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귀농·귀촌인(가구)의 정착 및 적응 실태와 정책적 함의 - 경상북도를 사례로 -
Settlement and Adaptation Status of Urban to Rural Migrants and Policy Implications : the Case of Gyeongbuk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1 no.2, 2015년, pp.207 - 225  

이철우 (경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북도를 사례로 귀농 귀촌의 유형별 정착 및 적응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북도 귀농 귀촌인(가구)의 속성은 시 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착 및 적응 실태는 그 유형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U턴은 영농과 농촌공동체생활의 경험을 가진 이촌향도 1세대가 주류로, 상대적으로 경종에 종사하는 비중이 크다. J턴과 I턴은 귀농 초기 영농기술과 농촌생활에 대한 경험이 없고 전원생활의 향유가 주된 동기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의 비율이 높다. U턴은 상대적으로 타 유형에 비해 적응과정에 있어서의 만족도가 낮고 그 과정의 문제점은 주로 가족 및 공동체 자산을 통해서 해결하고 있다. I턴과 J턴은 정착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준비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정책적 함의로는 일반적이고 포괄적 지원정책의 탈피, 귀농 귀촌의 지역 및 유형별 속성에 '뿌리내려진 정책(embedded policies)'으로의 전환, 귀농 귀촌정책 거버넌스 체제의 개선, 이주 전 준비과정에 대한 지원 및 유형별 맞춤형 지원의 강화 그리고 귀농 귀촌가구와 기존 주민의 정주기반의 통합적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settlement and adaptation status involved in differing urban-to-rural migration types in Gyeongbuk Province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The attributes of urban-to-rural migrants in Gyeongbuk Province differ spatio-temporally, and their st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기준 귀농・귀촌가구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인, 상주시와 영주시로의 인구 유입은 어디에서 오는가? 3%)의 순이다. 이 중에서 상주시와 영주시의 경우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뛰어나 수도권으로부터 인구유입이 많으며4), 봉화군은 타 지역에 비해 토지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농지 및 주택구입 등 귀농 초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영남일보, 2014년 7 월 16일). 그리고 이들 지역은 전국적인 지명도를 가진 특산물의 종류가 다양한 점도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5).
귀농・귀촌을 확대하기 위한 지원정책에 대한 반응은? 이와 같은 농촌사회에로 인구이동의 사회적・경제적인 의미에 주목하면서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도 경쟁적으로 자기 지역으로의 귀농・귀촌을 확대하기 위한 지원정책을 비롯한 각종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2). 이러한 지원정책은 귀농인들의 정착에 있어서의 긍정적 평가와 동시에 귀농・귀촌인의 특성과 정책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점, 정책 실행에 있어서는 귀농관련 전문가 부족과 주체들 간 거버넌스 형성의 미흡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김정섭, 2009). 이를 반영하듯 절대 다수의 귀농・귀촌인들은 나름대로 정착에 성공하고 있지만 적응하지 못 하고 역귀농하는 사람들 역시 상당수이다(한재형, 2013, 171).
2014년 기준, 우리나라 전국 귀농・귀촌가구 수는? 더욱이 인간의 본원적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체를 지향하려는 경향이 강화되는 동시에 농업도 종래 저부가가치산업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지식기반산업으로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기회의 장이 되면서 목가적인 생활환경의 농촌지역사회는 도시인들의 안식처가 되고 있다(한재형, 2013). 실제로 2014년 현재 우리나라 전국 귀농・귀촌가구는 약 16만 세대에 달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4년간의 귀농・귀촌가구(114,521세대)는 전체의 75% 정도를 차지 할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여 향후 농촌 및 농업 인구의 확보에 더욱더 기여할 전망이다(이철우・전지혜,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