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of Vietnamese Immigrant Workers in Kore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4, 2015년, pp.380 - 389  

전혜정 (동아대학교병원) ,  이가언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of Vietnamese immigrant worker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230 Vietnamese immigrant workers residing legally in B or K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2, 2014 to August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외국인 근로자들 중에서 한국계 중국인 다음으로 많이 차지하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여 외국인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거주하고 있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출신국가를 고려하지 않고 수행된 점에 비해 우리나라 외국인 근로자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것은 추후 출신국가별 근로자들의 건강증진방안에 근거가 될 수 있기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몇 개 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만을 한정하여 조사하였기에 확대 해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 본 연구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B와 K시에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 230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건강증진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외국 출신 근로자들의 수는 어떠한가? 우리나라는 1987년부터 노동력 부족에 대한 대체방편으로 외국 출신 근로자들을 대거 유입하여 산업현장에서 주요한 인적자원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현재 그 수가 54만 명에 달하고 있다[1]. 이들 근로자들 중 베트남 출신 근로자들은 한국계 중국인 다음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2].
문화적응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이주민들이 본국이 아닌 이주하는 새로운 나라의 사회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문화적응 스트레스라고 한다[4]. 이는 난민이나 이주자에게서 나타나는 정신건강상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개념에서 사회문화적인 요소들을 확장시킨 개념으로서[5], 이주국가에서의 차별, 언어문제, 지지체계의 상실과 실직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고립감과 소외감[6] 등이 포함된다.
외국인 근로자들이 겪는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외국인 근로자들의 경우에는 이주민으로서의 스트레스 뿐 아니라 근로자로서의 스트레스도 있어 이중적인 압박감을 예상할 수 있다. 즉 출신국가에 대한 편견, 피부색, 용모와 언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외에 직장 내에서 경험하는 차별, 자국과 다른 작업방식, 저임금, 장시간 노동 등의 어려움과 경제적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겪을 수 있다[7,8] 또한 이들은 결혼이민자들과는 달리 우리나라 국민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회통합정책에서 배제되며, 특히 고용시장에의 진입이나 직장생활에서의 부적응 등으로 인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9]. 더불어 이러한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적대감, 불확실성, 정체성의 혼란 및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10], 대표적으로 우울증상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Justice Republic of Korea. Immigration policy statistics reports [Internet]. Gwacheon: Ministry of Justice Republic of Korea. 2014 [cited 2014 March 4]. Available from: http://www.corrections.go.kr/doc_html/attach/imm/f2014//20140219185877_4_1.hwp.files/Sections1.html 

  2.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by local governments: International immigrant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4 March 4]. Available from: http://kosis.kr/customStatis/customStatis_01List.jsp#jsClick 

  3. Lee JW. Social relation of foreign workers in Korea: Focusing on friendship relations.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2005;27(3):75-90. 

  4. Hovey JD, Maganna CG. Psychosocial predictors of anxiety among immigrant mexican migrant farmworker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2002;8(3):274-289. http://dx.doi.org/10.1037/1099-9809.8.3.274 

  5. Williams CL, Berry JW.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The American Psychologist. 1991;46(6):632-641. http://dx.doi.org/10.1037/0003-066X.46.6.632 

  6. Berry JW.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005;29(6): 697-712. http://dx.doi:10.1016/j.ijintrel.2005.07.013 

  7. Lee SH, Lee YJ, Kim SY, Kim SJ.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in migrant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6):899-910.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99 

  8. Kim YL.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 workers in Korea. Discourse 201. 2008;11(2):103-138. 

  9. Kim TS. Consideration of exclusion aspects for foreigners: Mainly foreigners and Korean defectors and returning home.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2009;9(2):305-326. 

  10. Hovey JD, King CA.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immigrant and second-generation latino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996;35(9):1183-1192. http://dx.doi.org/10.1097/00004583-199609000-00016 

  11. Oh YJ, Koeske GF, Sales E. Acculturation,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002;142(4):511-526. http://dx.doi.org/10.1080/00224540209603915 

  12. Lee HK, Sohn MS, Choi M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workers by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work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3;30(5):125-138. http://dx.doi.org/10.14367/kjhep.2013.30.5.125 

  13. Yang YJ, Shin SH.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family stress on depression of middle-aged couples: Analysis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4;23(2):60-69. http://dx.doi.org/10.12934/jkpmhn.2014.23.2.60 

  14. Kim SH, Kim SH. Foreign workers' acculturative stress in Korea socie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3832-3842.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832 

  15. Kim HM, Kim SH. Acculturative stress of foreign migrant workers and contributing factors: Examining the role of social support.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8;30:78-100. 

  16. Kim HS.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on migrant workers' depression and anxiety: Focused on undocumented workers in Maseok, Gyeonggido.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6. 107 p. 

  17. Lee IS.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on migrant workers' mental health: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4. 84 p. 

  18. Yang OK, Park HK, Sohn GH. A study on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mong migrant workers in Korea.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0;35(1):141-175. 

  19. Cho IY.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in foreign migrant workers on their anxiety speaking Korea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155 p. 

  20. Sandhu DS, Asrabadi BR.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s. Psychological Reports. 1994;75(1):435-438. 

  21.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1993;32(3):381-399. 

  22. Ahn JH, Cho JH. Psychosocial and cultural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e Chungcheongnam-do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1;32:137-176. 

  23. Lee KO. The effects of status of residence and occupational stress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migrant workers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13. 94 p. 

  24. Ha JY, Kim YJ.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54-264.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4.254 

  25. Kuo WH, Tsai YM. Social networking, hardiness and immigrant's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86;27(2):133-149. 

  26. Kim JK, Kim JE, Moon DH. Effect of occupational stress and sleep quality on depression among male immigrant workers manufacturing industry,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2;22(3):244-256. 

  27. Bae JY, Park HJ. Depress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1):67-75. http://dx.doi.org/10.12934/jkpmhn.2010.19.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