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수위 조건에서 식물 생활형이 식물 정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Life Cycle on Plant Settlement in Diverse Water Level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1, 2015년, pp.19 - 25  

남종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조현승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정수 환경에 정착한 3생활형 9분류군의 식물을 대상으로 1년동안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식물 생활형이 수위 조건에 따라 식물 정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18개의 실험구를 셋으로 나누어 16주 범람 기간 동안 0, 20, 60cm로 수위를 각각 유지하였으며, 범람 기간을 제외한 기간은 0cm로 수위를 모두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1차년에 식재한 다년생 식물인 큰고랭이(Scirpus tabernaemontani), 줄(Zizania caduciflora), 부들속 2종(Typha angustifolia, T. orientalis)은 종자에 의한 추가적인 정착은 없었으며, 수문 조건이 밀도 및 초고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1년생 식물인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여뀌(Persicaria hydropiper), 사마귀풀(Aneilema japonicum)과 2년생인 벼룩나물(Stellaria uliginosa), 뚝새풀(Alopecurus aequalis), 개피(Beckmannia syzigachne)는 상대적으로 수문 조건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았다. 정수 환경에서 침수 수위 및 침수 기간은 상대적으로 지하경을 형성하지 못하는 1, 2년생 식물 종들의 정착 및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plant life cycle to plant settlement by 1 year monitoring. The subjects of monitoring are the plants (3 plant life cycle, 9 taxa) well established in the mesocosm. 18 mesocosms were divided into 3 sets and water levels were maintained at 0, 20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년간 수문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소규모 습지 실험구에 적응하여 정착한 식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3생활형 9분류군의 식물을 대상으로 1년동안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식물 생활형이 수위 조건에 따라 식물 정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습지의 복원 및 조성 후 식생의 변화상을 예측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지역에서 습지를 복원하거나 조성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습지는 해충과 병원균들의 발생원으로 지목되어 식물 천이 과정이나 인위적인 간섭에 의해 훼손되거나 소멸되었으나 최근에는 습지의 높은 종-다양성, 높은 생산성, 수질정화, 홍수방지, 하안 침식 방지, 지하수량 조절 등 다양한 역할들(Mitsch and Gosselink, 2000)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어 다양한 지역에서 습지를 복원하거나 조성하고 있다(Kim, 2003;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그러나 효과적인 습지의 보존과 복원 및 조성을 위해서는 습지식물의 정착 과정과 적정서식환경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적정서식환경에 대한 연구는 일부 종에 한해서만 진행되었을 뿐 정착과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Kwon et al.
습지 식물의 정착과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습지 식물의 정착과 생장은 수문주기, 영양염류 함량, 토양의 미지형, 염도, 기질 산화환원전위 등 다양한 습지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rock et al. 2005; Hong and Kim 2013; van der Valk 1981; Vivian-smith 1997; Wetzel and van der Valk 1998), 그 중에서도 수문 조건(flooding regime)은 습지 식물의 생육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Mitsch and Gosselink, 2000; Nam et al.
적정서식환경에 대한 연구는 일부 종에 한해서만 진행되었을 뿐 정착과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그 결과는 어떠한가? , 2011). 그 결과 습지의 복원을 위한 설계 단계에서의 목표와 실제 자연 환경에서 정착하고 우점하는 식물종 사이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Hong et al., 2005; Kim,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outin, C and Keddy, PA (1993). A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wetland plants, J. of Vegetation Science, 4(5), pp. 591-600. 

  2. Brock, MA, Nielsen, BL and Crossle, K (2005). Changes in biotic communities developing from freshwater wetland sediments under experimental salinity and water regimes, Freshwater Biology, 50(8), pp. 1376-1390. 

  3. Carter, MF and Grace, JB (1990). Relationships between flooding tolerance, life history, and short-term competitive performance in three species of polygonum, American J. of Botany, 77(3), pp. 381-387. 

  4. Casanova, MT and Brock, MA (2000). How do depth, duration and frequency of flooding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Plant Ecology, 147(2), pp. 237-250. 

  5. Choo, Y-H, Kim, H-T, Nam, JM, and Kim, JG (2014). Flooding effects on seed production of the amphicarpic plant Persicaria thunbergii, Aquatic Botany, 119(1), pp. 15-19. 

  6. Choo, YH, Nam, JM, Kim, JH, and Kim JG (2015). Advantages of amphicarpy of Persicaria thunbergii in the early life history, Aquatic Botany, 121, pp. 33-38. doi: 10.1016/j.aquabot.2014.11.001. 

  7. Choung, Y, Lee, WT, Cho, K-H, Joo, KY, Min BM, Hyun, J-O and Lee, KS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Korean Literature] 

  8. Cronk, JK and Fennessy, MS (2001). Wetland Plants: Biology and Ecology,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9. Gaudet, CL and Keddy, PA (1988). A comparative approach to predicting competitive ability from plant traits, Nature, 334(3), pp. 242-243. 

  10. Grace, JB and Wetzel, RG (1981). Habitat partitioning and competitive displacement in cattails (Typha): experimental field studies, The American Naturalist, 118(4), pp. 463-474. 

  11. Hong, M-G and Kim, JG (2013). Inhabitation characteristics of Sphagnum palustre in abandoned paddy terrace wetland: a case report in Ansan, J of Wetlands Research, 15(1), pp. 71-78. [Korean Literature] 

  12. Hong, M-G, Nam, JM and Kim, JG (2012). Occupational strategy of runner reed (Phragmites japonica Steud.): change of growth patterns with developmental aging, Aquatic Botany, 97(1), pp. 30-34. 

