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반응기를 도입한 돈분뇨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악취발생 특성 및 미생물동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dor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Microbial in Biological Swine Manure Treatment Process by Bioreactor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7 no.9, 2015년, pp.526 - 532  

고준일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박귀환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 ,  배주순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 ,  오길영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 ,  정선용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기성폐수 처리공정에서 악취발생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양돈분뇨 처리공정에 pellet과 stone을 충진한 생물 반응기를 도입하고 대조시설로서 생물반응기를 도입하지 않는 활성슬러지법 공정과 비교하여 반응조 운전상태, 처리수질, 악취발생농도를 측정하였다. 거품발생, 처리수 투시도 등에서 생물반응기를 도입한 반응조가 훨씬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BOD 제거효율도 우수하였다. 반면, 총질소(T-N), 총인(T-P) 제거효율은 두 개의 반응조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도처리를 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악취는 암모니아성 질소, 암모니아 농도, 복합악취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생물반응기를 도입한 공정이 활성슬러지 공정보다 적게는 4배에서 최대 24배 이상 낮게 나타나 악취원인물질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디메틸설파이드, 디메틸디설파이드 농도는 각각의 반응조 모두 검출되지 않거나 5 ppb에 불과하였으며 두 반응조의 차이 또한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반응기 공정에서는 주로 Bacillus sp./ Pseudomonas sp. 종이 주를 이루고 활성슬러지 공정에서는 Bacterium sp. Chryseobacterium sp. 종이 주를 이루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bioreactor filling with pellets and stones was equipped to the swine manure treatment system, which is expected to emit high concentration of odor in the process of the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in comparison with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as the control process, the reactor o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도 위 연구와 마찬가지로 악취발생농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어지는 유기성 폐수 처리 공정 중 양돈분뇨 호기성 처리 공정을 대상으로 공정 중에 악취저감을 목적으로 별도로 제작된 생물반응기(Bio-reactor)에 pellet과 stone 을 충진하고 대조 시설로서 반응기를 도입하지 않는 호기성 처리 공정과 비교하여 반응조 운전상태, 처리수질, 악취발생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취의 발생원이 협소하고 고정된 경우에, 처리하는 방법은? 악취를 제어하는 방법은 발생원과 발생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상할 수 있다. 만일 발생원이 협소하고 고정되어 있다면 전체를 밀폐시키거나 혹은 강제흡인 후 탈취시설에 유입하여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6) 반면, 이동성이 있는 분뇨, 폐기물의 수거차량이나 대규모 축사, 매립장, 퇴비발효시설처럼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는 시설의 경우 밀폐를 시키거나 강제흡인 후 탈취시설에 유입하는 방법이 불가능하므로 주로 각종 첨가제 급여, 탈취제 살포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악취란 무엇인가? 악취는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서 심할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와 우울증 유발, 두통, 구토 등의 건강이상 증상까지 수반하기도 하는1) 감각공해로 분류되며 하․폐수처리시설, 음식물류폐기물 관련시설, 가축사육시설 등과 같이 현대문명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오염기여도를 높여가고 있다. 특히 하수처리시설, (가축)분뇨 처리시설,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과 같은 유기성 폐수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NIMBY (not in my back yard)현상의 주 원인물질로 이미 지역문제화 된 지 오래됐으며2) 악취강도 또한 음식물자원화 > 축산폐수 > 하수 > 분뇨 > 폐수처리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악취 제거 시에 각종 첨가제 급여, 탈취제 살포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는 것의 문제점은? 6) 반면, 이동성이 있는 분뇨, 폐기물의 수거차량이나 대규모 축사, 매립장, 퇴비발효시설처럼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는 시설의 경우 밀폐를 시키거나 강제흡인 후 탈취시설에 유입하는 방법이 불가능하므로 주로 각종 첨가제 급여, 탈취제 살포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7) 그러나 이 또한 악취발생원 조건에 부합하는 적합한 첨가제와 탈취제를 선택하기 어렵고, 대부분의 첨가제, 탈취제들이 특정 악취물질 몇 종에만 효과가 있을 뿐 수십 종의 악취물질이 혼합된 복합악취에는 그다지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주로 미생물제제들이 주종을 이루 다보니 보관, 배양, 살포에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8) 따라서 이러한 광역 악취발생원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악취제어는 악취발생원에서 근원적으로 악취물질 발생을 저감시키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S.-Y., Kim, S. and Lee, J.-S., "The effect on housing on health," Health and Soc. Sci., 34, 109-133(2013). 

