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물 실감 체험을 위한 야외 증강현실 기반의 3D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Outdoor Augmented Reality Based 3D Visualization Application for Realistic Experience of Structure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0 no.2, 2015년, pp.305 - 310  

이영재 (순천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김응곤 (순천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증강현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건축분야에서 구조물과 인간의 상호 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야외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실감 체험하기 위한 3D 시각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어플리케이션은 야외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미래에 건설될 고층빌딩, 교량, 선박 등의 구조물을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증강시켜 시각화함에 따라 완공 후의 구조물을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기존의 방식에 비해 훨씬 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몰입감을 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AR(Augmented Reality) technology develops, it is used in field of diverse industry and specially affects structures and human interaction in field of architecture. This paper proposes 3D visualization application for realistic experience of structures by using outdoor AR technology.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시공 중이거나 시공 후의 고층빌딩, 교량, 선박 등의 구조물을 현장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시각화하여 미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야외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실감 체험형의 3D 시각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강현실은 무엇인가?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및 의사전달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의 한 연구 분야로 가상 환경 및 가상현실에서 파생된 용어로 실제 환경에 컴퓨터로 생성한 가상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실세계의 영상과 컴퓨터가 생성한 가상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합성된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실세계에 대한 이해 및 현실감을 높여주는 기술이다[5-6].
컴퓨터에서 가상현실로 구조물을 구현하는 방식의 단점은?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시공 중인 장소에서 바로 확인이 불가능하며, 사용자가 따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살펴보아야 하므로 현장감과 몰입감이 떨어지고, 구조물이 실제 시공 중인 장소의 주변 환경에 바로 적용된 것이 아니므로 시간에 따른 환경 변화와 경사와 같은 지리적 특성 등 주변 환경에서 고려되어야하는 것들이 적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마커기반 방식 증강현실 기술의 특징은 무엇인가? 마커기반 방식은 특징을 가지는 형태의 마커, 칼라 마커, 2D바코드가 대표적으로 있으며, 인공적인 마커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식률이 높아 객체인식 및 추적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성공적으로 증강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반면에 특정 영역에 마커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응용범위가 협소하고 현실감과 몰입감을 저해할 수 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 Oh, E. Kim,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3D Fish Encyclopedia for Children Education in Mobile Environme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2, 2013, pp. 355-361. 

  2. Y.-J. Oh, O.-H. Cho, E.-K. Kim, "Design of 3D Ship Display System using Android,"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7, no. 5, 2012, pp. 1011-1016. 

  3. Y.-J. Oh, E.-K. Kim,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3D Fish Encyclopedia for Children Education in Mobile Environme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7, no. 5, 2012, pp. 1005-1010. 

  4. E. Kim and S.-B. Lim, Y,-C, Choy, M,-H, Choi "Client-Centered mobile AR System for 3D Virtual Building Viewer," Conference on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vol. 29, no. 2, 2006, pp. 981-984. 

  5. S. Feiner, B, Macintyre and D, Seligmann. "Knowledge-based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30, no. 7, July. 1993, pp. 53-62. 

  6. B. Jang, C.-W. Kim and D.-H. Kim "Technology Note A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J, Information Systems Section, vol. 15 no. 11, 1997, pp. 14-19 

  7. M. Fiala, "Comparing ARTag and ARToolkit Plus Fiducial Marker Systems,"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Haptic Audio Visual Environments and their Applications, 2005, pp. 148-153. 

  8. S.Malik, G.Roth, and C.Mc Donald, "Robust corner tracking for real-time augmented reality," NRC Publications Archive, 2002. 

  9. B. Jiang, U. Neumannm and S. U, "A Robust Hybrid Tracking System for Out door Augmented Reality," In Proc. IEEE Virtual reality, 2004, pp. 3-275. 

  10. Y. Pang, M. Yuan and K. Toumi, "A Markerless Registration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Affine Properties," In Proc. ACM 7th Australasi an User interface conference, vol. 50, 2006, pp. 25-32. 

  11. R. Kamat and E.-Tawil, M. ASCE "Evaluation of augmented reality for rapid assessment of earthquake-induced building damage," J.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vol. 21, no. 5, 2007, pp. 303-310. 

  12. H. Kim, "Implementation of Indoor/Outdoor Markerless Tracking-Based Augmented Reality," J. remote sensing, vol. 25, no. 2, 2009, pp. 165-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