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19 no.1, 2015년, pp.39 - 56  

김리나 (서울내발산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의 다양한 범주들 중 하나인 수학과 교수 학습 관련 이론에 대해 현재 교사들이 얼마나 알고 있는 가를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수 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수학과 교수 학습 이론과 관련한 27개의 문항을 자체 개발, 317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한 설문지 통계 분석 결과, 수학과 교수 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은 교사의 교직 경력 및 초등학교 교사 자격증의 등급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성별, 학위 여부와는 특별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과 연관된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교사 연수 및 학위 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Findings of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문항의 타당도를 검증받기 위해 두 명의 초등수학교육학과 교수와 세 명의 초등수학교육관련 석사학위 소지 교사가 문항지를 검토하였다. 2013년 2월 무선표집방법으로 선정된 50명을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예비 연구를 통해, 참여자가 성별, 경력, 자격증 상태, 보유 학위 등에 따라 설문지 문항이 요구하는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주성분분석 방법을 활용한 예비 연구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PMTE와 MTOE 모두 0.
  • 다만, 상급 학위 과정을 이수한 교사 역시도 특별히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이 더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사의 지식을 발전 혹은 유지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본 연구 역시 Shulman이 제시한 교사의 일반적 지식의 범주를 근거로 수학 교수와 관련된 지식 중 수학과 교수·학습 이론과 관련된 지식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에 대한 여러 가지 측면 증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이라는 지식의 일부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학사 및 석사 과정의 수업 내용 및 교육과정 및 교육 목표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에 사용할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을 선정하기위해 한국수학교육학회와 대한수학교육학회 학술지에 개제된 논문 중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 적용 사례 논문을 검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에 사용할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을 선정하기위해 한국수학교육학회와 대한수학교육학회 학술지에 개제된 논문 중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 적용사례 논문을 검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자체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 교직경력, 초등학교 교원 자격증 상태(e.g. 1급 정교사 자격증, 2급 정교사 자격증), 학위 등에 따라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들에 관한 지식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 [그림 3]에 제시된 문항은 단순히 학습 이론가의 이름을 알고 있는가를 평가하고 있지않다. 이론가와 함께 이론의 명칭을 제시하여, 교사들이 각 이론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는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수학 교수에 있어 교사가 주요한 방법론적 근거를 제시해주는 스키마, 근접 발달과 같은 이론의 명칭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교수활동에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를 장담하기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이 충분한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을 알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에 대해 별도의 조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대학 교육에서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초등교사로 임용되기 위해 이론 관련 지식을 평가받았다 할지라도,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이 충분한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을 알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별도의 조사가 필요하다. 이는 교사의 지식의 양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e.g.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의 양은 어떤 요인인가? 효율적인 수학 수업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가 알아야 할 지식에 대한 논의는 한국 뿐 아니라 세계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Park, 2010; 권민성, 남승인, 김상용, 2009).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의 양은 수업의 질적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Rice, 2003; Rivers, & Sanders, 2002; 김원경, 문소영, 변지영, 2006; 정호정, 최창우, 2014), 동시에 학습자의 수학 학습 성취도 향상에 주요한 요인이 된다 (Hill, 2004; 방정숙, Li, 2008).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 교수와 관련하여 어떤 지식을 얼마나 가지고 있어야 하는가의 문제는 학습자가 어떤 수준의 수학 수업을 받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직결된다.
설문을 활용한 조사 연구은 어디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가? 설문을 활용한 조사 연구는 주어진 모집단의 특정 측면에 대해 양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하는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Kraemer, 1991). 이 때, 표본 집단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선정된다면, 표본 집단의 분석 결과는 모집단의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Kelly, Clark, Brown, & Sitzia,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고상숙, 장덕임 (2005). 수학화에 의한 도형지도에서 학생의 학습과정 연구. 수학교육, 44(2), 157-167. 

  2. 교육인적자원부 (2012). 교육통계. http://cesi.kedi.re.kr/에서 2014년 2월 14일 인출. 

  3. 김민경 (2005). 패턴블록을 활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 44(1), 125-141. 

  4. 김민경 (2007). 영상적 표상이 포함된 비례 문제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비례적 사고 분석. 수학교육, 44(1), 125-141. 

  5. 김방진, 류성림 (2011). 소수 나눗셈에 대한 교사의 PCK와 실제 수업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533-557. 

  6. 김윤진, 김민경 (2006). 수학화 경험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수학적 능력 및 수학화 분석. 수학교육, 44(3), 435-356. 

  7. 김수미 (2008). Zoltan Dienes의 수학 학습 6단계 이론의 재음미. 학교수학, 10(3), 385-401. 

  8. 김수미, 정은숙 (2005). 범례 제시를 통한 도형 개념 지도 방안. 수학교육학연구, 15(4), 401-417. 

  9. 김원경, 문소영, 변지영 (2006).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수학교육, 45(4), 381-406. 

  10. 김익표 (2010). 안내된 재발명을 포함한 탐구 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 45(3), 345-365. 

  11. 곽주철, 류희수 (2008).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 분석. 학교수학, 10(3), 423-441. 

  12. 권민성, 남승인, 김상용 (2009). 미국 선다형 문항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 분석, 초등수학교육, 48(4), 399-417. 

