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냉이 잎으로 제조한 식초의 품질 특성 연구
Quality Chatacteristics of Vinegar using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1 no.6 = no.75, 2015년, pp.255 - 263  

신언환 (울산과학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추냉이 잎을 이용하여 발효식초를 제조 및 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추냉이 잎을 알코올 발효시키면서 발효 과정중 당도와 알코올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환원당은 3일 이후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3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8일 후에 고추냉이 잎 알코올 발효액이 생성되었다. 알코올 발효 후 초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산발효가 진행되면서 pH는 감소하며 총산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산 발효 기간 중 알코올 함량의 변화는 고추냉이 잎의 초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알코올 함량은 감소하여, 최종 21일째에는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지 않았다. 알코올 발효 후 시료의 초기 당도와 초산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 중의 당도 변화는 없었다. 고추냉이 잎 식초의 초산 발효 중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고추냉이 잎 식초는 발효가 진행됨에 맑아짐을 나타내는데, 이는 L값이 증가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쌈용 및 장아찌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고추냉이 잎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농가의 새로운 소득작물로 새로운 소득증대와 소비자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할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fermenting of high quality vinegar using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Alcohol fermentation with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sugar and sugar alcohol content during fermentation, which decreased sharply over 3 days. The alcohol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추냉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식물체 재분화 및 대량증식 (Lee SW et al 1994; Eun JS et al 1998; Lee JH et al 2005; Park YY et al 2007), 기능성 성분 및 활성(Seo JY et al 2010), 고추냉이 가공품 품질 특성(Seo KM․Chung CH2012), 김치 및 김치 양념물의 저장성과 발효에 미치는 영향(Rha YH et al 2004; Rha YH et al 2003)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대부분이 근경에 관한 연구로서 잎, 줄기에 대한 연구로는 더덕 잎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Park EA 2014) 등으로 기초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가 있다. 그러나 잎을 이용한 식초제조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로 농가의 새로운 소득작물로 소득증대는 물론 소비자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본 실험에서는 고추냉이 잎을 이용한 누룩 및 효모 발효 식초 제조 및 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며, 기능성 식초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추냉이 잎을 이용한 누룩 및 효모 발효 식초 제조 및 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며 기능성 식초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추냉이 잎을 8일간 알코올 발효시키면서 발효 과정중 당도와 알코올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환원당은 3일 이후로 급격히 감소하여 8일 이후에는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산균의 대표적인 종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초산균은 Acetobacter 속과 Gluconobacter 속 두 종류로 분류되어 왔으나, 새로운 아속인 Gluconacetobacter 속이 밝혀졌다 (Yamada Y․Kondo K1984). 지금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종들로는 Acetobacter aceti, A. pasteurianus, A. liquefaciens, A. xylinum, A. hansenii와 A. methanolicus 등이 있다(Entani E et al 1985; Cha YJ et al 1994).
식초란? 식초는 초산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량의 유기산류, 유리당류, 아미노산류 및 에스테르류 등을 함유한 발효식품(Kim MJ et al 2013)으로 음식을 조리할 때 신맛을 내게 하는 조미료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 짠맛, 단맛 등의 음식 맛을 부드럽게 하고 특유의 향미를 부여한다. 또한, 생체 내에서 호기 적으로 쉽게 분해될 수 있고, 생리적 상태에 따라서 필요한 물질로 쉽게 전환될 수 있으며, 필요한 미량금속이 염으로 흡수될 수 있어 최근에는 영양학적으로 다량섭취가 권장되고 있다.
고추냉이의 원산지는? 고추냉이(Wasabia japonica Matsum)는 일본이 원산지이며, 십자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Lee WC 1996). 국내에서는 와사비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근경을 이용하여 신선 어류 등에서 풍미를 살리는 고급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n, YG, Oh MH, Lee BY (2012). Vinegar produc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and pearl shell. Korean J Food & Nutr 25(1):90-98. 

  2. Ann YG, Kim SK, Shin CS (2001). Studies on wax gourd ginseng vinegar. Korean J Food & Nutr 14(1):52-58. 

  3. A.O.A.C.(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8th ed. Metho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urg, MD, USA. 

  4. Baek CH, Jeong DH, Baek SY, Choi JH, Park HY,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Kwon JH,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arm-made brown rice vinegar via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20 (4):564-572. 

  5. Cho KM, Shin JH, Seo WT. 2013. Production of Korean domestic wheat (Keumkangmil) vinegar with Acetobacter pasteurianus A8. Korean J Food Sci Technol 45(2):252-256. 

  6. Entani E, Ohmori S, Masai H, Suzuki KI (1985). Acetobacter polyoxogenes sp. nov., a new species of an acetic acid bacterium useful for producing vinegar with high acidity. J Gen Appl Microbiol 31(5):475-490. 

  7. Eun JS, Ko JA, Kim YS, Kim MJ (1998). Mass propagation of Wasabia japonica by apical meristem culture. J Kor Soc Hort Sci 39(3): 278-282. 

  8. Hong SM, Moon HS, Lee JH, Lee HI, Jeong JH, Lee MK, Seo KI (2012). Development of functional vinegar by using cucumb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7):927-935. 

  9. Hong SM, Kang MJ, Lee JH, Jeong JH, Kwon SH, Seo KI (2012).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Food Preserv 19(4):594-603. 

