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천만과 벌교 하구 연안습지의 2009년 기준 갈대 및 칠면초 우세 군집 분포양상과 면적 제시
The 2009-based detailed distribution pattern and area of Phragmites communis-dominant and Suaeda japonica-dominant communities on the Suncheon-bay and Beolgyo estuarine wetland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1, 2015년, pp.26 - 37  

홍석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지질환경전공) ,  전승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지질환경전공) ,  엄진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8년과 2009년에 획득된 KOMPSAT-2 위성영상 자료와 야외조사를 병행하여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경계를 확인하고 분포 양상과 면적을 구하였다.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주요 군락은 갈대와 칠면초 우점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퇴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간대 표층의 수준측량과 퇴적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염습지의 퇴적상은 대부분 실트질 니와 니질 퇴적상을 보였으며 계절변화는 매우 작았고, 지형구배는 경사도가 $0.0007{\sim}0.002^{\circ}$로 매우 평탄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염생식물은 평균해수면보다 0.7~1.8 m 높은 곳을 점하고 있었으며, 갈대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1.1~1.8 m, 칠면초 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0.7~1.3 m 높은 고도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생육하고 있다. 2009년 분포를 기준으로 순천만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79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22km^2$로, 총 면적은 약 $1.01km^2$이다. 벌교천 하구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 면적은 약 $0.31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031km^2$이며, 총 면적은 약 $0.341km^2$이다. 순천만-벌교 하구 염습지에서 각기 105개와 60개의 염생식물 단위군락의 분포양상과 면적이 제시될 수 있었다. 2008/2009년 위성영상에 의해 분석된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양상과 면적은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염습지인 해당 연구지역에서 향후 염습지 관련 모니터링의 기본자료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lophyte distribution pattern and area in the Suncheon-bay and Beolgyo estuary coastal wetlands were analyzed using KOMPSAT-2 landsat images were taken in 2008 and 2009, and field investigations were fulfilled for confirming the precise boundaries of individual halophyte areas. The salt-marsh veg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갈대우점 군락과 더불어 칠면초 우점군락을 포함시킨 면적을 처음으로 제시하였고, 순천만 북측과 남측 조간대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보다 넓은 연안습지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순천만 지역뿐만이 아니라 벌교천 하구의 염습지도 다루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또한 담수 및 해수의 유입지점, 군락의 형태, 다양한 식생지수에서의 식별가능성을 토대로 향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는 염생식물 기준군락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의 순천만 지역의 갈대군락 면적은 2008년 기준 0.
  • 그러나 지금까지의 국내연구들은 순천만 하구의 갈대군락 습지에 집중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갈대우세 군락과 칠면초우세 군락이 모두 잘 발달되어 있는 순천만은 물론 벌교천 하구를 포함하는 여자만 북측 연안의 염습지에서 갈대우세와 칠면초우세 염습지를 구분하고, 각기 분포형태를 제시하여 모니터링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안습지에서 염생식물 군락마다 면적을 산출하고 단위번호를 부여하여 기초모니터링의 기준자료(형태와 면적)를 생산하는 시도를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습지는 무엇인가? 연안습지는 조류와 파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고화 퇴적물이 퇴적과 침식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조간대를 포함하며(Gary et al., 1972; Dalrymple et al., 1992), 조간대 상부에서 염분의 영향을 받아 일반적인 육상식물이 서식하지 못하는 염습지를 포함하는 조상대와 공기에 노출이 되지는 않으나 조류의 영향을 받는 조하대를 모두 포용하는 자연환경이다. 람사르협약에 의하면 평균최저조선 밑으로 약 6 m 수심에 이르는 조하대가 연안습지로 정의되고 있다.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주요 군락은 무엇인가? 2008년과 2009년에 획득된 KOMPSAT-2 위성영상 자료와 야외조사를 병행하여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경계를 확인하고 분포 양상과 면적을 구하였다.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주요 군락은 갈대와 칠면초 우점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퇴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간대 표층의 수준측량과 퇴적상 분석이 수행되었다.
한반도 남해안에 위치한 여자만의 특징은 무엇인가? 순천만과 벌교천 하구의 연안습지는 한반도 남해안에 위치한 여자만의 북부 동천과 이사천 및 벌교천 하구에 발달한 습지이다. 여자만은 동쪽으로 여수반도와 돌산반도, 서쪽으로 고흥반도로 둘러싸여 있는 만으로서 크기에 비해 만 입구가 상대적으로 좁은 반폐쇄형 지형을 갖는다(Fig.1). 여자만은 만 입구의 폭이 7.4 km, 내부의 최대 폭이 21.6 km로 만 입구에서 내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항아리 형태를 보인다. 해안선의 모양은 주로 암반해안으로 구성되어 있는 만 입구에서는 복잡하고, 안쪽으로 갈수록 간척지가 넓게 조성되어 해안선의 모양이 단조로워진다(Lee, 1983). 만의 유역특성은 몬순기후의 영향을 받아 여름철과 겨울철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여름철에 대부분의 강우가 집중되고,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일반적으로 고온다습하며(Fig. 2), 겨울철에는 강우가 적으며, 대륙성 기후로 변하여 한랭건조한 기상특성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ouma, TJ, De Vries, MB, Low, E, Kusters, L, Herman, PMJ, Tanczos, IC, Temmerman, S, Hesselink, A, Meire, P & van Regenmortel, S (2005). Flow hydrodynamics on a mudflat and in salt marsh vegetation: identifying general relationships for habitat characterisations, Hydrobiologia, 540, pp. 259-274. 

