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증상 및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 조사
A Survey on the voice symptoms and vocal-health service related experience of occupational voice us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397 - 405  

이은정 (세한대학교 언어치료청각학과)

초록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증상 및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사, 텔레마케터,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음성증상의 유무 및 유형,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교사(91.8%), 텔레마케터(97.9%), 치료사(86%)들은 한 가지 이상의 음성증상을 보고하였다. 증상 유형은 '열감, 마름, 마른기침, 통증, 가래생김, 따끔거림, 쉼, 목소리 갈라짐, 부어오름'의 9가지로 분류되었고, 세 집단 모두에서 '마름' 증상이 가장 많았다. 교사의 85.7%, 텔레마케터의 87.8%, 치료사의 66%는 음성사용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음성언어치료사'와 '언어치료사' 모두를 아는 경우는 각각 19.6%, 19.9%, 72%였다. 음성의 효율적 사용법에 대해 교사의 36.8%, 텔레마케터의 43.6%가 잘 알지 못한다고 하였으며, 교사의 45.3%, 텔레마케터의 43.6%, 치료사의 28%는 음성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상당수가 음성증상을 경험하지만 음성건강 관련 전문적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urvey was to identify voice symptoms and vocal-health service related experiences of occupational voice users(teachers, telemarketers, speech therapists). The 91.8% of teachers, 97.9% of telemarketers, 86% of speech therapists surveyed reported more than one voice symptom. The symptoms were 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 증상의 유무 및 유형,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직업적으로 음성을 사용하는 교사 378명, 텔레마케터 156명, 치료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이뤄졌다.
  • 이에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 건강 관련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직업적 음성사용자인 초·중·고교 교사, 텔레마케터,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음성장애 경험의 유무 및 유형을 알아보고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에게 물어본 음성증상의 종류는 무엇인가? 9%), 치료사(86%)들은 한 가지 이상의 음성증상을 보고하였다. 증상 유형은 '열감, 마름, 마른기침, 통증, 가래생김, 따끔거림, 쉼, 목소리 갈라짐, 부어오름'의 9가지로 분류되었고, 세 집단 모두에서 '마름' 증상이 가장 많았다. 교사의 85.
‘팔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이나 ‘거북목 증후군’은 어떤 증후군인가? 세계보건기구(WHO, 1994)는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신체의 부분에서 통증 및 특정 증상들이 발생하는 상태를 ‘반복적 긴장성 손상’(repetitive strain injury)이라고 하여 이에 대한 예방 지침을 권고하고 있다[1]. ‘팔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이나 ‘거북목 증후군’은 장시간 휴식 없이 사용된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여 수축된 주변 근육 및 기관에 정상적인 혈액 공급이 힘들어지면서 발생하는 반복적 긴장성 증후군이다[2].
반복적 긴장성 손상이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HO, 1994)는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신체의 부분에서 통증 및 특정 증상들이 발생하는 상태를 ‘반복적 긴장성 손상’(repetitive strain injury)이라고 하여 이에 대한 예방 지침을 권고하고 있다[1]. ‘팔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이나 ‘거북목 증후군’은 장시간 휴식 없이 사용된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여 수축된 주변 근육 및 기관에 정상적인 혈액 공급이 힘들어지면서 발생하는 반복적 긴장성 증후군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ccupational hazard of women. 1994. DOI: http://www.who.int/occupational_health/publications/womanthology/en/ 

  2. DOI: http://ko.wikipedia.org/wiki 

  3. Charpied, G. L. Treating the disordered professional voice as a repetitive strain injury. 2010. DOI: http://www.speechpathology.com. 

  4. Koufman, J. A. What are voice disorders and who gets them? 2003. DOI: http://www.speechpathology.com. 

  5. Charn, Tze C. & Hwei Mok, P. K. Voice problems amongst prim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Voice, Vol. 26, No. 4, pp. e141-e147, 2011. 

  6. Da Costa, V., Prada, E., Roberts, A., & Cohen, S. Voice disorders in primary school teachers and barriers to care. Journal of Voice, Vol. 26, No. 1, pp. 69-76, 2012. 

