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 경로분석
Validation of a Path Model of Vietnamese Migrant Workers' Occupational Stres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4, 2018년, pp.404 - 413  

전혜정 (동아대학교병원) ,  이가언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유정옥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verify a path model for the influencing factors on occupational stress of Vietnamese migrant workers in Korea. Methods: Participants were 193 Vietnamese migrant workers recruited from Foreign Workers Support Centers. Data were collected by a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외국 선행연구 [17,18]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문화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국적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19]에서 한국인 친구를 통한 사회적 지지가 한국 사회 문화 적응을 높인 것으로 나타나 세 변수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외 국내 거주기간이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에 대한 근거는 미흡하나 본 연구를 통해 관계를 확인하고자 경로를 추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내 외국인 근로자들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과 그 경로를 예측하여 모형을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국적별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직무 스트레스 관리 방안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경로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 및 경로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그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이나 지역사회 외국인 근로자 유관기관에서 이들의 안정된 한국사회 적응과 직무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였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그 경로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 스트레스는 업무상 요구되는 사항들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요구 사항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유해한 물리적, 정서적 반응[7]이다. 이는 낯선 타국에서 겪어야 하는 문화적 어려움뿐 아니라, 본국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생소한 직무에 처할 가능성이 높은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더욱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미치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미비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다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다룬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근골격계 증상[8]과 우울[9,10]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근로자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이로 인한 결근과 소진은[11] 결국 산업재해나 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외국인 근로자들 중 다수를 차지하는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사전에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이유는? 국내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하여 대부분 중소 영세 사업장에서 내국인이 기피하는 단순한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2]. 이들은 입국과 동시에 생산 현장에 투입되며 낯선 한국의 작업방식[3]과 비인간적인 대우[2] 등으로 인하여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3]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 근로자의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이들의 산업재해율이 우리나라 근로자에 비하여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Justice Republic of Korea. Immigration policy statistics reports [Internet]. Gwacheon: Ministry of Justice Republic of Korea. 2017[cited 2017 March 4].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doc_html/attach/imm/f2017//20170421281813_1_1.hwp.files/Sections1.html. 

  2. Kwon JW, Kim HC, Sun J, Kim JW. Cross-cultural adjustment of foreign workers in Korea.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 Studies. 2012;17(2):161-183. 

  3. Li JM, Chung DS.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media use on cultural adap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nese workers in Korea.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16;35(1):1-22. https://doi.org/10.29214/damis.2016.35.1.001 

  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dustrial acciden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cited 2018 June 10].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english/pas/pasMajor.jsp 

  5. Kim NK, Lim CW.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capital and labor status of returning Vietnamese migrants: Focusing on the labor migrants in Korea. Kor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25(1):201-234. https://doi.org/10.21652/kaseas.25.1.201502.201 

  6. Kim YL.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 workers in Korea. Discourse 201. 2008;11(2):103-138. https://doi.org/10.17789/discou.2008.11.2.004 

  7. Sauter S, Murphy L, Colligan M, Swanson N, Hurrell J, Scharf F, et al. Stress at work [Internet]. Cincinnati, O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9 [cited 2018 May 15].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iosh/docs/99-101/default.html 

  8. Jo MH, Kim KS, Lee SW, Kim TG, Ryu HW, Lee M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migrant worke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9;21(4):378-387. 

  9. Kim JK, Kim JE, Moon DH. Effect of occupational stress and sleep quality on depression among male immigrant workers manufacturing industry,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2;22(3):244-256. 

  10. Lee SW, Kim KS, Kim TG, Ryu HW, Lee MY, Won YL,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grant workers in Kyung-gi province in Korea.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9;21(1):76-86. 

  11. Luo H, Yang H, Xu X, Yun L, Chen R, Chen Y, et al.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burnout among rural-to-urban migrant workers in Dongguan,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2016;6:e012597. https://doi.org/10.1136/bmjopen-2016-012597 

  12. Hurrell JJ, McLaney MA. Exposure to job stress: A new psychometric instrument.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1988;14(suppl 1):27-28. 

  13. Zimet GD, Dahlem NW, Zimet SG.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14. Garcia-Herrero S, Mariscal MA, Gutierrez JM, Ritzel DO. Using Bayesian networks to analyze occupational stress caused by work demands: Preventing stress through social support.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2013;57:114-123. https://doi.org/10.1016/j.aap.2013.04.009 

  15. Berry JW.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005;29(6):697-712. https://doi.org/10.1016/j.ijintrel.2005.07.013 

  16. Reid JA, Romans JS, Koch JM. Job stress and acculturation strategies in african american professionals. Western Journal of Black Studies. 2014;38(1):24-34. 

  17. Hovey JD, Maganna C. Acculturativ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Mexican immigrant farmworkers in the Midwest United State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2000;2(3):119-131. https://doi.org/10.1023/A:1009556802759 

  18. Ayers JW, Hofstetter CR, Usita P, Irvin VL, Kang S, Hovell MF. Sorting out the competing effects of acculturation, immigrant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 report on Korean women in California.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09;197(10):742-747. https://doi.org/10.1097/NMD.0b013e3181b96e9e 

  19. Kim HK.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or migrant workers on cultural adjustment. Korea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2009;22(1):385-409. 

  20. Park GS, Song BK. An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of migrant workers. The Journal of Soonchunhyang Humanities. 2015;34(2):319-353. 

  21. Stevens J.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6. 659 p. 

  22.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5;17(4):297-317. 

  23. Sunin RM, Ahuna C, Khoo G. The Suinn-Lew asian self-identity acculturation scale: Concurrent and factorial valid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92;52(4):1041-1046. https://doi.org/10.1177/0013164492052004028 

  24. Kim DH. Study of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of immigrant women for marriag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8. 159 p. 

  25. Li JM, Liu Y, Chung DS.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cultural adap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Chinese workers in Korea.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16;23(1):1-18. https://doi.org/10.14396/jhrmr.2016.23.1.1 

  26. Yi GM, Jung HS, Yi YJ, Hyun HJ, Kim HG.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9;18(2):165-173. 

  27. Kim YH, Lim SY. A study on the occupational and labor consciousness' of foreign workers- focused on the type of foreign workers (E9, H2 visa).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14;33(5):63-83. 

  28. Chin H, Chang EM, Chung KS. Work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foreign workers wit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Journal of Small Business Innovation. 2016;38(3):1-23. 

  29. Song JH, Lee TY.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acculturation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Social Welfare Policy. 2014;41(1):241-266. https://doi.org/10.15855/swp.2014.41.1.2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