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were studi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stomach contents of 171 specimens collected from September 2013 to August 2014 in the tidal flat of Sangnae-ri, Suncheon, Korea. The size of A. flavimanus ranged from 10.6 to 18.3 cm in standar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생태적으로 중요한 순천만 갯벌역에 출현하는 문절망둑의 위 내용물을 분석하여 주요먹이생물, 성장에 따른 먹이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생태학적 정보와 수산자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다 생물에게 갯벌의 역할은? 갯벌 (Tidal flat)은 어류, 새우류, 갑각류와 같은 다양 한 생물의 서식처, 성육장, 산란장의 기능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Reise, 1985), 특히 어류 중에는 망둑어과 어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him and Lee, 1999; Seo and Hong, 2010).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은 망둑어과 (Gobi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연안과 기수역의 바닥에 서식하며, 우리나라 서해 남부와 남해안,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ung, 1977; Kim et al.
순천 상내리 갯벌역에 출현하는 문절망둑은 어떤 먹이생물을 주로 먹는가? 4%의 공복률을 보였다.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 56.2% 를 차지한 단각류 (Amphipoda)의 Corophium sp.였고, 다음으로 우점한 먹이생물은 새우류 (Macrura)와 게류 (Brachyura)였다. 문절망둑은 성장에 따른 먹이전환이 관찰되었다.
문절망둑의 서식지와 분포 지역은? 갯벌 (Tidal flat)은 어류, 새우류, 갑각류와 같은 다양 한 생물의 서식처, 성육장, 산란장의 기능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Reise, 1985), 특히 어류 중에는 망둑어과 어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him and Lee, 1999; Seo and Hong, 2010).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은 망둑어과 (Gobi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연안과 기수역의 바닥에 서식하며, 우리나라 서해 남부와 남해안,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ung, 1977; Kim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ntz WE.1973. Periodicity of the amphipod genus Corophium, with notes on the British species. J Mar Bio Assoc UK 21, 589-630. 

  2. Baeck GW, Yoon YH and Park JM. 2013. Ontogenetic and diel changes in diets of two sympatric mudskippers Periophthalmus modestus and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on the tidal flats of Suncheon Bay, Korea. Fish sci, 79(4), 629-637. (DOI:10.1007/s12562-013-0633-6) 

  3. Choi JW, Hyun SM and Chang M. 2003. The su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assessed by the functional groups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1(2), 101-113. 

  4.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lji-sa, Seoul, 727. 

  5. Cohen SE and Bollens SM. 2008. Diet and growth of non-native Mississippi silversides and yellowfin gobies in restored and natural wetlands in the San Francisco estuary. Mar Ecol Prog Ser 368, 241-254. (DOI:10.3354/meps07561) 

  6. Crawford GI. 1937. Are view of the amphipod genus Corophium, with notes on the British species. J Mar Bio Assoc UK 21, 589-630. 

  7. Ferry LA and Cailliet GM. 1996. Sample size and data analysis: are we characterizing and comparing diet properly. In: MacKinlay D. and Sheare K. (eds.), Feeding Ecology and Nutrition in Fish. Symp Proc, AFS. San Francisco CA, 71-80. 

  8. Huh SH and Kwak SN. 1998. Feeding habits of Acentrogobius pflaumii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n J Ichthyol 10(1), 24-31. 

  9. Huh SH and Kwak SN. 1999.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ean Fish Soc 32(1), 10-17. 

  10. Jeong JM, Kim HJ, Ye SJ, Yeom SD, Park JH and Baeck GW. 2015. Feeding habits of juvenile sea perch, Lateolabrax japonicas in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J Korean Soc Fish Technol 51(2), 221-226. (DOI:10.3796/KSFT.2015.51.2.221) 

  11. Kim IS, Choi Y, Lee CR,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Seoul, 420-443. 

  12. Kouki K, Mitsuhiko S and Hiroshi K. 2005. Ontogenetic diet shift, feeding rhythm, and daily ration of juvenile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on a tidal mudflat in the Tama river estuary, central Japan. Ichthyol Res 52, 319-324. (DOI:10.1007/s10228-005-0287-1) 

  13. Kwak SN, Huh SH and Kim HW. 2009. Growth and estimated production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and unvegetated tidal flat of Dongdae bay. Ani Cell Syst 13(3), 315-321. (DOI:10.1080/19768354.2009.9647224) 

  14. Meadows PS and Reid A., 1966. The behavior of Corophium volutator (Crustacea: Amphipoda). J Zool 150, 387-399. (DOI: 10.1111/j.1469-7998.1966.tb03013.x) 

  15. Mesa ML, Borme D, Tirelli V, Poi ED, Legovini S and Umani SF. 2008. Feeding ecology of the transparent goby Aphiaminuta (Pisces, Gobiidae) in the northwestern Adriatic sea. Sci Mar 72(1), 99-108. 

  16. Mitsch WJ and Gosselink JG. 1993. Wetland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571. 

  17. Park MH, Hwang IJ, Kim DJ, Lee YD, Kim HB and Baek HJ. 2005. Gonadal development and sex steroid hormone levels of the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J Korean Fish Soc 38(5), 309-315. 

  18. Pinkas L, Oliphant MS and Iverson ILK.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 Fish Bull 152, 1-105. 

  19. Reise K. 1985. Tidal flat ecology. An experimental approach to species interactions. Springer-Verlag, 191. 

  20. Seo IS and Hong JS. 2010.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5), 510-520. 

  21. Shim KS and Lee CR. 1999. Fish fauna of the Saemankum area, Chollabuk-do 17(3), 293-303. 

  22. Wainwright PC and Ricard BA. 1995. Scaling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Motor pattern. J Exp Biol 5, 1161-1171. 

  23. Workman ML and Merz JE. 2007 Introduced yellowfin goby diet and habitat use in the lower Mokelumne river, California. San Franc Estuary Watershed Sci 5(1), 1-13. 

  24. Ye SJ, Jeong JM, Kim HJ, Park JM, Huh SH and Baeck GW. 2014a.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7(2), 160-167. (DOI:10.5657/KFAS.2014.0160) 

  25. Ye SJ, Jeong JM, Kim HJ, Park JM, Huh SH and Baeck GW. 2014b. Fish assemblage in the tidal creek of Sangnae-ri Suncheon, Korea. Korean J Ichthyol 26(1), 74-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