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세보 효과 교육에 따른 변화가 힐링음식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f Placebo Effect Education Impacts on Healing Food Intake Intention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1 no.6 = no.75, 2015년, pp.158 - 166  

하헌수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부) ,  김정아 (가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세보 효과 지식 교육이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 효과가 있는 경우 플라세보 효과 지식 변화에 따른 힐링음식 이용의도 변화를 가져오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조리과 39명의 실험집단과 29명의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라세보 효과 지식 교육은 감정적 가치와 영양적 가치는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었으나, 기능적 가치에서는 유의적인 효과가 없었다. 둘째, 플라세보 효과 지식의 변화는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셋째, 플라세보 효과의 영양적 가치 지식에 따른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으나, 기능적 가치와 정서적 가치는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education on the placebo effect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knowledge of the placebo effect, as well as the intention of healing food intake. For this purpose, 37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nd 29 control group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라세보 효과 지식이 전혀 없는 2개의 대학의 조리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등 두 개 집단을 설정하고, 실험집단에서는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그 교육이 플라세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교육이 플라세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실험집단 학생들의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플라세보 효과로 인한 소비자의 힐링음식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플라세보 효과에 관한 지금까지의 과학적 연구결과 및 정부 및 세계 기구의 규제에 대하여 학생들에게 교육을 실시한 후, 플라세보 효과 교육에 따른 플라세보 효과 지식의 변화 및 이에 따른 힐링음식 이용의도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이를 위하여 플라세보 효과 지식이 전혀 없는 A, B 2개 대학교 조리학과 학생들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플라세보 효과에 따른 힐링음식 이용의도를 조사하였고, 실험집단으로 A 대학교 조리학과 학생 37명에게는 플라세보 효과에 관한 지식을 강의하고, 통제집단으로 B 대학교 조리학과 학생 29명을 택하여 플라세보 효과에 관한 지식을 전혀 실시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있어서 플라세보 효과가 작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플라세보 군을 설정한 실험연구를 시도한 바는 있으나, 음식섭취의 이용의도에 플라세보 지식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다.
  • 사후측정은 강의 일주일 후인 9월 셋째 주에 실시하여 자연적인 기억 소멸 기간을 두었다. 이 실험을 통하여 플라세보 효과 지식교육이 학생들의 플라세보 효과 지식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지, 또한 플라세보 효과 지식교육이 플라세보 효과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플라세보 지식이 실험집단의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라세보 효과에 따른 힐링음식 이용의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가져오는지, 또 이런 변화가 주관적인 플라세보 효과에 따른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조리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에 37명에게는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지식 교육을 실시하고, 다른 대학 조리학과 29명은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지식교육을 전혀 실시하지 않았다.
  •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교육이 플라세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실험집단 학생들의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즉, 플라세보 효과가 있다고 하는 객관적인 지식의 증가가 소비자가 인지하는 주관적인 힐링음식의 이용의도의 유의적인 변화를 가져오는지 조사하였다. 만약 플라세보 효과가 있다는 지식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플라세보 효과로 인한 힐링음식의 이용의도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다면, 힐링음식이 소비자에게 홍보하기보다는 힐링음식에 대한 다양한 메뉴개발 및 메뉴의 상품화에 노력하는 것이 조리업계의 시장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라세보 효과 지식이 전혀 없는 2개의 대학의 조리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등 두 개 집단을 설정하고, 실험집단에서는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그 교육이 플라세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교육이 플라세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실험집단 학생들의 힐링음식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즉, 플라세보 효과가 있다고 하는 객관적인 지식의 증가가 소비자가 인지하는 주관적인 힐링음식의 이용의도의 유의적인 변화를 가져오는지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세보는 무엇인가? 플라세보(Place)란 통제 집단에게 어떤 치료를 받고 있다는 생각이나 믿음을 야기하지만, 작용은 없는 치료이면서 진짜 치료와 구분이 불가능한 것을 말한다(Son IG, Kim IR 2014). 이는 의학적 의미를 말하지만 음식과 연계를 하자면 예를 들어 돼지껍데기 요리에서 돼지껍데기의 콜라겐 성분이 피부가 좋아지게 된다든가, 부추전의 부추가 정력에 좋다고 표기된 효능표지판은 대부분의 소비자들의 심리에 플라세보 효과를 만들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Lee KM et al 2003).
우리 삶에서 바른 먹거리 개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국민 소득 3만불 시대에 진입하면서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원하는 우리의 삶에 바른 먹거리는 웰빙, 로하스라는 개념을 넘어 이제는 힐링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현대인들에게 다가왔다(Hong SG 2011). 현대인들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한 음식점을 찾아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이용의도에는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 이용의도란 무언가를 구매하여 이용하려는 소비자의 의지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계획된 미래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념과 태도가 구매하려는 행위로 옮겨질 가능성으로 정의된다(Engel et al 1978). 소비자가 상품구매를 위해 구매의사를 결정하는 데는 소비자의 개성과 생활양식, 가치관 등 개인의 미시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지만, 그들이 속한 문화, 사회계층, 준거집단, 가족 등 여러 가지 거시적 요인들도 복합적으로 작용한다(Yoon YY, Kim GJ 2013). 즉, 구매하기 전에 정보를 탐색하고, 비교 평가하는 활동과 소비에 따른 만족, 불만족 반응 등 심리적 활동도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비자 행동의 범위에 들어가야 하며, 이는 소비자행동의 개념에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ang JH, Kang JH (2014). The effect of healing food image and recognition of Jeonju native local food on purchas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9(3):181-203. 

  2. Kyung WB (2012). An study of serious sports game selection attributes, functional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s and value: In screen golf practice range.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7(3). 

  3. Kim DH, Um KS (2014). A study on the universal package design of considering consumer buying behavior. Communication Design Society 48. 

  4. Lee GH (2014).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f yaksun food(herbal medicinal foo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Kangdo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5. Lee KM, Lee SY, Kim SU, Ha ID, Jo GH, Park HJ, Jeong TY, Seo JC, Han SW (2003). The effects of placebo auricular acupuncture through single-blind method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Is it possible to apply placebo auricular acupuncture to Korean? Society for Acupuncture 20(2):145-16. 

  6. Lee SD, Park JY (2013).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conscious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discount frequency and brand loyal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high involvement types.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5(4). 

  7. Son IG, Kim IR (2014). Psychiatric applications of placebos. Korean Society of Psychotropic Drugs 25(2):37-42. 

  8. Park SJ, Han KS, Yoo SM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rataegi fructus. Korea Food and Nutrition. 

  9. Yoon YY, K GJ (2013). A qualitative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 safety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15-31. 

  10. Hong SG (2011). A study on processed food purchase behaviors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dietary lifestyles of urban housewives-Focusing on moderating variables of processed food preference and perception. Doctoral Thesis, Kyonggi University. 

  11. Engel JF, Roger DB, David TK (1978). Consumer Behavior. 3rd ed.. Hinsdale Illinois, The Dryden press. 

  12. Pieniak Z, Aertsens J, Verbeke W (2010). Subjective and objective knowledge as determinants of organic vegetables consumptio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1:581-588. 

  13. Schwarz, N, Clore GL (1983). Mood, misattribution, and judgements of well-being informative and directive functions of affective st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3):513-5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