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의 생활 소음원별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Living Noise in Residential Building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5 no.1, 2015년, pp.123 - 131  

신재민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송효민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신윤석 (Department of Plant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실내 외 생활소음원들의 종류를 파악하고, 발생 빈도가 높거나 소음레벨이 높은 특정 소음원을 선정하여 소음원별 발생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공동주택 생활 소음원 실태 조사를 통해 24개의 생활 소음원을 도출하였으며, 그 중 소음의 발생 빈도 및 소음레벨이 높은 소음원 10개를 선정하여 실태조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 소음원 10개 모두 시간대별 소음 발생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 소음 저감을 위해서는 소음원별 소음레벨이 크거나 발생빈도가 높은 시간대를 중심으로 강화된 법적 소음 기준 및 소음원별 발생 특성에 관한 거주자 대상의 교육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noise characteristics about noise type, sound level, and noise occurrence frequency of living noise in residential buildings. The field measurement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types of living noise and to examine the actual states of noise occurrenc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실내 · 외 생활소음원들의 종류를 파악하고 소음원별 발생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의 결과는 향후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소음원들에 대한 개별적인 관리 방안 및 소음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주거 유형 중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에서 발생하는 생활 소음원들의 종류 및 발생 빈도와 소음레벨이 높은 생활 소음원에 대한 소음 발생 실태를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01~08월 사이에 공동주택 17곳에서 현장 측정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생활소음원별 발생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공동주택의 주거유형 중에서는 ‘건축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4가지 유형인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그리고 기숙사 중에서 가장 많은 주택 공급 수를 차지하고 있는 공동주택 및 다세대 주택만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물리적인 요인으로는 소음의 강도 및 주파수 구성상의 특성이 있으며, 심리적인 요인으로는 개개인의 주관적인 감정이나 정서, 가치 판단 등이 해당된다[9]. 소음의 물리적 평가지표는 소음수준, 지속시간과 장소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이 된다. 실내소음 평가지표의 종류는 A-보정 음압레벨 (A-weight sound level)과 등가소음레벨, NC(Noise criteria)값, NR(Noise rating)값 등이 있다[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시간대별(주간/야간) 1분 등가소음레벨을 몇 dB로 규제하고 있는가? 층간소음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생활소음 완화를 위해 정부에서도 바닥구조 기준과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기준 등 관련 법규를 제정 및 개정하고 있다. 2014년 6월부터 정부에서 시행한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4]」에서는 시간대별(주간/야간) 1분 등가소음레벨을 ‘주간 43dB, 야간 38dB’로 소음규제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만으로 공동주택의 생활 소음 문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실내소음 평가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소음의 물리적 평가지표는 소음수준, 지속시간과 장소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이 된다. 실내소음 평가지표의 종류는 A-보정 음압레벨 (A-weight sound level)과 등가소음레벨, NC(Noise criteria)값, NR(Noise rating)값 등이 있다[7].
등가소음레벨은 어느 경우 주로 사용되는가? 등가소음레벨 이란 변동하는 소음을 주어진 시간 동안 변동하지 않는 평균레벨의 크기로 환산한 지표로서, A-보정음압레벨의 값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또한 주로 소음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동이 심한 경우 사용되는 실내소음지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생활소음의 평가지표로 국내 소음 기준들에 사용되고 있는 등가소음레벨을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ang KS, Kim KW, Lee SE. Floor Impact Sound Level of Apartment Housing with Wall & Slab Struc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2004 Jun;11(2):99-104. 

  2.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ternet]. Seoul (Korea): Statistics Korea. 2010-[cited 2014 Sep 27]. Available from: http://www.census.go.kr/. 

  3. Lee TG, Ko KP, Kim H, Song GG, Kim SW.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ubjective Response for Water Supply and Drain Installations in Apartment Bathroom.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008 Jun;18(6):663-73. 

  4. Regulation on Standards and Scope of Noise Between Floors on Residential Building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cited 2014 Sep 27]. Available from: http://www. law.go.kr/lsInfoP.do?lsiSeq155403&efYd20140603#0000 

  5. Choi YJ. Present Condition on Noise Level and Types Including Residents' Living Noise in Apartment Units. Proceeding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Korea Housing Association; 2008 Apr 19; Daejeon, Korea. Seoul (Korea): Korea Housing Association; 2008. p. 427-30. 

  6. Lee WY, Shin IS, Cho CG, Sohn JY. A Study on the field survey for indoor noise generated of high-rise apartments in the floor impact sound, sound insulation of walls and HVAC noise, Proceeding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4 Spring Conference; 2000 Oct 20; Yongin, Korea. Seoul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0. p. 801-4. 

  7. Choi YJ. Actual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Indoor Noise Including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Uni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09 Feb;20(1):83-90. 

  8. Jeon JY, Ryu JK. A Combined Rating System for Multiple Noises in Residential Building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006 Oct;16(10):1005-13. 

  9. Choi YJ. Present Condition of Indoor Noise Level in One-Room Type Multi-Family Housings around Campus.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005 Jun;14(3):191-8. 

  10. Kim HS. Indoor Noise Criteria and Rating Methods of Building Structur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Air Conditioning Refrigerating and Sanitay Engineers. 1999 Jan;16(1):34-42. 

  11. Kook JH.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Facility Noise in Building [dissertation]. [Iksan (Korea)]: Wonkwang University; 2008. 73 p. 

  12. Regulations on Standards, etc. of Housing Construction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cited 2014 Sep 27].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5391&efYd20141225#0000. 

  13. The Government Organization, Enforcement Rule of Noise and Vibration Control Act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1-[cited 2014 Sep 27].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6691&ancYd20150102&efYd20150102&ancNo00587#0000. 

  14.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cited 2014 Sep 27].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29965&ancYd20121127&efYd20130101&ancNo24203#0000. 

  15. Cha S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atus of Floor Noise at Apartment Houses in Gyeonggi-Do Province. Proceeding of Korea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012 Annual Autumn Conference; 2012 Oct 25-26; Wonju, Korea. Seoul (Korea): Korea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012. p. 41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