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인에서 보행 속도가 발바닥의 최대압력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speed on peak plantar pressure in healthy subjec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2 no.2, 2015년, pp.43 - 47  

하미숙 (춘해보건대학교) ,  남건우 (춘해보건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Many factors affect foot and ankle biomechanics during walking, including gait speed and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lking speed on peak plantar pressure during the walking. Method : Thirty two normal healthy subjects (16 men, 16 women) were rec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보행속도와 관련된 연구들은 모두 삼차원 동작 분석에 의한 보행분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발의 압력을 분석한 논문들은 그 수가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행속도가 발바닥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보행 시 발에 주어지는 높은 압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을 가진 환자 교육 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보행속도가 하지의 발바닥 최대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이란 무엇인가? 정상인에게 보행은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비교적 단순한 신체활동의 하나로 여기기 쉽지만 보행의 구성요소는 단순하지 않다. 보행은 태어나면서 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신경계와 근골격계 등의 유기적인 발달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과정으로 한 하지가 입각기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시에 다른 하지가 몸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신체를 이동하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이다(Jefferson과 Whittle, 2003).
인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동 수단은 무엇인가? 은 인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동 수단으로써, 인체와 지면 사이에서 인체를 둘러싼 주변 환경과 상황에 적절하게 적응하고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능력이 요구된다(성일훈, 2000). 정상인에게 보행은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비교적 단순한 신체활동의 하나로 여기기 쉽지만 보행의 구성요소는 단순하지 않다.
보행속도에 따라 신체에 생기는 증상은 무엇인가? Rosenbaum 등(1994)은 보행속도에 따라 이마면에서 발목관절의 엎침이 증가하여, 발바닥 안쪽의 체중지지 비율이 늘어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김미정 (2005)은 우리 인체의 골격은 척추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열하고 있고, 총체적인 모양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인체의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다른 활동에 영향을주게 되며, 발의 각 부의 배열이 정확하지 않으면 발뒤꿈치가 틀어지고, 아치의 균형이 무너짐으로서 몸의 체간과 무릎, 발목을 통해 발바닥으로 고루 분산되지 않게 되어 많은 증상들을야 기하게 된다고 하였다. Nawoczenski(1995)는 기립자세 에서 일반으로 인체와 외부 환경사이에 수직으로 하는 유일한 부분이기 때문에, 발바닥면의 감각유입이 변화할 때 족압의 증가나 감소에 반응하여 근 활동 한 영향을 받으므로 족면에서의 구심성 감각유입을 변화시킴으로서 근육, 움직임,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로빈, 진영완, 문곤성. 보행속도에 따른 보폭변화가 하지관절 모멘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005;15(2):93-102. 

  2. 김미정. 동작분석기를 통한 High-Heel Gait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6. 

  3. 노정석, 김택훈. Parotec System을이용한 족저압 측정의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1. 

  4. 류남욱. 정상인에서 보행속도가 발바닥의 최대압력변화와 지면 접촉 시간, 보행각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5. 박경희, 권오윤, 김영호. 정상인에서 보행 속도가 발관절의 관절각과 발바닥 최대 압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3;10(1). 

  6. 이경섭, 조효구. 평형성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보행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특수체육연구. 2011;8. 

  7. 성일훈. 족부의 생체역학(The Biomechanic of the Foot). 한양대학교의과대학. 2000. 

  8. 여민우, 이상도, 이동춘. 안전화 착화 시 보행속도에 따른 족저압 분포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관리학회지. 2006;11(1):51-63. 

  9. 유원규. 내림 경사대에서 한 다리 스쿼트 운동 시 경사면과 자세변화에 따른 무릎주변근의 근활성도(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0. 정철수, 신인식, 서정석, 은선덕. 연령과 속도에 따른 보행형태와 역학적 효율성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2001;10(2):205-219. 

  11. Cornwall MW, McPoil TG. Effect of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on rearfoot motion during walking. J Am Podiatr Med Assoc, 1999;89(6): 272-277. 

  12. Dingwell JB, Cusumano JP, Sternad D., et al. Slower speeds in patients with diabetic neuropathy lead to improved local dynamic stability of continuous overground walking. J Biomech, 2000;33(10):1269-1277. 

  13. Hanlon M, Anderson R. Predicition methods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gait speed on lower limb angular kinematics. Gait & Posture. 2006;24:280-287. 

  14. Jefferson R. Performance of Three Walking Orthoses for the Paralyzed: A Case Study Using Gait Analysis Whittle. ISPO. 2003. 

  15. Nawoczenski DA, Owen MG, Ecker ML., et al. Objective evaluation of peroneal response to sudden inversion stres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85;7:107-109. 

  16. Rodgers MM. Dynamic foot biomechanic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5;21(6) : 306-316. 

  17. Rosenbaum D, Hautmann S, Gold I., et al. Effect of walking speed on plantar pressure patterns and hindfoot angular motion. Gait & Posture. 1994;2:191-197. 

  18. Smith LK, Weiss EL. Brunnstrom's Clinical Kinesiology. F.A. Davis. 1996;410-435. 

  19. Yang JF, Winter DA. Surface EMG profiles during different walking cadences in human. Electroencephalongr Clin Neurophysiol. 1985;60(6):485-491. 

  20. Vaughan CL, Subramanian N, Busse ME. Selective dorsal rhiztomy as treatment option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Gait & Posture. 1998;8(1): 43-59. 

  21. Winter DA. Energy generation and absorption atthe ankle and knee during fast, natural and slow cadences.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1983;175:147-1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