  2. Boyd, R, Dalrymple, R, Zaitlin, BA (1992). Classification of clastic coastal depositional environments, Sedimentary Geology, 80(3-4), pp. 139-150. 

  3. Choi, JM (2004). Sediment behaviour mechanism in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Ph.D Dissertation, Chonnam University, Yeosu, Korea. [Korean Literature] 

  4. Chun, SS (2005). Korean Gatbol (Tidal Flat)-Natural Characteristic, GOVP120061013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n Literature] 

  5. Cooper, AC (1982). The effects of standing water and drainage potential on the Spartima Alterniflorasubstrate complex in a North Carolina salt marsh, Estuarine and Coastal Marine Science, 11(1), pp. 41-52. 

  6. Costanza, R, d'Arge, R, de Groot,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V, Paruelo, J, Raskin, RG, Sutton, P,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pp. 253-260. 

  7. Dale, PER, Hulsman, K, Chandica, AL (1986). Classification of reflectance on colour aerial photographs and subtropical saltmarsh vegetation types, International J. of Remote Sensing, 7(12), pp. 1783-1788. 

  8. Dalrymple, RW, LeGresley, EM, Fader, Gordon BJ, Petrie, Brian D (1992). The western Grand Banks of Newfoundland: Transgressive holocene sedimentation under the combined influence of waves and currents, Marine Geology, 105(1-4), pp. 693-696. 

  9. Dame, RF, Koepfler, E, Gregory, L (2000). Benthic-pelagic coupling in marsh-estuarine ecosystems, Concepts and Controversies in Tidal Marsh Ecology, Weinstein, MP and Kreeger, DA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369-390. 

  10. Davidson-Arnott, RGD, Van Proosdij, D, Ollerhead, J, Schostak, L (2002). Hydro-dynamics and sedimentation in salt marshes: examples from a macrotidal marsh, Bay of Fundy, Geomorphology, 48(1-3), pp. 209-231. 

  11. Davis, RAJ (1985)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2nd edition, Springer Verlag Publisher, New York, USA. 

  12. Donoghue, DNM and Shennan, I (1987). A preliminary assessment of Landsat TM imagery for mapping vegetation and sediment distribution in the Wash estuary, International J. of Remote Sensing, 8(7), pp. 1101-1108. 

  13. Gary, M, McAfee, R. and Wolf, CL, (Eds.) (1972).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science Institute, Washington, DC. 

  14. Hong, SH (2012).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Long- and short-term sedimentary facies and the areal distribution halophyte community in Yeoja Bay, Southern Coast of Korea, Master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Korean Literature] 

  15. Ihm, BS, Lee, JS, Kim, JW, Kim, HS, Ihm, HB (1998a). Studies on the vegetation at the wetland of Suncheon-Man,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15(1), pp. 1-8. [Korean Literature] 

  16. Ihm, BS, Lee, JS, Kim, JW, Kim, HS, Lee, SH (1998b). Studies on th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biomass at the wetland of Hampyung-Man,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15(1), pp. 9-20. [Korean Literature] 

  17. Ihm, BS, Lee, JS, Lee, GC, Kim, JW, Ihm, HB, Lee, SH (1998c). Establishment of the map database on wetland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in reclaimed area near lake Kumho, Korean J. of Environmental Biology, 16(4), pp. 369-373. [Korean Literature] 

  18. Ihm, BS, Lee, JS, Woo, JC, Kwak, AK (1995). Adjustment of three halophytes to changes of NaCl concentrations,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12(1), pp. 1-10. [Korean Literature] 

  19. Jensen, JR (2000).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 An Earth Resource Perspective 2nd edition, Prentice Hall Publisher, New Jersey, USA. 

  20. Jonathan, MH, Jacqueline, AP, Rob, HM (2000).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and interactions between salt marsh plants: Effects of salinity, sediment and waterlogging, J. of Ecology, 88(3), pp. 492-505. 