  7. Ferreira, L. P., Latorre, M., Giannini, S., Ghirardi, A., Karmann, D., & Silva, E. Influence of abusive vocal habits, hydration, mastication, and sleep in the occurrence of vocal symptoms in teachers. Journal of Voice, Vol. 24, No. 1, pp. 86-92, 2010. 

  8. Piwowarczyk, T. C., Oliveira, G., Lourenco, L., & Behlau, M. Vocal symptoms, voice activity, and participation profile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of call center operators. Journal of Voice, Vol. 26, No. 2, pp. 194-200, 2011. 

  9. Preciado-Lopez, J., Perez-Fernandez, C., Calzada-Uriondo, M., & Preciado-Ruiz, P. Epidemiological study of voice disorders among teaching professionals of La Rioja, Spain. Journal of Voice, Vol. 22, No. 4. pp. 489-508, 2008. 

  10. Kim, T. H., Jin, S. M, Song, Y. K., Lee, S. S., Lee, K. C. & Kwon, K. H. Vocal Problems among Teachers : A Review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Vol. 15, No. 1, pp. 11-15, 2004. 

  11. DOI: http://www.kfta.or.kr/news. 2011. 5. 19. 

  12. Roy, N., Merril, R. M. Thibeault S., Gray S. D., & Smith E. M. Voice disorders in teachers and the general population: Effects on work performance, attendance, and future career choic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7, pp. 542-55, 2004. 

  13. Smith, E., Kirchner, H. L., Taylor, M., Hoffman, H., & Lemke, J. H. Voice problems among teachers: Differences by gender and teach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Voice, Vol. 12, No. 3, pp. 328-334, 1998. 

  14. Sapir, S. Vocal attrition in voice students: Survey findings. Journal of Voice, Vol. 7, No. 1, pp. 69-74, 1993. 

  15. Song, Y. K., Jin, S. M, Sim, H. S., Lee, K. C., Lee, Y. B., & Kwon, K. H. The Effect of Voice Disorders on Quality of Life(QOL) in the Korea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Vol. 11, No. 1, pp. 51-63, 2000. 

  16. Pemberton, C. Voice injury in teachers: voice care prevention programmes to minimize occupational risk. 2010. DOI: http://www.voicecareaustralia.com.au 

  17. DOI: http://soundforschools.co.uk/wordpress 

  18. http://www.129.go.kr/news/news02_view.jsp?n7884 

  19. Jeong, O., Yu, J. Y, Lee, O. B., Choi, H. S., Kim, M. Y., Shin, M. S., Ahn, J. B., & Park, S. H. Occupational voice user. Daegu: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2002. 

  20. Lee, E. J. & Kim, W. S. A Survey on the Teacher's Recognition of Voice Therapy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 Science conference. pp. 13-14. 2011. 

  21. Van Houtte, E., Van Lierde, K., & Claeys, 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Muscle Tension Dysphonia: A Review of the Current Knowledge. Journal of Voice, Vol. 25, No. 2, pp. 202-207, 2011. 

  22. Petty, B. E.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Among Classically Trained Singers. Journal of Voice, Vol. 26, No. 3, pp. 330-335. 2012. 

  23. Pender, N. 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Appleton & Lange, 3 Sub edition. 1996. Translated ed. Choi, M. Y. & Lee, I. S. Seoul: Hyunmoonsa. 1997. 

  2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orth Publishers. 1997. 

  25. Smith, B. E., Kempster, G. B., & Sims, H. S. Patient Factors Related to Voice Therapy Attendance and Outcomes. Journal of Voice, Vol. 24, No. 6, pp. 694-70, 2010. 

  26. Park, S. S., Sim, H. S., Jeong, S. M., Park, Y. H., Cho, S. H. Effect of vocal hygie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Vol. 15, No. 1, pp. 27-3, 2004. 

  27. Lee, E. J. & Kim, W. S. The effects of the pre-service education of voice use on the voice function of newly appointed teache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3, No. 1. pp. 23-45.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