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낭 가방의 끈 길이 차이가 머리척추각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aniovertebral angle on length difference of backpack strap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2 no.2, 2015년, pp.29 - 36  

이지은 (동의대학교 의료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강대한 (동의대학교 의료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소현 (동의대학교 의료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유진 (동의대학교 의료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윤슬기 (동의대학교 의료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aniovertebral angle on bag strap length change method : this study is aimed at twenties healthy adult for 30 persons (male-8, female-22) research participant attach marks on tragus and cervical7 participant did not carry bag in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방법(배낭 가방을 등에 매지 않을 때, 가방 밑부분이 엉덩뼈능선 높이에 위치하는 끈 길이, 가방 밑부분이 엉덩뼈능선에서 아래쪽으로 10cm 높이에 위치하는 끈 길이)으로 배낭가방을 매고 보행하는 동안에 머리척추각도를 측정해 어깨 중심점보다 귀의 귀구슬이 앞쪽으로 나간 정도를 비교하여 배낭 가방의 적당한 끈 길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20대 신체 건강한 대학생을대상으로 배낭 가방의 끈 길이 차이가 머리척추각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낭 가방의 끈 길이 차이에 따른 머리척추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들과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성이나 가방의 형태와 무게, 휴대방법, 측정방법 등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비교는 한계가 있겠지만 측정 결과의 유사성을 연관시켜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 많은 선행 연구 자들이 가방 착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다방면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낭 가방의 끈 길이 차이에 따른 머리척추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들과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성이나 가방의 형태와 무게, 휴대방법, 측정방법 등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비교는 한계가 있겠지만 측정 결과의 유사성을 연관시켜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권오성, 한상욱(2001). 초등학생의 자세 실태조사 및 불량자세 원인 규명 연구, 한국 초등체육학회지, 63-708. 

  2. 기성훈(2014). 전방머리자세의 정도와 심박변이도 및 기립자세 균형요소와의 상관관계, 가천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4(4), 163-176. 

  3. 김복용, 박정한, 김풍택(1988). 부산시내 남자 초 중 고등학생의 척추측만증 유병률 측정을위한 단면조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예방의학회지, 21(2), 217-223. 

  4. 김창용, 정혜원, 김형동(2015). 일부 대학생들의 가방 휴대 방법과 무게에 따른 압력중심점 변화와 보행률 분석,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3), 2012-19. 

  5. 박수진(2009). 가방 휴대 방법에 따른 보행 시 족저압의 변화 분석,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학위논문. 

  6. 손선주, 한민규, 이혜진, 서영미, 박하나, 이상영, 박철우, 권구현, 김형수(2011). 가방휴대방법과 무게에 따른 어깨높이, 중력중심선과 발바닥 압력 변화 연구, 동주대학교,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8(3), 71-78. 

  7. 오정환, 최수남(2007). 학교 가방 끈 길이가보행 자세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0, 619-29. 

  8. 유찬욱(2008). 경추굴곡 자세에서 DMB 폰 시청이 목과 어깨 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미라(2011). Backpack의 무게가 경추 FRR(Flextion-Relaxaion ratio)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학위논문. 

  10. 이원휘(2013). 컴퓨터 작업 시 책상과 체간사이 거리가 전방머리 자세와 목과 어깨 근육들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주비전대학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8(4):601-608. 

  11. 임인혁, 엄기매, 김현숙(2009). 가방의 형태와 무게가 신체정렬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6(2), 11-17. 

  12. 조성초.(2001). 책가방 무게가 초등학생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9(2), 303-310. 

  13. 채윤원, "경부근육에 있어 두부전방자세와 압력통증역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2. 

  14. 하나라(2014). 호흡운동방법이 변형된 목과어깨 자세를 가진 돌림근띠 손상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학위논문. 

  15. Chiu TT, Ku WY, Lee MH, Sum WK, Wan MP, Wong CY, Yuen CK. (2002).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neck pain among university academic staff in Hong Kong. J Occup Rehabil, 12(2), 77-91. 

