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권 농촌지역 쇠퇴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eclined Rural Area in Chungcheong Regio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1, 2015년, pp.203 - 215  

조진희 (충청권건설교통기술지역거점센터) ,  박형근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  모혜란 (충청권건설교통기술지역거점센터) ,  이한수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쇠퇴도를 진단하고, 농촌생활권의 기초단위인 읍 면 지역에 대한 공간적 쇠퇴 특성과 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충청권 27개 시 군을 대상으로 거시적 차원의 쇠퇴수준과 잠재수준을 분석하여 도시차원의 쇠퇴현상을 진단한다. 다음으로 공간단위를 세분화하여 충청권의 274개 읍 면지역을 대상으로 쇠퇴수준을 분석하고, K-평균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쇠퇴유형 및 쇠퇴특성을 도출한다. 충청권 시 군 별 쇠퇴수준 및 잠재수준 분석결과, 충남지역의 청양군, 서천군, 태안군이 높은 쇠퇴도를 보이고 있으며, 충북지역의 전통적 낙후지역인 남부 3군(보은, 옥천, 영동)과 단양군, 괴산군의 쇠퇴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충청권의 읍 면지역 중 쇠퇴의 경향을 보이는 166개 읍 면지역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인구 및 주택 노후화지역(29), 경제기반 취약지역(16), 중심지접근성 취약지역(42), 주거환경 열악지역(51), 노령인구 취약지역(28)의 5개 군집유형의 쇠퇴특성이 도출되었다. 충청권 농촌지역의 쇠퇴특성과 유형화를 시도한 본 연구는 농촌지역 활성화 정책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읍 면지역 차원을 넘어 농촌정체성의 기초단위가 되는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진단과 맞춤형 정책발굴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and types of spatial recessions in Si/Gun and Eup/Myun units within Chungcheong region in South Korea to contribute to the efforts being made to diagnose the rural recession and the potentials. To this end, we analyzed 27 Sis and Guns to identify the degree of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나타나는 농촌지역의 쇠퇴 및 잠재적 현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특히 충청권 읍·면지역에 대한 공간적 쇠퇴수준 및 쇠퇴특성에 기반하여 쇠퇴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다양하게 나타나는 농촌지역의 쇠퇴 및 잠재적 현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특히 충청권 읍·면지역에 대한 공간적 쇠퇴수준 및 쇠틔특성에 기반하여 쇠퇴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의 농촌지역에 대한 해석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 같은 이유에서 우리나라 농촌지역에 대한 정의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의 농촌지역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면, 국토교통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주거·상업·공업·녹지지역을 제외한 지역인 비도시지역을 농촌지역으로 해석하고, 농림축산식품부 및 농촌진흥청은 읍·면 지역을 농촌지역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안전행정부는 면을 농촌으로 구분하고 있다. 학계 역시 농촌지역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농촌지역의 정의에 대한 일반론적 기준은 첫째, 행정구역 상 군지역, 둘째 행정구역 상읍․ 면지역으로 이해되어 진다.
농촌지역에 대한 학계의 정의에 대한 일반론적 기준은 무엇인가? 그리고 안전행정부는 면을 농촌으로 구분하고 있다. 학계 역시 농촌지역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농촌지역의 정의에 대한 일반론적 기준은 첫째, 행정구역 상 군지역, 둘째 행정구역 상읍․ 면지역으로 이해되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기초생활권단위와 분석자료의 구득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군지역의 읍·면을 농촌지역으로 정의한다.
농촌문제 중 산업, 경제측면에서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가? 그 동안 농촌문제가 이촌향도에기인한 도시의 성장에 수반되는 일반적 현상으로 인식되면서 농촌지역은 산업 ․ 경제, 복지 ․ 문화, 정주환경열악, 주민의식악화 등 복합적인 형태의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는 공간으로 부상하였다. 산업․ 경제측면에서는 영농인구의 감소와 농경지의 유휴화 및 방치로 농업생산성이 악화되었으며, 복지 ․ 문화측면에서는 고령인구에 대한 의료․ 복지서비스 부족과 문화․ 교육기회의 감소, 정주환경측면에서는 생활기반시설인 도로, 주택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도시와 생활서비스 격차의 심화로 농촌주민의 상대적 소외감은 벌어져 결국 사회적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ggia, A., Rocchi, L., Paolotti, L., Musotti, F. and Greco, S. (2014). "Assessing rural sustainable development potentialities using a dominance-based rough set approach."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Ltd, Vol. 144, pp. 160-167. 