  21. Kim, EK, Jung, YS, Jeong, HG, Joo, YK, Chun, S (2007). Vegetation distribution of intertidal zone and estuary area on Anseo port in Saemangeum reclamation zone,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6), pp. 494-505. [Korean Literature] 

  22. Kim, KW, Lee, KJ, Han, BH (2011).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Suncheon bay area for designation of world natural heritage, Proceeding of the 2011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pp. 124-127. [Korean Literature] 

  23. Kim, SY, Jung, KK, Kim, BM, Lee, YG, Choi, YS, Kim, S (2008).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coastal wetland and intertidal zone of Suncheon bay, Korean Wetlands Society, 10(2), pp. 81-96. [Korean Literature] 

  24. Klein, GDV and Sanders, JE (1964). Comparison of sediments from bay of Fundy and Duch Wadden Sea tidal flat, J. of Sedimentary Petrology, 34(1), pp. 18-24. 

  25. Kong, BW (2014). Charateristics of halophytes distribution and groundwater quality in the Suncheon Bay, Master Thesis, Suncheon University, Suncheon, Korea. [Korean Literature] 

  26.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2008). 2008 Tidal Table(Coast of Korea), pp. 58-60. [Korean Literature] 

  27.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2009). 2009 Tidal Table(Coast of Korea), pp. 67-69. [Korean Literature] 

  28. Lee, JS, Ihm, BS, Myeong, HH, Park, JW, Kim, HS (2009). Soil environment analysis and habitat of halophyte for restoration in the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Korean J. Plant Resources, 22(1), pp. 102-110. [Korean Literature] 

  29. Lee, JS, Lee, KS, Ihm, BS, Kim, HS, Lee, SH (2000). Studies on th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tanding biomass at the coastal sand dune of Kohung, Basic Science Research, 15, pp. 61-69. [Korean Literature] 

  30. Lee, MC (1983). The exchange of sea water in Yeoja bay, Bulletin Korean Fisheries Technology Society, 19(1), pp. 33-38. [Korean Literature] 

  31. Lee, YG, Kim, S, Lee, HW, Min, BM (2008). 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 and increase of Reed (Phragmites austrails) stands at Suncheon bay, Korean Wetlands Society, 10(3), pp. 9-26. [Korean Literature] 

  32. Lee, YK, Eom, JA, Ryo, JH, Won, JS (2007). Analyzing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alt marsh vegetation around Donggumdo tidal flat in Ganghwado, Korea, Korean J. of Remote Sensing, 23(6), pp. 575-581. [Korean Literature] 

  33. Leonard, LA, Wren, PA, Beavers, RI (2002). Flow dynamics and sedimentation in spartina alterniflora and phragmites australis marshes of the Chesapeake Bay, Wetlands, 22(2), pp. 415-424. 

  34. Naoki, K, Tadaki, H (1979). Multivariate approaches of the plant communities related with edaphic factors in the dune system at Azigaura, Ibaraki Pref. I. Associationanalysis, Japanese J. of Ecology, 29, pp. 17-27. 

  35. Phinn, SR, Stow, DA, Van Mouwerik, D (1999). Remotely sensed estimates of veget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restored wetlands, Southern Californi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5(4), pp. 485-493. 

  36. Reineck, HE and Singh, IB (1980).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2nd edition, Springer Verlag, New York. 

  37. Ryu, SO (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in a semi-enclosed bay: Hampyong ba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3-4), pp. 481-492. 

  38. Ryu, SO, You, HS and Chun, SS (1997).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s in Hampyong bay,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8(5), pp. 367-378. [Korean Literature] 

  39. Ryu, SO and Sin, YS (2006).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tidal flat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J.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6), pp. 659-669. [Korean Literature] 

  40. Shim, HB, Cho, WB, Choi, BH (2009).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Korean J. of Plant Taxonomy, 39(4), pp. 264-276. [Korean Literature] 

  41. Shim, HB, Seo, SM, Choi, BH (2002).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Korean J. of Environmental Biology, 20(1), pp. 25-34. [Korean Literature] 

  42. Silvestri, S, Marani, M, Marani, A (2003).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of salt marsh vegetation, morphology and soil topography,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28, pp. 15-25. 

  43. Sin, KH (2012).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nd flow in the Suncheon bay wetlands, Master Thesis, Chonnam University, Yeosu, Korea. [Korean Literature] 

  44. Suncheon-si. (2011). An environmental white paper, GOVP1201221375, Suncheon-si. [Korean Literature] 

  45. Widdows, J and Brinsley, M (2002). Impact of biotic and abiotic processes on sediment dynamics and the consequences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the intertidal zone, J. of Sea Research, 48(2), pp. 143-156. 

  46. Yang, HS (1999). A syntaxonom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ruined salt field in Chonnam province, Korean J. of Ecology, 22(5), pp. 265-270. [Korean Literature] 

  47. Yang, SL (1998). The role of scirpus marsh in attenuation of hydrodynamics and retention of fine sediment in the Yangtze estua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7(2), pp. 227-233. 

  48. Youn, ST, Oh, KH, Koh, YK (2011).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change of surface sediments in Gangjin bay, Korea, J. of Korean island, 23(2), pp. 121-133. [Korean Literatu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