  2. Lee, J.-Y., "A study on environmental pollution improvement of foodwaste facilities," Gyeonggi Res. Inst. (GRI), 2009 (86), 1-135(2010). 

  3. Jeon, J.-M., Seo, Y.-S., Jeong, M.-H., Lee, H.-S., Lee, M.-D., Han, J.-S. and Kang, B.-W.,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Environment Fundamental Facilities - Case Studies on 5Facilities (Sewage, Wastewater, Livestock, Night-Soil and Foodwaste) of Treatment Plants," Korean J. Odor Res. Eng., 9(2), 80-89(2010). 

  4. Nurai, I. A., Hanaki, K. and Matsuo, T., "Fate of dissoved odorous compounds in sewage treatment plants," Water Sci. Technol., 38(3), 337-344(1998). 

  5. Kweku S., Kim, H.-O., Laura, L, M., Alba, T. and Mark, R., "Identification of seasonal variations in volatile sulfur compound formation and release from the secondary treatment system at a large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ter Environ. Res., 80(12), 2261-2267(2006). 

  6. Kim, J.-W., Kweku S., Lee, D.-W. and Kim, H.-O., "Odors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Korean J. Odor Res. Eng., 5(3), 180-192(2006). 

  7. Kim, D.-W., Jeong, H.-W., Lee, K.-S., Park, H.-Y. and Lee, K.-Y., "A study on the odor reduction of food waste leachate by some microorganisms," J. Org. Res. Rec. Asso., 13(2), 91-97(2005). 

  8. Kim, J.-H., Yoo, K.-S., Oh, J.-B. and Jung, J.-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dor emitted from swine facilities," J. Korean Soc. Environ. Eng., 34(7), 439-444(2012). 

  9. Ahn, C.-G., Kim, Y.-M., Lee, M.-W., Im, D.-H., Kim, C. and Park, J.-M., "Performance evaluation for malodor compounds control," in proceeding of the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KSEE, KINTEX, Goyang, pp. 91-98(2006). 

  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rch (NIER), Odor process test Method, pp. 54-113(2007). 

  11. APHA, AWWA and 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2540D Total Suspended Solids Dried at $103-105^{\circ}C$ , APHA, AWWA and WEF(1998). 

  12. APHA, AWWA and 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2710D Sludge Volume Index, APHA, AWWA and WEF(1998). 

  13. Reasoner, D. J. and Geldreich, E. E., "A new medium for the enumeration and subculture of bacteria from potable water," Appl. Environ. Microbiol., 49(1), 1-7(1985) 

  14. Kim, J.-S., Nam, Y.-K. and Song, J.-H., "Application of an electrolysis oxidation system for the removal of sulfur-containing odor compounds from organic sediments," Korean J. Odor Res. Eng., 12(4), 211-219(2013). 

  15. Won, Y.-S., "Biotreatment technologies for air pollution control," Clean Technol., 13(1), 1-15(2007). 

  16. Kwon, H.-K. and Jung, J.-O.,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vel ammonia oxidizing bacteria brevundimonas diminuta," Korean J. Environ. Health, 33(4), 293-298(2007). 

  17. Zhishu, L., Taicheng, A., Guiying, L. and Zhengyong, Z., "Aerobic biodegradation of odorous dimethyl disulfide in aqueous medium by isolated Bacillus cereus GIGAN2 and identification of transformation intermediates," Biores. Technol., 175, 563-568(2015). 

  18. Kim, K.-D., Kim, K.-Y. and Hahm, Y.-T., "Studies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sp. for the composting of swine manure and the removal of malodorous gases from its liquid compost," Korean J. Microbiol., 40(2), 154-159(2004). 

  19. Choi, H.-I. and Lee, J.-K., "Study on the odor from each process of livestock waste treatment plants," Korean J. Odor Res. Eng., 10(2), 74-84(2011). 

  20. Lee, K.-M. and Jo, Y.-M., "Characterization of odorous elements in a livestock waste treatment plant," Korean J. Odor Res. Eng., 10(1), 8-14(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