  2. Cho, E. J. (2010).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rural villages road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Docto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3. Cho, J. S. (201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ousing environments of agricultural households by eup. myun area : Analyses of 2008 survey data on the rural living indicato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9, No. 3, pp. 71-83 (in Korean). 

  4. Fidler, D., Olson, R. and Bezold, C. (2011). Evaluating a long-term livable communities strategy in the U.S., Futures, Vol. 43, ELSEVIER Ltd, pp. 690-696. 

  5. Han, S. J. (2012). "Study on development methods of urban-countryside villages complex for rural area migration of urban citizen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te Thesis. 

  6. Hong, D. S. (1988). Understanding of Rural Sociology, Seoul: BOBMUNSA (in Korean). 

  7. Im, H. B. and Lee, S. W. (2004). Environment and function of the rural commun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in Korean) 

  8. Kim, C. H., Park, J. T. and Park, K. H. (2007). Development and Policy Applications of Indicators for Identifying Rural Problem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Korean). 

  9. Kim, Y. T. (2014). "Indicators system for grading of development potentials by rural village typ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te Thesis. 

  10. Lee, J. W., Jeong, Y. H. and Im, S. B. (2006).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rurality characteristics in rural amenity resources." Jou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2, No. 2, pp. 1-9 (in Korean). 

  11. Lee, S. H. (2008). "Based on quality of life indicators for rural regions and classification factors."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Vol. 31, No. 4, pp. 33-48 (in Korean). 

  12. Lee, S. Y., Oh, E. J. and Lee, H. Y. (2012). A study on the regeneration policy for regions in reces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13. Lee. C. H. (2005). "Study on factors of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strategies in Urban & Rural Area." Samcheok University Graduate Institute of Industry a Master's thesis. 

  14. Morrison, T. H. (2014). "Develping a regional governance index: The institututional potential of rural regions." Journal of Rural Studies, Vol. 35, ELSEVIER Ltd., pp. 101-111. 

  15. Nam, G. C. (2012). Indicator development of considering amenity for rural regional diagnosis and economic growth strategy,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16. Park, B. H. and Kim, J. Y. (2010). "A Study on the dynamic decline types of local cities using multiple decline index." Journal of the KRSA,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ol. 26, No. 2, pp. 3-17 (in Korean). 

  17. Park, S. H., Moon, S. C., Song, M. R. and Seong, J. I. (2000). A Case Study on the Activation of an Agricultural Community through Tourism development, D14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Korean). 

  18. Park, S. H. and Sim, J. H. (2013). "The current sittuation of liveing energy use in rural a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2012 Rural Indicator (in Korean). 

  20. Song, J. J. (2009). Statistical Analysis of SPSS AMOS (in Korean). 

  21. Song, S. Y. (2007).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Declining and the Plan for the Urban Regeneration of Non Growing Type Cities in Korea, Docto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2. Sorokin, P. A. and Zimmerman, C. C. (1929). Principle of Rural-urban Sociology, Virginia: Holt & Company. 

  23. Sung, J. I. and Song, M. R. (2003).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in Korea."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Vol. 26, No. 2, pp. 1-22 (in Korean). 

  24. Wang, X. (2010). "The research on the evaluation index system of livable rural areas in China-by the case of rural areas in henan province."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Science Procedia, Vol. 1, ELSEVIER B. V., pp. 456-461. 

  25. Yoon, C. W., Choi, S. M., Kim, Y. T. and Park, Y. J. (2012). "A study on the basic infra-structure disparities in jeollanam-do rural areas -With special reference in rural roads, public water and sewage disposal services-." Jou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8, No. 2, pp. 69-7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