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통일과 군사통합 (군사적 과제를 중심으로)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ilitary Integration Focusing on the Military Tasks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5 no.7, 2015년, pp.125 - 134  

한관수 (조선대학교 군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한반도 통일이 가시화되고 여건이 조성되어 남북한 군사통합을 추진하게 될 때 무엇을 준비하고 실행해야 하는가를 군사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 상황에서 남북한 통일의 시기를 예단하기는 제한되나 군사적 폭력을 관리하는 군사통합은 평시부터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만일 군사통합이 실패하면 통일 자체도 위태롭게 되기 때문에 실천적 측면에서 정교한 준비가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주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반도에 적합한 군사통합의 유형과 전제조건은 무엇인가? 남북한 군사통합 추진 시 군사적 과제는 무엇인가? 이 중 핵심과제와 중요과제는 무엇이고 실천적 측면에서 어떻게 준비되어야 하는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to be prepared and implemented for the military integration when South and North Korea are making progress toward unification. Although we can not exactly predict when the unification will be completed at this time, preparations for the military integration shou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북한 통일이 가시화되고 여건이 조성 되어 군사통합을 추진하게 될 때 무엇을 준비하고 실행해야하는가를 실천적 측면에서 군사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핵심과제 5개, 중요과제 5개를 분석한 후 국방정책 수립에 일조할 수 있는 제언을 아래와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군사통합을 위해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를 핵심과제와 중요과제로 구분하여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먼저 우호세력과 군사통합 협의 후 작성하는 합의문에 북한군의 지휘권 접수, 병력, 무기 및 장비, 시설통합의 세부적인 규정, 즉 시기, 절차, 방법 등을 분명히 기술하고, 이를 준수할 수 있는 강제조항을 추가하는 것이다. 특히 군사통합의 가장 큰 위해요소가 되는 무기와 탄약의 현황제출, 지역별 집결장소, 확인절차 등을 명시하여 비이성적인 북한군이 무력저항을 할 수 있는 소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다음은 군사통합에 위해가 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안전조치로써 북한군이 보유했던 무기는 전량 회수해야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남북한 군사통합에 관한 협상은 원활하게 진행되지는 않으나 최종 합의는 이루어 질 것이다. 넷째, 한반도 군비통제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며, 만일 군비통제가 이루어진다 해도 본 연구의 절차에 준해서 군사통합이 이루어질 것이다. 다섯째, 북한군 장병의 대규모 전역은 한국의 경제적 능력으로 수용이 가능할 것이다.
  • 첫째, 남북한 군사통합은 한국의 주도하에 평화적 군사통합이 될 것이며, 만일 통일 형태가 급변사태에 의한 통일이라 할지라도 북한의 집권층은 평화적인 군사통합을 지향할 것이다. 둘째, 주변 4강은 한반도의 통일 및 군사통합을 인정하거나 암묵적으로 인정할 것이다. 만일 주변국의 인정이 없다면 통일 자체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 북한지역에는 국방부의 업무를 분장하는 국방부북분청과 실질적으로 군사통합을 추진하는 북부사령부를 편성하여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북부사령부는 북한지역에 전개하여 북한군을 인수하여 인적, 물적, 이념적 통합을 실시하는 임무를 가지며, 그 편성은 군별로 군사통합을 추진하는 육·해·공군북부사령부와 현장에서 군사통합을 위한 병력, 무기 및 장비, 시설 등을 파악하는 현장확인팀과 군사통합추진팀을 편성하며 <그림>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 현 상황에서 김정은 체제의 붕괴 실태와 체제 유지 불가한 상황을 설명하고, 수령 중심의 유일 독재체제의 만행, 실패한 공산주의 체제의 실상,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 등을 알리고 설명해야 한다. 설명과 설득의 방법은 직접 접촉 시는 대면 설명으로, 직접 접촉이 어려울 때는 전단지와 방송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 만일 주변국의 인정이 없다면 통일 자체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셋째, 남북한 군사통합에 관한 협상은 원활하게 진행되지는 않으나 최종 합의는 이루어 질 것이다. 넷째, 한반도 군비통제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며, 만일 군비통제가 이루어진다 해도 본 연구의 절차에 준해서 군사통합이 이루어질 것이다.
  • 다섯째, 북한군 장병의 대규모 전역은 한국의 경제적 능력으로 수용이 가능할 것이다. 여섯째, 남북한 군사통합 시 북한군의 유일사상과 한국군에 대한 적대감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다.
  • 이와 같은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비이성적인 북한군의 정상화는 단기간에 달성하기는 제한사항이 많기 때문에 장단기로 구분하여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우선 최소한 군사통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안전조치를 하는 단기적 방법을 강구하여 군사통합을 진행하면서 점진적, 단계적으로 장기적인 북한군의 정상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단기적 방안은 크게 두 가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 무기 및 장비 통합의 절차는 먼저 북한 지역에 파견된 북부사령부의 현장확인팀이 현황을 파악하여 실용장비(활용장비), 치장장비(한시적 활용 및 활용 보류장비), 불용장비(폐기장비)로 구분한후 집결시켜야 된다. 집결은 이동의 용이성과 공간을 고려할 때 지상군이 사용하는 소화기와 공용화기는 여단 및 연대 단위, 중화기와 중장비는 사단 단위로 집결하고, 해군은 전대와 기지단위, 공군은 비행단 단위로 집결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중정상회담에서 박근혜 전대통령은 무엇을 주장하여 '한민족에 의한 평화적 통일 지지'라는 중국의 화답을 받았는가? 박근혜 대통령은 ‘통일은 대박’, ‘드레스덴 통일구상’, ‘통일준비위원회 발족’ 등으로 통일에 대한 적극적 자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9월 중국 전승 70주년 기념행사시 한중정상회담에서 박대통령은 ‘조속한 한반도 평화통일’을 주장하여 ‘한민족에 의한 평화적 통일 지지’라는 중국 측의 화답을 받았다[23]. 이에 대해 북한은 ‘극히 무엄하다, 동족대결만을 추구하고 있다’라고 비난하여[12] 남북한 통일이 용이 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남북한 통일 중 군사 통합을 위한 군사과제 5가지는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핵심과제 5개, 중요과제 5개를 분석한 후 국방정책 수립에 일조할 수 있는 제언을 아래와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평화적 군사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일은 요원하다고 생각하여 군사통합에 대한 구상과 준비를 하지 못해 초기에 혼란을 겪은 서독군의 사례를 교훈 삼아 남․북한 군사통합을 면밀하게 준비할 필요가 요구된다. 북한군은 한국군보다 약 2배의 우위를 점하고 있으므로 조직적인 무력 저항 없이 조기에 군사통합을 달성하여 야만 국가통합, 더 나아가 남북한 통일을 달성해야 되기 때문이다. 둘째, 남북간 군사통합 협상시 통일조약과는 별도로 수개의 군사통합합의서가 별도로 작성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군사통합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 및 시기를 명시해야만 군사통합 과정에서 북한군에 의한 조직적 무력저항과 한국 내 진보와 보수 간의 정치적 논쟁을 차단하고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군사통합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군사통합에 필요한 북한군의 정보가 필요 하다. 우리는 작전계획 수행에 필요한 정보는 많으나 군사통합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다. 북한군의 실태파악과 현실적인 정보가 부족하면 할수록 한국군의 통제력을 벗어난 변수들이 속출하게 될 것이다. 정보본부, 정보사, 국정원, 통일부, 한미연합사, 연구기관이 북한 정보를 분석하고 통합정보망을 구축하여 공유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군사통합 전문기구 편성및 전문인력의 양성이필요하다. 임진왜란 전에 이율곡이 주장한 십만 양병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군사통합 요원 천 명은 사전에 지정이 되어야 한다. 이를 모체로 통일이 가시화되면 소집 교육 후 즉각 투입이 가능하도록 예규(SOP) 등이 준비되어야 한다. 다섯째, 군사통합 재원을 조달해야 한다. 국내 한 연구에 의하면 2030년 기준 군사통합에 약 20조-27조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이를 사전에 준비해야 되며 방대한 북한군의 병력과 무기 및 장비, 시설 등을 평시 군비통제를 통해 신속한 군사통합과 비용을 감소시켜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보인 통일에 대한 적극적 자세는 무엇이 있었는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이후 남북한 통일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통일은 대박’, ‘드레스덴 통일구상’, ‘통일준비위원회 발족’ 등으로 통일에 대한 적극적 자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9월 중국 전승 70주년 기념행사시 한중정상회담에서 박대통령은 ‘조속한 한반도 평화통일’을 주장하여 ‘한민족에 의한 평화적 통일 지지’라는 중국 측의 화답을 받았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구영록, 인간과 전쟁, 법문사, p. 316, 1996. 

