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들의 메이크업 인식 유형에 따른 관심도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s in make-up according to recognition types of the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525 - 533  

홍수경 (동남보건 대학교 피부미용학과) ,  김민경 (숭실대학교 화학공학과 뷰티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대생들 간의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 파악하고자 메이크업에 대한 의식 조사를 통하여, 인식유형별로 메이크업에 따른 심리와 선호하는 메이크업 패턴을 조사였다. 메이크업이 개인에게 정서적으로 자신감과 긍정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주며, 타인에 대한 사회적 예의의 한 범주라고 생각하였다. 메이크업 인식 차이에 따른 대상의 그룹핑은 이미지 관조군 수용군 관망군 대응군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인식 차이에 따른 4가지 유형의 메이크업 관심도는 세부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메이크업 행위가 대인관계 형성 시 높은 필요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메이크업 패턴은 피부 톤을 중요시하는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이처럼 현재 뷰티 트렌드의 시장의 주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는 20대 여대생의 메이크업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트렌드 메이크업 행위에 대한 관심도와 인지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뷰티 트렌드 개발과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면 다양하고 효과적인 미용문화를 창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a favoured pattern of makeup and psychology according to it by recognition type, through an examination of recognition for it in order to understand interest and awareness regarding it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makeup is emotionally effective for confidence and posi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서울에 거주하는 여대생 대상으로 메이크업에 대한 의식과 관심을 통하여 인식유형별로 구별하여 얻을 수 있는 심리와 선호하는 메이크업패턴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이미지 메이킹 테크닉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뷰티 마케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인식유형에 따른 메이크업 관심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서울에 거주하는 여대생 대상으로 메이크업에 대한 의식과 관심을 통하여 인식유형별로 구별하여 얻을 수 있는 심리와 선호하는 메이크업패턴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이미지 메이킹 테크닉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뷰티 마케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인식유형에 따른 메이크업 관심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여대생의 메이크업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각각 8개 문항을 요인분석하기 앞서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이 가정을 만족시키는지 알아보았다. Bartlett 구형성을 알아본 결과 χ²은 865.

가설 설정

  • 전반적으로 네 집단은 메이크업 색조와 피부 톤 표현의 연관성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메이크업 시 피부 톤을 깨끗하게 만들고 이후 메이크업 색상(아이 쉐도우, 치크, 립스틱 컬러)을 이용하면 자신이 연출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12]는 선행연구 결과처럼 네 집단의 여대생 모두 피부 톤과 메이크업 색상과의 상관성을 대부분 높게 평가하였으며 평소 메이크업은 주 4회 이상 한다는 응답은 80%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얼굴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얼굴은 상대방의 외모에서 가장 먼저 인지되는 부분으로 대인관계에서 이미지 정보를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얼굴은 복합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다[1].
현대 사회에서 메이크업은 어떤 수단으로 활용되는가? 과거 메이크업은 단순히 예쁘게 보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색채를 이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며 나아가 외모를 변화시키고 싶은 심리적 충동을 만족시킨다. 이렇듯 메이크업은 사회적 직업, 연령, 직간접적인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의 수단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개인의 이미지는 내외적인 특징과 활동하는 영역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나이와 고유한 역할에 따라서도 표현되는 스타일의 기본조건이 다르게 형성 된다[3].
과거 메이크업의 목적은? 여기에 다양 형태의 메이크업이 더해지면서 여성들에게 메이크업은 단순한 관심, 미용행위를 넘어 생활의 필수 행위로 인식되고 있다[2]. 과거 메이크업은 단순히 예쁘게 보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색채를 이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며 나아가 외모를 변화시키고 싶은 심리적 충동을 만족시킨다. 이렇듯 메이크업은 사회적 직업, 연령, 직간접적인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의 수단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 L. Davis, Visual design in dress. Prentice Hall Inc, Englewood cliffs, 1980. 

  2. J. H. Moon,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osmetics and the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lifestyle of 20s Korean women. Kyung Hee University Dept. of Art Fusion Design, 2004. 

  3. S. J. Park, K. S. Park, S. Y. Kim, A study on university woman's behavavior & consciousness for her make-up -Focused on Daejeon . Chungnam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Vol. 4, No. 4, pp. 87-99, 2006. 

  4. H. S. Ko, J. W. Ryu, The effect of female's lip color and subject's traits on the impression form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Vol. 5, No. 2, pp. 203-214, 2009. 

  5. J. Graham, Cosmetic considered in context of physical attractiveness: A review. International of cosmetic science, Vol. 2, 1980. 

  6. N. H. Rhee, S. E. Lee, A study on the behavior of women student in the University about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 7, No. 2, pp. 87-100, 2005. 

  7. E. J. Gang, The influence of the eyebrow make-up on facial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Vol. 3, No. 2, pp. 31-38, 2005. 

  8. J. A Kim, Association Analysis among Psychological Typology. Image sought and Make-up Color as a Psychological Role of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 3, No. 3, pp. 155-168, 2002. 

  9. S. H. Baek, I. Y. O,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icture-taking change them psychological of femal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make-up design, Vol. 5, No. 3, pp. 275-289, 2009. 

  10. E. Y. Song, A study on an influence to recognition and make-up for external image within university's women in Jeju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 6, No. 4, pp. 67-85, 2005. 

  11. H. J. Bang, J. H. Kim, Visual response assessment according to Make-up im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Beauty and Art, Vol. 14, No. 2, pp. 113-122, 2013. 

  12. Y. S. Kim, A Study on Make-up Image and Color Preferred by Men of 20s-30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Vol. 25, No. 3, pp. 55-66, 2011. 

  13. M. K. Kim, The Study of Emotional Reaction Affecting the Face Image According to Illustration Various Form of Eyeliner. The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Vol. 12, No. 2, pp. 69-76, 2014. 

  14. Y. S. Kim, S. W. Honr,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lack in the 20th-century makeup.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Vol. 22, No. 2, pp. 37-49, 2008. 

  15. J. H. Kim, On the Actual Condition Research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sciousness and Satisfaction on the Feature of Face of a Woman College Stu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Vol. 9, No. 3, pp. 143-153, 2003. 

  16. K. M. Lee, J. S. Kim, Influence of correction makeup on physiognomic im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Vol. 4, No. 1, pp. 19-27, 2006. 

  17. J. A Kim , H. H. Soon, A Study on a Correlation and Preference by Hairstyling and Make-up of Career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 14, No. 3, pp. 167-184, 2013. 

  18. D. Y. Im, Retro Phenomenon of 1960 and 1980's in Make-up Trend Since 2000. Retro Phenomenon of 1960 and 1980's in Make-up Trend Since 2000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Vol. 11, No. 1, pp. 35-42, 2013. 

  19. S. J. Jeong, K. J. Kanh. The Visual Evaluation of Face Image according to Color Coordination of Makeup.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Vol. 15, pp. 611-622, 2006. 

  20. H. J. Lim, H. Soh, The impact of make-up education on individual's eg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Vol. 17, No. 6, pp. 1121-1128, 2011. 

  21. M. H. Birnbaum, Using contextual effects to drive psychophysical scales. Perceptions and psychophysics, Vol. 15, pp. 89-96, 1974. 

  22. Y. H. Lee,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Make-up Color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Make-up Color System - Focused on a Female Model in Her Twent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 13, No. 5, pp. 712-728, 2005. 

  23. M. Spillane , C. Sherlock, Color and job market in the psychology of cosmetic treatment. New York: Praeger Publisher.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