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MRI sequence에 따른 GBCA 몰농도별 반응에 대한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GBCA Reaction by Mol Concentration Change on MRI Sequen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2 no.2, 2015년, pp.182 - 192  

정현근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의료영상공학과) ,  정현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김호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GBCA(Gadolinium Based Contrast Agent)를 이용한 MRI 검사 시 다양한 MR 시퀀스에 따른 GBCA 몰농도별 조영증강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체 제작한 MR 팬텀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고자 하였다. MR 팬텀을 제작하기 위해 28개의 용기에 500 mmol Gadoteridol을 saline과 혼합하여 각각 500 부터 0 mmol 까지 몰농도를 서로 다르게 하였다. 제작된 MR phantom을 1.5T MRI 장비에서 물리학적 기전이 서로 다른 T1 SE, T2 FLAIR, T1 FLAIR, 3D FLASH, T1 3D SPACE, 3D SPCIR 시퀀스로 스캔하여 신호강도 변화를 측정 한 후 비교 분석 하였다. T1 Spin echo는 Total SI(Signal Intensity)가 15608.7, Max peak는 1 mmol에서 1352.6, T2 FLAIR는 Total SI가 9106.4, Max peak는 0.4 mmol에서 1721.6, T1 FLAIR에서는 Total SI가 20972.5, Max peak는 1 mmol에서 1604.9, 3D FLASH는 Total SI가 20924.0, Max peak는 40 mmol에서 1425.7, 3D SPACE 1mm는 Total SI가 6399.0, Max peak는 3 mmol에서 528.3, 3D SPACE 5mm는 Total SI가 6276.5, Max peak는 2 mmol에서 514.6, 3D SPCIR의 경우는 Total SI가 1778.8, Max peak는 0.4 mmol에서 383.8의 신호강도를 보였다. T1 SE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퀀스에서 몰농도가 높았을 때 보다는 대체적으로 일정이상 희석이 이루어진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또한 서로 다른 물리학적 기전의 다양한 MR시퀀스에서 GBCA의 조영증강 패턴 역시 모두 달랐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시퀀스에 따른 GBCA 농도별 반응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통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조영증강검사에 있어서 효율적인 MR검사 프로토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how to change the reaction rate as mol concentration when we scan enhanced MRI with GBCA(Gadolinium Based Contrast Agent), Also show the changing patterns depending on diverse MRI sequences which are made by different physical principle. For this study, we made MRI phan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과연 이런 시퀀스들이 조영증강검사에 있어서도 conventional SE 또는 T2 FLAIR와 동일한 조영증강효과를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정량화된 수치로는 밝혀진 바가 없으며, 이에 가돌리늄조영제가 MR장비에서 올바르게 사용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기존에 선행되었던 연구들은 아직까지 이런 부분에 대한 자료가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하여 자체 제작한 MR 팬텀 테스트로서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임상에서 사용 중인 MR 시퀀스의 물리학적 기전은 모두 다르고, 이에 따른 GBCA반응도 서로 다를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돌리늄 조영제의 몰 농도를 달리하여 주로 MR조영 검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다양한 시퀀스에서 조영증강 반응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 Dimension sequence의 장점은 무엇인가? 3 Dimension sequence는 3D voxel 원리를 이용하여 영상을 얻기 때문에 높은 SNR을 보여주는데, 이는 기존의 Spin Echo, FLAIR에서만 추출했던 MR에서의 T1 effect 또는 water sat effect를 지닌 영상을 1mm 이하의 thin section과 multi slice로 짧은 시간 안에 검사가 가능한 큰 장점이 있다. Thin section의 slice를 이용해 한 번의 검사를 통해 SAG, COR, TRS등의 다방향 post process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섬세한 해부학적 구조를 보기 위해 조영증강이후 T1 3D SPACE, 3D SPCIR등을 판독에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돌리늄이란? 원자번호 64번의 금속성 물질인 가돌리늄은 자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자성 물질로 독성이 매우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강한 독성 때문에 임상에서는 가돌리늄 원자에 리간드를 결합시킨 킬레이트 구조로 안정화하여 환자에게 투약 된다.
가돌리늄 조영제가 MR 검사의 진단학적 목적으로 널리 사용된 이유는? 원자번호 64번의 금속성 물질인 가돌리늄은 자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자성 물질로 독성이 매우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강한 독성 때문에 임상에서는 가돌리늄 원자에 리간드를 결합시킨 킬레이트 구조로 안정화하여 환자에게 투약 된다. 이렇게 안정화하여 투약된 GBCA는 불활성 상태로 자장 내 상자성 효과만 얻은 후 인체 내 신장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체내에 투약된 GBCA는 인체 내 H2O분자 중 H1 spin과 결합 하여 R1 relaxation time을 줄여주게 되는데, 이는 가돌리늄과 결합하지 않은 H1 spin에 비해 MR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여주게 된다[1~3]. 이러한 이유로 가돌리늄 조영제는 MR 검사의 진단학적 목적으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Y. Kanawaku, S. Someya, T. Kobayashi, K. Hirakawa, S. Shiotani, T. Fukunaga, Y. Ohno, S. Kawakami, and J. Kanetake, "High-resolution 3D-MRI of postmortem brain specimens fixed by formalin and gadoteridol", egMed(Tokyo) vol.16, no.4, pp.218-21, Jul, 2014. 

