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증 어휘에 따른 통증 종류와 강도 간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Pain Types, Pain Intensity and Terms Used to Describe Pain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2 no.1, 2015년, pp.29 - 36  

황주성 (신성대학교 물리치료과) ,  전지훈 (신성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영규 (신성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충민 (신성대학교 물리치료과) ,  박민지 (신성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현희 (신성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mprove communication of pain expressing terms and pain intensity between patient and physical therapist, and initiated to objectify a measurement of subjective pain. Methods : Data were delivered to 249 people by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and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관련 학과의 학생과 전문가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체 구조에 따라 지각하고 있는 통증 표현 어휘와 통증 강도를 조사하여 임상에서 환자에 대한 통증 평가 시 통증 파악의 지표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통증을 느끼고 있는 환자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지 못하였고, 개인적인 통증 표현의 이해도가 다양하므로 통증 종류와 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었다.
  • 다양한 근육뼈대계와 신경계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가까운 거리에서 대면하는 물리치료사가 환자들이 조금씩 다르게 표현하는 통증에 대한 비슷한 통증 어휘를 알아두면 통증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통증표현을 조사하여 물리치료사들과 환자들의 의사소통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통증 표현에 따른 통증 종류와 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 또한 물리치료적 관점에서 통증 어휘를 근육, 신경 그리고 관절 기원의 통증으로 구분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와 환자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환자의 어휘에 따른 통증 강도와 통증 부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주관적 통증 표현을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증이란 무엇인가 통증은 실질적 혹은 잠재적 조직 손상과 관련하여 표현하는 감각적이며, 정서적인 불쾌한 경험이다(Melzack, 1975). 통증이란 말은 단지 강도만을 나타내는 특수감각이 아니라 단일한 어휘 수준 아래 수 많은 다양한 질의 표현이기도 하다.
통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척도가 가지는 제한점은 무엇인가 주관적인 환자의 통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는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도표척도(graphic rating scale), 숫자척도(numerical scale), 그리고 단순서술척도(simple descriptive scale)가 있다. 이러한 도구는 통증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유용하며, 민감한 측정도구이지만, 통증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통증의 감각적, 정의적 영역의 평가는 제한되어 있어 단일 개념으로 통증을 평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McDonald과 Weiskopf, 2001).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통증 평가 도구인 McGill Pain Questionnaire (MPQ)는 통증을 감각적, 정의적 그리고 평가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Melzack, 1975).
통증은 어떤 요소를 가져서 정확히 기술하거나 평가하기 어려운가 통증은 생리적, 심리적, 행동적, 그리고 정서적 요소를 가지므로 환자마다 손상 부위나 정도 및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통증을 정확히 기술하거나 평가하기가 어렵다(Ho 등, 1996; Lee과 Kim, 2003). 통증 평가를 위한 통증 표현 어휘 분석은 해외에서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고, 2000년대 들어서는 질환에 따른 통증 표현 어휘 분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iley CA, Davidson PO. The language of pain: intensity. Pain. 1976;2(3):319-24. 

  2. Cheon SH, Choi MA. Quality of chest pain according to causal diseases and description of chest pai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in emergency departments. J Kor Clin Nurs Res. 2008;14(3):61-72. 

  3. Choi YS, Lee JY, Park JN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of korean cancer pain assessment tool (K-CPAT). Kor J Hosp Palliat Care. 2003;6(2):152-63. 

  4. Galloway S, Turner L. Pain assessment in older adults who are cognitively impaired. J Gerontol Nurs. 1999;25(7):34. 

  5. Ho K, Spence J, Murphy MF. Review of pain-measurement tools. Ann Emerg Med. 1996;27(4):427-32. 

  6. Huskisson E. Visual analogue scales. Pain measurement and assessment. New York: Raven Press, 1983. 

  7. Hyun J, Park KS.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n pain management. Kor J Adult Nurs. 2000;12(3):369-83. 

  8. Jang SY. Study on the verbal expressions and intensity of postoperative pain - In the area of obstetric and gynecologic operation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2004. 

  9. Lee CH.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a pain questionnaire. J Kor Soc Phys Ther. 1989;1(1):63-72. 

  10. Lee EO, Choi JM. A study f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form korean pain rating scale. Seoul J Nurs. 1988;3(1):73-82. 

  11. Lee EO, Kim JI. Pilot study for scale development for measurement of arthritic pain using pain terms. J Rheumatol Health. 2003;10(1):44-53. 

  12. Lee EO, Song MS. Development of korean pain rating scale. Seoul J Nurs. 1987;2(1):27-40. 

  13. Lee EO, Song MS. A study for development of a korean pain measurment tool(II). A study for testing ranks of words in each subclass of a korean pain measurement tool. J Kor Acad Nurs. 1983;13(3):106-18. 

  14. Lee EO, Yun SN, Song MS. A study for development of ratio beale measuring pain using korean pain terms. J Kor Acad Nurs. 1984;14(2):93-111. 

  15. McDonald DD, Weiskopf CS. Adult patients’ postoperative pain descriptions and responses to the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Clin Nurs Res. 2001;10(4):442-52. 

  16. Melzack R. The McGill Pain Questionnaire: major properties and scoring methods. Pain. 1975;1(3):277-99. 

  17. Melzock R, Torgersor-ii W. On the language of pain. Anesthesiology. 1971;34(1):50-59. 

  18. Pasero CL, McCaffery M. Pain: Clinical Manual. Mosby Incorporated,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