  16. Chansirinukor, W., Wilson, D., Grimmer, K., & Dansie, B.(2001). Effects of backpacks on students: measurement of cervical and shoulder posture. The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47(2), 110-116. 

  17. Chow, D.H., Leung, K.T., & Holmes, A.D.(2007). Changes in spinal curvature and proprioception of school boys carrying different weights of backpack. Ergonomics, 50(12), 2148-2156. 

  18. Gooch, L.(1993). A Controlled study of sustained cervical spine flexion. Western australia: Master Thesis.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19. Grimmer, K., Nyland, L., & Milanese, S.(2006). Repeated measures of recent headache, neck and upper backpain in Australian adolescents. Cephalalgia, 26(7), 843-851. 

  20. Hanten, W. P., Lucio, R. M., Russell, J. L., Brunt, D. (1991). Assessment of total head excursion and resting head posture. Arch Phys Med Rehabil, 72(11), 877-80. 

  21. Harrison DE, Harrison DD, Troyanovich SJ.(1998). Reliability of spinal displacement analysis of plain X-ray: a review of commonly accepted facts and fallacies with implications for chiropractic education and technique. J Manipulative Physio Ther, 21(4), 252-266. 

  22. Hickey ER, Rondeau MJ, Corrente JR, Abysalh CJ. (2000), Reliability of the cervical range of motion(CROM) device and plumb line techniques in measuring resting head posture(RHP). J Manipulative Physiol Ther, 8(1), 10-17. 

  23. Hong, Y., & Li, J.X.(2005). Influence of load and carrying methods on gait phase and ground reaction sin children's stair walking. Gait & Posture, 22, 63-68. 

  24. Hong, Y., Li, J. X., & Fong, D. T.(2008). Effect of prolonged walking with backpack loads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fatigue in childre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8(6), 990-996. 

  25. Limon, S., Valinsky, L. J., & Ben-Shalom, Y.(2004). Children at risk: risk factors for low back pain in the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Spine, 29(6), 697-702. 

  26. Macias,B. R., Murthy, G., Chambers, H., & Hargens, A.R. (2008). Asymmetric loads and pain associated with backpack carrying by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Orthopaedics, 28(5), 512-517. 

  27. Mekhora K, Lostpm CB, Nanthavanij S, Coleb JH.(2000). The effect of ergonomic intervention on discomfort in computer users with tension neck syndrome, Int J Ergon. 26(3), 367-379. 

  28. Minhee Kim(2006) Changes in Neck Muscle Electromyography and Forward Head Posture During Carrying of Various Schoolbags by Children. 

  29. Negrini,S. & Negrini, A.(2007). Posturaleffects of symmetricaland asymmetricalloads on the spines of school children. Scoliosis, 2(8), 1-7. 

  30. Pascope, D.D., Pascoe, D.E., Wang, Y.T., Shim, D.M., & Kim, C.K.(1997). Influence of carrying book bags on gait cycle and posture of youths. Ergonomics, 40(6), 631-641. 

  31. Qu, X., & Yeo, J. C.(2011). Effects of load carriage andfatigue on gait characteristics. Journal of Biomechanics, 44(7), 1259-1263. 

  32. Sauter, S. L., Schleifer, L. M., & Kuntson, S. J.(1991) Work posture, workstation design and musculoskeletal discomfort in a VDT data entry task. Hum Factors, 33(2), 151-67. 

  33. Suterland, D. H.(1984). Gait disorders in Chidhood and Adolescence. Williams & Wilkins: Baltimore, p.10. 

  34. Szeto GP, Straker LM & Osulivan PB.(2005), A comparison of 21.symptomatic and asymptomatic office workers performing monotonous keyboard work2: neck and shoulder kinematics, Man Ther, 10(4), 281-291. 

  35. Watson DH(1994). Cervical headache an investigation of natural head posture and upper cervical flexor muscle performance. Grieve's Modern Manual Therapy-The Vertebral column. 

  36. Yip CH, Hiu TT & Poon AT.(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posture and severity and disability of patients with neck pain. Man Ther, 13(2), 148-15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