  13. 서울교육대학교 (2014). 서울교육대학교 요강. http://www.snue.ac.kr/에서 2014년 2월 14일 인출. 

  14. 서울교육연수원 (2014). 초등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과정 안내. http://www.seti.go.kr/index.html/에서 2014년 2월 14일 인출. 

  15. 방정숙, & Li. Y. (2008).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분석. 수학교육. 47(3). 291-310. 

  16. 송근영, 방정숙 (2008). 소수연산에 관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교육연구. 22(1), 89-108. 

  17. 송영무, 박윤자 (2005). 초등학교 5-6학년 특별보충반 학생들의 나눗셈 연산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44(2), 265-280. 

  18. 신현용, 이종욱 (2004). 수학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와의 관계. 수학교육, 43(3), 257-273. 

  19. 심상길 (2005). 초등학교 기하에서 큐브를 활용한 조작 활동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44(2), 255-280. 

  20. 이종욱 (2005). 초등교사의 분수 지식 실태 분석. 수학교육, 44(1), 67-85. 

  21. 이종희, 김선희 (2005). Vygothsky 이론에 근거한 수학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도구 개발. 수학교육연구, 11(1), 89-102. 

  22. 이환철, 허난, 강옥기 (2010). 동료를 지도하는 수학 학습 능력 우수 학생의 학습 과정 탐색. 학교수학, 12(2), 177-191. 

  23. 이현숙 (2011).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지식(MKT)과 수업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호정, 최창우 (2014). 초등학교 교사의 등호 개념에 관한 지식분석 사례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11-236. 

  25. 조누리, 백석윤 (2013). 수학적 발문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PCK 비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39-65. 

  26. 최승현, 황혜정 (2008).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0(4), 489-514. 

  27. 최승현, 황혜정 (2009).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조명한 PCK (내용 교수 지식)의 의미와 역할. 수학교육학논총, 36, 387-400. 

  28. 하은영, 장혜원 (2009) 수학저널 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 부진학생의 기하적 사고 수준 변화 사례 연구. 학교수학, 11(1), 147-164.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유치원 초등.특수학교 교사 임용시험. http://www.kice.re.kr/ 에서 2014년 2월 14일 인출. 

  30. Albert, L. R., Kim, R., & Kwon, N. Y. (2014). A hierarchy of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 and Innovation. 1(2), 51-73. 

  31. Ball, D.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32. Bass, H. (2005). Mathematics, mathematicians and mathematics educa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42(4), 417-430. 

  33. Carter, K. (1990). Teachers' knowledge and learning to teach.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91-310. 

  34. Dewey, J. (1904). The relation of theory to practice in education >>1>>. 

  35. Fennema, E., & Franke, M. (1992). Teachers' knowledge and its impact. In D. A .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NewYork: Macmillan Publishing. 

  36. Hill, H. C., Rowan, B., & Ball, D. L. (2005). Effects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2(2), 371-406. 

  37. Hill, H. C. (2004). Professional development standards and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lementary School Journal, 104, 345-363. 

  38. Hill, H. C., Schilling, S. G., & Ball, D. L (2004).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105, 11-30. 

  39. Kelly, K., Clark, B., Brown, V., & Sitzia, J. (2003). Good practice i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survey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5. 261-266. 

  40. Kim, R. (2014).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College, MA, U. S. A. 

  41. Klein, R., & Tirosh, D. (1997).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rational numbers. In H. Pekhonen (Ed.), Proceedings of the 21st PME International Conference, 3, 144-152. 

  42. Kraemer, K. L (1991). Th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challenge: Survey Research Methods-Volume 3.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43. Kulm, G., & Li, Y. (2009). Curriculum research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nd crossnational studies. ZDM, 41(6), 709-715. 

  44. Mason, J. (2010). Mathematics education: Theory, practice & memories over 50 year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3-9. 

  45. Mitchell, R., Sihn, H., G., & Kim, R. (2014).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Numbers and Operations. Mediterran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5(15). 336-347. 

  46. Morris, A. K., Hiebert, J., & Spitzer, S. M. (2009).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in planning and evaluating instruction: What can preservice teachers lear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91-529. 

  47. Ng, D. (2011). Indonesian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geometr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2), 151-164. 

  48. Oonk, W. (2009). Theory-enriched Practical Knowledge in Matheamtics Teacher Education. ICLON: Leiden (proefschrift). 

  49. Park, K. (2010).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Korea. In Koon, F., Leung, S., & Li, Y. (Eds.), Reforms and issues in school mathematics in East Asia : Sharing and understanding mathematicse 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pp.181-196). Chesapeake, VA: AACE. 

  50. Rice, J. K. (2003). In Washington D. (Ed.), Teacher quality: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attributes Economic Policy Institute. 

  51. Scherer, P., & Steinbring, H. (2006). Inter-relating theory and practice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03-108. 

  52. Rivers, J. C., & Sanders, W. L. (2002). Teacher quality and equity in education opportunity: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In L.T. Izumi & M. E. Williamson (Eds.), Teacher quality (pp. 13-23). Hoover Press: Stanford, CA. 

  53. Shulman, L. S. (1986).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s in the study of teach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In M. C.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3rd edition, pp. 3-36). New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54.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