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천 상내리 갯벌역에 출현하는 풀망둑(Synechogobius has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avelin Goby Synechogobius hasta on Tide Flat in Sangnae-ri Suncheon,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8 no.6, 2015년, pp.982 - 987  

박종혁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정재묵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김현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예상진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자원조성실)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158 individuals of Synechogobius hasta were collected. The range of body length (BL) was 15.4-44.5 cm. The stomachs of 26.6% of the individuals were empty. The most abundant prey was shrimp. Among shrimp, Exopalaemon orientis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being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순천만 갯벌역에 출현하는 풀망둑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여 주먹이생물, 크기와 계절에 따른 먹이변화를 조사함으로써 해당 생태계 내에서 풀망둑의 위치와 순천만 갯벌역 내의 에너지 흐름을 확인하고 기초생태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풀망둑이란 무엇인가? 풀망둑은 농어목(Perciformes) 망둑어과(Gobiidae)에 속하는 어류로 한반도 동해 북부를 제외한 전 연안에 분포하나, 넓은 면적의 갯벌이 산재하고 있는 서해와 남해 서부에 집중적으로 서식한다. 국외에서는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eong, 1977; Kim et al.
풀망둑의 주먹이 생물은 무엇인가? 식성에 관한 선행연구(Paik, 1969; Choi et al., 1996; Seo and Hong, 2006)들을 살펴보면, 풀망둑은 게류, 소형어류, 새우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등 다양한 대형저서동물을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연안 생태계에서 상위 포식자로 판단되었다. 순천만 갯벌역에 출현하는 풀망둑 또한 해당 생태계에서 상위 포식자로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으며, 선행연구에서는 강과 서해의 갯벌에서만 진행되어(Paik, 1969; Choi et al.
풀망둑의 성장함에 따라 먹이의 전환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번 연구에서 풀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25 cm 이상의 크기군에서부터 주먹이생물이 새우류에서 어류와 게류로 전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망둑어과 어류들의 연구를 살펴보면,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 문절망둑,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의 경우에도 성장함에 따라 먹이 전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uh and Kwak, 1998; Huh and Kwak, 1999; Baec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ck GW, Park CI, Jeong JM, Kim MC, Huh SH and Park JM. 2010. Feeding habits of Chaenogobius gulusus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2, 41-48. 

  2. Choi Y, Kim IS, Ryu BS and Park JY. 1996. Ecology of Synechogobius hasta (Pisces : Gobiidae) in the Kum River Estuary, Korea. J Kor Fish Soc 29, 115-123. 

  3. Ferry LA and Cailliet GM. 1996. Sample size and data analysis: are we characterizing and comparing diet properly. In: MacKinlay, D. and K. Sheare (eds.), Feeding Ecology and Nutrition in Fish, Symp. Proc., American Fisheries Society. San Francisco, CA, 71-80. 

  4. Hong SY, Park KY, Park CW, Han CH, Suh HL, Yun SG, Song CB, Jo SG, Lim HS, Kang YS, Kim DJ, Ma CW, Son MH, Cha HK, Kim KB, Choi SD, Park KY, Oh CW, Kim DN, Shon HS, Kim JN, Choi JH, Kim MN and Choi IY. 2006. Mairne Invertebrates in Korean Coasts. Academybook, 328-329. 

  5. Huh SH and Kwak SN. 1998. Feeding habits of Acentrogobius pflaumii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n J Ichthyol 10, 24-31. 

  6. Huh SH and Kwak SN. 1999.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 Fish Soc 32, 10-17. 

  7. Jeo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Korea, 486. 

  8. Kikuchi T and Yamashita Y. 1992. Seasonal occurrence of gobiid fish and their food habits in a small mud flat in Amakusa. Bubl Amakusa Mar Biol Lab 11, 73-93. 

  9. Kim IS, Choi Y, Lee CR,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sa, Seoul, Korea, 420-443. 

  10. Kuno Y and Takita T. 1997. The growth, maturation and feeding habits of the gobiid fish Acanthogobius hasta distributed in Ariake sound, Kyushu, Japan. Fish Sci 63, 242-248. 

  11. Luo Z, Li X, Bai H, and Gong S. 2008.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on muscle composition and hepatic fatty acid profile in juvenile Synechogobius hasta. J Appl Ichthyol 24, 116-119. 

  12. Luo Z, Li XD, Gong SY, and Xi WQ. 2009.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s of four feed ingredients for Synechogobius hasta. Aquaculture Res 40, 558-565. 

  13. Paik EI. 1969. A Study on the food of the goby, Synechogobius hasta. Bull. Korean Fish Soc 2, 47-62. 

  14. Paik EI. 1970.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Synechogobius hasta. Bull Korean Fish Soc 3, 117-119. 

  15. Pinkas L, Oliphant MS and Iverson ILK.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16. Seo IS and Hong JS. 2006. Feeding ecology of Javelin goby (Acanthogobius hasta) and fine spot goby (Chaeturichtys stigmatias) in the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J Kor Fish Soc 39, 165-179. 

  17. Seo IS and Hong JS. 2010.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510-520. http://dx.doi.org/10.5667/kfas.2010.43.5.510. 

  18. Sim GS and Lee CR. 1999. Fish fauna of the Saemankum area, Chollabuk-do. Korean J Environ Biol 17, 293-303. 

  19. Ye SJ, Jeong JM, Kim HJ, Park JM, Huh SH and Baeck GW. 2014. Fish assemblage in the tidal creek of Sangnae-ri Suncheon, Korea. Korean J Ichthyol 26, 74-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