  10. Jeong YJ, Lee MH, Seo KI, Kim JN, Lee YS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grap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traditional grape vine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4):462-468. 

  11. Jeong YJ, Seo JH, Park NY, Shin SR, Kim KS (1999).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persimmon vinegars by two stages fermentation (I). Korean J Food Preserv 6(2):228-232. 

  12. Jeong YJ, Seo KI, Kim KS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6(3):355-363. 

  13. Kim DH (1999).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53-60. 

  14. Kim DH, Lee JS (2000). Vinegar production from subtropical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1):68-75. 

  15. Kim MJ, Choi JH, Kwon SH, Kim HD, Bang MH, Yang S (2013).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vinegar using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amage in rat glioma C6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3):350-355. 

  16. Kim HJ, Park SH, Park CH (1985).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7(5):350-354. 

  17. Ko YJ, Jeong DY, Lee JO, Park MH, Kim EJ, Kim JW, Kim YS, Ryu CH (2007).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unus mume vinegar and its quality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3):361-365. 

  18.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1):18-24. 

  19. Lee GD, Kim SK, Lee JM (2003).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for preparation of strawberry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812-817. 

  20. Lee GD, Kwon SH, Lee MH, Kim SK, Kwon JH (2002). Monitoring on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properties of muskme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30-36. 

  21. Lee JC, Han WC, Lee JH, Jang KH (2012). Quality evaluation of vinegar manufactured using rice and Rosa rugosa Thunb. Korean J Food Sci Technol 44(2):202-206. 

  22. Lee JH, Lee KS, Choi JY and Lee YB (2005). Effects of sucrose, mineral salt and aeration volume on mineral composition of wasabi plantlet in bioreactor culture. Kor J Hort Sci Technol 23:45. 

  23. Lee SW, Lee BH, Lee JI and Kim YH (1994). Multiplication by in vitro culture of axillary bud in Wasabia japonica Matsum. RDA J Agri Sci 36(1):186-190. 

  24. Lee WC (1996). An Color Illustrated Guide to Korean Criteria Flora. Academy Books. Co. Seoul. Korea. p. 142. 

  25. Na HS, Choi GC, Yang SI, Lee JH, Cho JY, Ma SJ, Kim JY (2013).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fermented vinegars made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Preserv 20(4):482-487. 

  26. Park EA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20(4):183-192. 

  27. Park HJ, Jeong SH, Yoon HH, Jung JH, Song JY (2014). Optimiza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aromia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 Sci 30(6): 792-799. 

  28. Park KI, Yoon MJ, Kwon SW, Choi SY, Lee KS (1996). Effects of colchicine and EMS on induction of variants in Wasabia japonica Matsu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4(1):12-18. 

  29. Park YY, Cho MS, Chung JB (2007). Effect of salt strength, sucrose concentration and $NH_4/NO_3$ ratio of medium on the shoot growth of Wasabia japonica in vitro culture. J Plant Biotechnol 34(3):263-269. 

  30. Rha YA, Park JN, Na YS (2004). The effects of pine pollene and horseradish on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Culinary Research 10(4): 178-189. 

  31. Rha YA, Park JN (2003). Effect of dried powders of pine needle, pine pollen, green tea and horseradish on preservation of Kimch-yangnyum. Korean J Culinary Research 9(4):179-190. 

  32. Seo JH, Lee GD, Jeong YJ (2001). Optimization of the vinegar fermentation using concentrated apple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3):460-465. 

  33. Seo JY, Kim KD, Shin IS, Choi KD and Lee SM (2009). Effects of supplemental dietary wasabi extract, chitosan and Pophyra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Kor J Fish Aquat Sci 42 (3):257-261. 

  34. Seo KM, Chung CH (201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 soy sauce seasoned chicken meat with the blended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juice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5):579-588. 

  35. Seo HB, Song YJ, Kang JY, Kwon DK, Kim PG, Ryu SP (2011). The study of persimmon vinegar as a functional drink on reduce blood lipids and enhance exercise performance. J Korean For Soc 100(2):232-239. 

  36. Shin JS, Lee OS, Jeong YJ (2002).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onion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079-1084. 

  37. Vogel RA, Correti MC, Plotnick GD (2000). The postprandial effect of components of the Mediterranean diet on endothelial function. J Am Coll Cardiol 36(5):1455-1460. 

  38. Woo SM, Kim OM, Choi IW, Kim YS, Choi HD, Jeong YJ (2007). Condi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effect of oligosaccharide addition on kiwi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4(1):100-104. 

  39. Woo KS,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Oh BG, Nam MH, Jeong JH, Jeong HS, Seo MC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negars fermented from cereal crops with Incalgyu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8):1171-1178. 

  40. Yae MJ, Lee GH, Nam KH, Jang SY, Woo SM, Jeong YJ (2007). Establishment of quality control standardization for pomegranate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1):1425-1430. 

  41. Yamada Y, Kondo K (1984). Gluconacetobacter, a new subgenus comprising the acetate-oxidizing acetic acid bacteria with ubiquin one-10 in the genus Acetobacter. J Gen Appl Microbiol 30(4):297-303. 

  42. Yoon HN (1998). Simultaneous gaschromatographic analysis of ethanol and acetic acid i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 1247-12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