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수감각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number sense for problem solving method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9 no.1, 2015년, pp.1 - 18  

김지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  현은정 (시지고등학교) ,  김성경 (울산중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수감각 발달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초등학생에 국한된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감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수감각 지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수감각을 활용하는 방법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하고, 검사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들이 초등학생들에 비해 수감각 검사 점수가 높았으며, 문제해결 방법 중 수감각을 활용하는 비율도 높았다. 또한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수감각과 알고리즘을 모두 활용하였으나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리고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상대적으로 수감각을 더 많이 활용하였으나,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끼리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수감각 구성 요소별로 수감각을 활용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es on nurturing number sense, but researches on this have been scarce, and most of them has been confined to elementary level students. This thesis, therefore, tried to analyze how elementary students solve mathematics sense problems in order to give some insight into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수감각을 활용하기보다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경향이 높다고 하였는데, 중학생들은 수감각과 알고리즘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감각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중학생에 대한 수감각 발달 정도를 조사하여 이를 초등학생과 비교해 보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방법을 수감각 구성 요소별로 분석함으로써 수감각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초등학교 6학년까지 분수의 사칙연산과 소수의 사칙연산을 학습하고, 중학교 1, 2학년 과정에서는 정수와 유리수의 개념 및 연산을 학습하고, 중학교 3학년에서는 무리수를 포함함으로써 수의 범위가 실수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수의 사칙연산과 소수의 사칙연산을 학습한 초등학교 6학년과 유리수의 개념이 완성되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유리수 범위 내에서 수감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2개, 중학교 2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수와 연산 영역에서 계산 연습을 통한 단순한 연산 기능 신장이 아니라 연산 감각 및 양적 추론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칙 연산의 계산 결과를 어림한 후 어림한 값을 확인하거나 소수의 복잡한 계산에 있어서 계산기를 도입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나친 계산 연습에서 기인하는 학습 부담을 경감하고자 하였다(교육인적자원부, 2009). 이처럼 수와 연산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수학 전반에서 수감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본 연구는 검사 문항의 정답률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어떤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지 알아보는 데 초점이 있다. 수감각 검사 문항을 수감각 활용, 직접 계산, 설명 없음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선행 연구(방정숙, 2005)를 바탕으로 <표 Ⅲ-5>와 같이 수감각에 대한 문제해결 방법의 분류 기준을 정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과 중학교 2학년 학생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얼마나 수감각을 활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검사 도구를 활용한 조사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의 문제해결 방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므로 검사지의 모든 문제에는 답과 함께 그 이유를 적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이유를 적을 수 있도록 모든 문제의 풀이란에는 ‘구체적인 수식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됨’이라는 진술을 덧붙였다.
  • 그리고 수감각 구성 요소에 따라 학생들의 수감각 활용에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중학교에서도 계속 되는지 혹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자연스럽게 수감각이 길러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수감각 활용 정도를 함께 분석하였다.
  • Faulkner & Cain(2009)은 사실상 모든 수학 수업에서 만들어지는 논의와 연결을 나타내는 ‘수감각의 구성 요소’의 모델을 제시하면서 그 구성 요소로 양과 크기, 기수법, 같음, 십진법, 수의 형태, 비례추론, 기하와 대수의 사고를 제시했다. 수감각의 모듈식 구성 요소를 서술하면서 교사들이 습관적으로 수학적 연결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수감각을 개발하도록 도와주고자 했다.
  • 본 연구에서는 수감각을 적절히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수감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계산 기능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수감각 문제의 해결 방법을 분류하였다. 이 분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 방법, 수감각 검사 점수의 높고 낮음에 따른 문제해결 방법, 수감각의 구성 요소에 따른 문제해결 방법을 분석하여 수감각의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감각이 풍부한 학생은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 수감각은 수에 대한 직관적인 느낌, 수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 수와 관련된 상황에서 다양한 수 사용과 해석, 효율적인 계산 능력 및 어림이나 암산 등의 적절한 선택 등을 포함한다(방정숙, 2005). 수감각이 풍부한 학생은 수 사이의 관계와 수와 연산 사이의 관계에 대해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것을 문제해결 과정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어진 과제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은 수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알고리즘을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지필계산만 능숙하게 수행하여 자신이 구한 해가 문제에 적절한지 검증하지 못하거나 그 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선춘화, 2005).
수감각이란 무엇인가? 수와 관련된 활동에서 기본이 되는 수감각 발달이 강조되면서 수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감각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수감각은 수를 표현하는 수학 세계와 실제 세계를 자연스럽게 넘나들 수 있고, 수를 조작하기 위한 자신만의 절차를 고안할 수 있으며, 목적에 맞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를 표상할 수 있고, 기준점이 되는 수나 수 패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수의 크기에 대한 좋은 감각을 가지고 있고, 전반적인 수의 오류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 문제 또는 표현에 대한 일반적인 성질에 대하여 어떤 분명한 계산 없이 합리적인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다(Case, 1998). 수감각은 근본적으로 수에 대한 유동성과 유연성을 말한다(Gersten & Chard, 1999).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감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분석한 결과는?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수감각을 활용하는 방법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하고, 검사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들이 초등학생들에 비해 수감각 검사 점수가 높았으며, 문제해결 방법 중 수감각을 활용하는 비율도 높았다. 또한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수감각과 알고리즘을 모두 활용하였으나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리고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상대적으로 수감각을 더 많이 활용하였으나,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끼리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수감각 구성 요소별로 수감각을 활용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Mathematics Curriculum, Notice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2009-4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 김애화 (2006).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 조기선별검사 개발: 교육과정중심측정 원리를 반영한 수감각 검사, 특수교육학연구, 40(4), 103-133. (Kim, A. H. (2006). Development of early screening test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difficulties: Curriculum-based measurement of number sense,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0(4), 103-133.) 