  13. Hong, MG, Heo, YJ and Kim, JG (2014).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wetland using emergent macrophytes for high biomass production, J of Wetlands Research, 16(1), pp. 61-72. [Korean Literature] 

  14. Hong, S-K, Kang, HJ, Kim, ES, Kim, JG, Kim, CH, Lee, EJ, Lee, JC, Lee, JS, Lim, BS, Choung, YS and Choung, HL (2005). Restoration Ecology and Engineering-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abitats and Ecotope,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n Literature] 

  15. Im, I-B, Kim, S and Kang, JG (2007). Control and occurrence of Aneilema keisak Hassk. in paddy field, Korean J. Weed Science, 27(1), pp. 22-28. [Korean Literature] 

  16. Inoue, TM and Tsuchiya, T (2006). Growth strategy of an emergent macrophyte, Typha orientalis Presl. in comparison with Typha latifolia L. and Typha angustifolia L., Limnology, 7(3), pp. 171-174. 

  17. Jeon, SH, Kim, H, Nam, JM and Kim, JG (2013). Habitat characteristics of sweet flag (Acorus calamu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iomass,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9(1), pp. 67-75. 

  18. Kawano, S, Hara, T, Hiratsuka, A, Matsuo, K and Hirota, I (1990). Reproductive biology of an amphicarpic annual Polygonum thunbergii (Polygonaceae): spatio-temporal changes in growth, structure and reproductive components of a population over an environmental gradient, Plant Species Biology, 5(1), pp. 97-120. 

  19. Kim, C, Shin, H and Choi, H-K (2003). A phonetic analysis of Typha in Korea and far east Russia, Aquatic Botany, 75(1), pp. 33-43. 

  20. Kim, DH, Choi, H and Kim, JG (2012). Occupational strategy of Persicaria thunbergii in riparian area: rapid recovery after harsh flooding disturbance, J. of Plant Biology, 55(3), pp. 226-232. 

  21. Kim, H-Q (1999). A study on the criteria of planting substrate for hydrophytes in creating Man-made Wetlan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y. [Korean Literature] 

  22. Kim, JG (2003). Wetland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Nature Conservation, 123, pp. 44-54. [Korean Literature] 

  23. Kim, JS, Hwang, IT and Cho, KY (1996).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dormancy release and the induction of secondary dormancy in weed seeds, Korean J. Weed Science, 16(3), pp. 200-209. [Korean Literature] 

  24. Kim, S, Ahn S-H, Im, I-B, Cheong, Y-K and Kim, S-J (2010). Effect of seeding methods to the growing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in wheat field of rice-wheat cropping system, Korean J. Weed Science, 30(3), pp. 252-257. [Korean Literature] 

  2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09). http://www.kma.go.kr/. 

  26. Kwon, GJ, Lee, BA, Nam, JM and Kim, JG (2007). The relationship of veget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Wangsuk stream and Gwarim reservoir in Korea: II. Soil environments, Ecological Research, 22(1), pp. 75-86. 

  27. Lee, BA, Kwon, GJ and Kim, JG (2007).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for wetland plants: II. Scirpus tabernaemontani and Typha latifolia,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0(2), pp. 151-159. 

  28. Lee, C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n Literature] 

  29. Lee, Y-S and Park, J-G (2005),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mpact of submerged lakeside macrophyte, J.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4), pp. 237-250. [Korean Literature]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Preliminary Environemental Review Services Manual. [Korean Literature] 

  31.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Wetlands, John Wiley & Sons, New York. 

  32. Nam, JM, Jeon, S-H, Choi, H and Kim JG (2014). Effects of micro-topography on vegetation pattern in Dunchondong wetland, J. of Wetlands Research, 16(4), pp. 353-362. [Korean Literature] 

  33. Satake, A, Sasaki, A and Iwasa, Y (2001). Variable timing of reproduction in unpredictable environments: adaption of flood plain plants, Theoretical Population Biology, 60(1), pp. 1-15. 

  34. Seo, Y-J, Lee, J-B, Seo, D-C, Kang, S-W, Lee, S-G, Choi, I-W, Lim, B-J, Kim, S-D, Heo, J-S and Cho, J-S (2012).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contents under dominant submerged plants in flood control reservoir around Dongbok lake, Korean J.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5), pp. 836-841. [Korean Literature] 

  35. Seong, K-Y, Park, T-S, Cho, H-S, Seo, M-C and Jeon, W-T (2012). Weed occurrence according to the density of water foxtail in no-tillage seeding rice paddy fields, Korean J. Weed Science, 32(3), pp. 280-284. [Korean Literature] 

  36. van der Vark, AG (1981). Succession in wetlands: a gleasonian approach, Ecology, 62(3), pp. 688-696. 

  37. Vivian-Smith, G (1997). Microtopographic heterogeneity and floristic diversity in experimental wetland communities, J. of Ecology, 85(1), pp. 71-82. 

  38. Wetzel, P and van der Valk, A (1998). Effects of nutrient and soil moisture on competition between shape Carex stricta, shape Phalaris arundinacea, and shape Typha latifolia, Plant Ecology, 138(2), pp. 179-190. 

  39. Yoon, J, Kim H, Nam, JM and Kim, JG (2011).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2), pp. 223-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