

  10. Korea Broadcasting Association (2011). Improvement of broadcast advertising system. 

  11. Park Hyunsoo (2013). Special seminars for improving broadcast advertising improve: in-program advertising and Advertising Regulation for Total Amount, Korea Advertising Socie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