  3. 방정숙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계산 능력과 수감각(number sense)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4), 423-444. (Pang, J. S. (2005). A study on the computation and number-sense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8(4), 423-444.) 

  4. 선춘화 (2005).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수감각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Sun, C. H. (2005). An survey on the number sense performance of sixth grade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성승현.정찬식.노은환 (2008). 수감각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7(1), 61-74. (Seong, H. S., Jung, C. S., & Roh, E. H. (200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for advance of number sense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7(1), 61-74.) 

  6. 신창협 (2009). 수 연산 지도에서 수학 학습 도구와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Shin, C. H. (2009). A study on mathematical materials and algorithms in teaching number operations, Doctorate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7. 이점미 (2005).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 감각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Lee, J. M. (2005).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number sense for 3rd grader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Bobis, J. (1991). The effect of instruction on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 estimation strategie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3(1), 17-29. 

  9. Bobis, J. (1996). Vis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umber sense with kindergarten children. In J. Mulligan & M. Mitchelmore (Eds.), Children's Number Learning : A Research Monograph of MERGA/AAMT(pp. 17-33). Adelaide: Australian Associ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10. Burns, M. (2007). About teaching mathematics: A K-8 resource(3rd ed.) . Sausalito, CA: Math Solutions. 

  11. Case, R. (1998). A psychological model of number sense and its developm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pril, San Diego, CA. 

  12. Case, R. & Sowder, J. T. (1990). The developing of computational estimation: A neo-Piaetian analysis. Cognition and Instruction, 7(2), 79-104. 

  13. Faulkner, V. N. & Cain, C. (2009). Components of number sense: An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er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41(5), 24-30. 

  14. Fischer, F. E. (1990). A part-part-whole curriculum for teaching number to kindergarte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3), 207-215. 

  15. Gersten, R. & Chard, D. (1999). Number sense: Rethinking arithmetic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mathematic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3(1), 18-28. 

  16. Hope, J. A. & Sherrill, J. M. (1987). Characteristics of unskilled and skilled mental calculato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2), 98-111. 

  17.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8.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19. Ross, S. H. (1989). Parts, wholes, and place value: A developmental view. Arithmetic Teacher, 36(6), 47-51. 

  20. Sowder, J. (1988). Mental computation and number comparison: Their roles in the development of number sense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In J. Heibert & M. Behr (Eds.), Research Agenda for Mathematics Education: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2)(pp. 192-197).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 Trafton, P. R. (1992). Using number sense to develop mental computation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In C. Irons (ed.), Challenging children to think when they compute(pp. 78-92). Brisbane: Centre for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ress of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2. Yang, D., Li, M., & Lin, C. (2008). A study of the performance of 5th graders in number sense and its relationship to achievement in mathem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6(4), 789-807. 

  23. Zazkis, R. & Campbell, S. (1996). Divisibility and multiplicative structure of natural numbers: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5), 540-5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