  2. 김동명, 독일통일, 그리고 한반도의 선택, 한울, p. 316, 2010. 

  3. 권양주. "남북한 군사통합의 유형과 접근전략 연구: 합의적 흡수통합을 중심으로", 북한학연구, 제5권, 제1호, p. 70, 2009. 

  4. 권양주, 남북한 군사통합의 구상, 한국국방연구원, pp. 40-42, 2009. 

  5. 대한민국 국방부, 2014국방백서, p.296, 2014. 

  6. 박주현, "통일에 따른 국방분야의 비용 및 효과," 국방정책연구, 제30권, 제3호 2014년 가을(통권 제105호), pp. 58-59, 2014. 

  7. 박휘락, "통일과 급변사태: 군사적 과제", 2014년 국방선진화연구회 주관 세미나(2014년 6월 19일, 전쟁기념관), pp. 10-11. 

  8. 손석현, 이라크전쟁과 안정화 작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pp. 333-337, 2014. 

  9. 장홍기 외, 남북 군사통합방안 연구, 국방연구원, pp. 95-97, 1994. 

  10. 정충열, 남북한 군사통합 전략, 시간의 물레, pp. 16-20, 2014. 

  11. 조선중앙통신, 2015년 9월 3일. 

  12. 조찬래 외, 남?북한 통합론, 대영사, p. 157, 1998. 

  13. 제정관, 한반도 통일과 군사통합, 한누리미디어, pp. 107-109, 2009. 

  14. 하정열, 한반도 통일 후 군사통합방안, 팔복원, pp. 68-70, 1996. 

  15. 한관수, "북한의 급변사태와 군사대비", 전략연구 통권 제47호, pp. 74-88, 2009. 

  16. 한관수, "통일한국의 군사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정치학 박사학위논문, pp. 12-13, 2007. 

  17. 한관수 외, 통일한국의 지상군 군사력 통합에 대한 고찰. 2015년 교육사 연구용역, 미발간. 

  18. A. Etzioni, 'Political Unification: A Comparative Study of Leaders and Force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pp. 38-40, 1965. 

  19. J. S. Nye, Jr, "Cooperative Regional Integration: Concept and Measurement", Integrational Organization 21, pp. 855-880, 1968. 

  20. K. W. Deutsch, et al., 'Political Community and the North Atlantic Area',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5, 1957. 

  21. M. Weiner, "Problems of Integration and Modernization Breakdowns"; J. N. Finkle and R. W. Gable, eds., Political Development & Social Chang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p. 551, 1966. 

  22. http://www1.president.go.kr/news/newsList.php?srh[view_mode]detail&srh[seq]11924(검색일:2015.11.2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