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한 고위험 조직 사고 사례 분석
Cases Study of Accidents in High Risk Organizations by System Dynamics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6 no.3, 2015년, pp.5 - 29  

오영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연구부) ,  류진 ((주)미래정책자문그룹)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safety culture has increased in the security of high-risk facility after Chernobyl accident in 1986. This paper elaborated the concept of safety culture and its main factors by Causal Loop Diagram. Due to the decline of safety culture, the occurrence of incidents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문화라는 용어는 언제 처음 등장하였는가? 안전문화(safety culture)는 다른 어떤 가치보다 우월하는 ‘최고의 우선순위(Number One Priority)’로서 안전이 이해되고 수용되는 조직문화의 하위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안전문화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1986년 일어난 체르노빌 폭발사고에 대해서 1987년 OECD원자력위원회 보고서를 통해서이며, 안전문화의 수준 저하가 지난 30년간 고위험 시설의 중대 사고를 야기한 근본원인이라고 지적되고 있다(Cooper,2000; Patankar et. al, 2013).
Patankar가 안전문화 개념을 피라미드 형태로 제시할 때 무엇으로 구성하였는가? 안전문화의 개념을 보다 세분화하기 위하여 Patankar(2012)는 안전문화 개념을 피라미드 (Safety Culture Pyramid) 형태로 제시하였는데, 크게 안전성과(safety performance), 안전분위기(safety climate), 안전전략(safety strategy), 안전가치(safety value)의 네층으로 구성되어있다. 첫 번째로 ‘안전성과’는 고위험 조직의 외적인 행태와 연관이 있는데, 전통적인 사고분석의 관점에서는 조직행태를 중심으로 사고 원인들을 규명하였다.
Cooper 제시한 안전문화의 하위목표는 무엇인가? ① 행동 규범의 구성 (producing behavioral norms) ② 사고와 부상의 감소(reductions in accidents and injuries) ③ 중요도에 따른 안전이슈의 관심 보장 (ensuring that safety issues receive the attention warranted by their significance) ④ 위험이나 사고, 보건에 대한 구성원의 동일한 생각과 신념의 보장 (ensuring that organizational members share the same idea and beliefs about risks, accidents and ill-health) ⑤ 대중들의 안전에 대한 몰입 증대(increasing people’s commitment to safety) ⑥ 조직의 보건과 안전 프로그램의 방식과 능숙함에 대한 결정(determining the style and proficiency of an organization’s health and safety programme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사길 외(2012), 국내 원전 불시정지 사례의 인적오류 위험요소 분석보고서, 한국원자력연구원. 

  2. 문기섭?장영철(2014). "안전분위기 구성요소에 대한 실증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14(1): 131-154 

  3. 백종배(2006). "화학공정산업의 공정안전문화 개선을 위한 측정도구," 한국가스학회지 10(2): 47-54 

  4. 송보영 외(2010), "철도사고 원인분석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논문집 

  5. 안관영?박노국(2005). "Neal, Griffin, and Hart 안전분위기 모형의 실증적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학회지 7(5): 107-117 

  6. 오영민(2014). "원자력발전소 조직 안전문화에 관한 시스템 사고적 고찰,"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5(1): 51-74 

  7. 왕종배.홍선호.박찬우.(2014). "철도안전문화 평가지표 개발과 안전문화수준 측정," 한국 철도학회 S(006): 20-26 

  8. 이강준 외(2008). 항공안전문화지수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서울: 교통안전공단. 

  9. 이상철(2012),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학습조직,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4호, 181-205. 

  10. 이용희(2011), "인적 오류에 영향을 주는 조직특성 및 안전문화 평가방법에 대한 기초조사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발표자료. 

  11. 장정욱 외(2011), 일본 원전 사고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창작과비평, 2011 여름, 171-203쪽. 

  12. 찰스 페로우?김태훈 옮김 (2013), 무엇이 재앙을 만드는가?, 서울: RHK. 

  13. Ashkanasy N. M., and Wilderon C. P. M., and Peterson M. F. (2011). The Handbook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Climate (2nd ed). SAGE Publications. 

  14. Coyle I. R., Sleeman, S. D., and Adams, N. (1985). "Safety Clim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26(4): 247-254. 

  15. Cooper, M. D. (2000).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36: 111-136. 

  16. Griffin M. A., and A. Neal. (2000). "Perception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3): 347-358 

  17. HSE (1997). Safety Climate Measurement User Guide and Toolkit. 

  18. IAEA (2009). The Management System for Nuclear Installations, IAEA Safety Standards Series No. GS-G-3.5. 

  19. INPO (2013). Traits of a Healthy Nuclear Safety Culture, INPO 12-012. 

  20. Lee T., and Harrison T. (2000). "Assessing safety culture in nuclear power stations," Safety Science. 34: 61-97 

  21. Leveson, N. G., Barrett, B., Carroll, J., Cutcher-Gershenfeld, J., Dulac, N., Zipkin, D., (2005). Modeling, Analyzing, and Engineering NASA's Safety Culture. Phase 1 Final Report. MIT. 

  22. Leveson, N. G. (2011). "Applying systems thinking to analyze and learn from events", Safety Science, 49: 55-64. 

  23. Lyneis, J., & Madnick, S. (2008). Preventing accidents and building a culture of safety: Insights from a simulation model, Working paper, Composite Information Systems Laboratory, Sloan School of Managemen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4. Marais, K., Levenson, N.G. (2006). "Archetype for Organizational Safety", Safety Science, 44(7), 565-582. 

  25. Patankar, Manoj S et al. (2013). Safety Culture : Building and sustaining a cultural change in aviation and healthcare, Ashgate, UK. 

  26. Reason J. (1990). Human erro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Pidgeon, N. (1998). "Safety culture: key theoretical issues", Work and Stress, 12: 202-216. 

  28. U.S. Chemical Safety And Hazard Investigation Board, (2010), Urgent Recommendations. 

  29. Wiegmann, D.A. & Shappell, S.A. (2001), "Human error analysis of commercial aviation: application of the Human Factor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ystem(HFACS)", Aviation, Spare and Environmental Medicine, 72(11) : 1006-1016. 

  30. Zohar, D. (1980).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5: 96-1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