  2. E. Hagberg, and K. Scheffler, "Effect of r(1) and r(2) relaxivity of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s on the T(1)-weighted MR signal at increasing magnetic field strengths", ContrastMediaMolImaging vol.8, no.6, pp. 456-65, Nov-Dec, 2013. 

  3. Z. Seidl, J. Vymazal, M. Mechl, M. Goyal, M. Herman, C. Colosimo, M. Pasowicz, R. Yeung, B. Paraniak-Gieszczyk, B. Yemen, N. Anzalone, A. Citterio, G. Schneider, S. Bastianello, and J. Ruscalleda, "Does higher gadolinium concentration play a role in the morphologic assessment of brain tumors? Results of a multicenter intraindividual crossover comparison of gadobutrol versus gadobenate dimeglumine (the MERIT Study)", AJNRAmJNeuroradiol, vol.33, no.6, pp.1050-8,Jun, 2012. 

  4. H. S. Thomsen, S. K. Morcos, T. Almen, M. F. Bellin, M. Bertolotto, G. Bongartz, O. Clement, P. Leander, G. Heinz-Peer, P. Reimer, F. Stacul, A. van der Molen, J. A. Webb, and E. C. M. S. Committee, "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and gadolinium-based contrast media: updated ESUR Contrast Medium Safety Committee guidelines", EurRadiol, vol.23, no.2, pp.307-18, Feb, 2013. 

  5. S. K. Morcos, "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extracellular gadolinium based contrast agents: is the stability of the contrast agent molecule an important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this condition?", BrJRadiol,vol.80,no.950,pp.73-6, Feb, 2007. 

  6. F. G. Shellock, and A. Spinazzi, "MRI safety update 2008: part 1, MRI contrast agents and 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AJRAm JRoentgenol, vol.191, no.4, pp.1129-39, Oct, 2008. 

  7. A. Spinazzi, M. A. Kirchin, and G. Pirovano, "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the need for accurate case reporting", JMagnResonImaging, vol.29, no.5, pp.1240; authorreply 1241, May, 2009. 

  8. Min Hee Hong, M.D.1, Hyang Mo Koo, M.D.1, Junjeong Choi, M.D.2, Jung Ryun Ahn, M.D.1, Hong Jae Chon, M.D.1, Chan Kim, M.D.1, and Seung Tae Lee, M.D., Ph.D.1, "A case of 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after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 injection" Departments of 1Internal Medicine and 2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vol.78, no.5, 2010 

  9. Tae Hyoung Koo, M.D.1, Dong Hyun Lee, M.D.1, Hee Kyung Baek, M.D.1, Do Kyong Kim, M.D.1, Bo Kyung Kim, M.D.1, Suk Hee Hong, M.D.2, and Won Suk An, M.D.1, "A case of 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following gadolinium exposure in a peritoneal dialysis patient", Departments of 1Internal Medicine and 2Patholog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10. T. Kubota, K. Yamada, O. Kizu, T. Hirota, H. Ito, K. Ishihara, and T. Nishimura, "Relationship between contrast enhancement on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MR sequences and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MR images: visual evaluation of brain tumors", JMagnResonImaging, vol.21, no.6, pp.694-700, Jun, 2005. 

  11. C. Zhu, U. Sadat, A. J. Patterson, Z. Teng, J. H. Gillard, and M. J. Graves, "3D high-resolution contrast enhanced MRI of carotid atheroma--a technical update", MagnResonImaging, vol.32, no.5, pp.594-7, Jun, 2014. 

  12. S. J. Ahn, M. R. Yoo, S. H. Suh, S. K. Lee, K. S. Lee, E. J. Son, and T. S. Chung, "Gadolinium enhanced 3D proton density driven equilibrium MR imaging in the evaluation of cisternal tumor and associated structures: comparison with balanced fast-field-echo sequence", PLoSOne, vol.9, no.7, pp. e103215, 2014. 

  13. R. Jablonowski, D. Nordlund, M. Kanski, J. Ubachs, S. Koul, E. Heiberg, H. Engblom, D. Erlinge, H. Arheden, and M. Carlsson, "Infarct quantification using 3D inversion recovery and 2D phase sensitive inversion recovery; validation in patients and ex vivo", BMCCardiovascDisord, vol.13, pp.110, 2013. 

  14. S. Kakite, S. Fujii, M. Kurosaki, Y. Kanasaki, E. Matsusue, T. Kaminou, and T. Ogawa, "Three-dimensional gradient echo versus spin echo sequence in contrast-enhanced imaging of the pituitary gland at 3T", EurJRadiol, vol.79, no.1, pp.108-12, Jul, 2011. 

  15. H. Fukuoka, T. Hirai, T. Okuda, Y. Shigematsu, A. Sasao, E. Kimura, T. Hirano, S. Yano, R. Murakami, and Y. Yamashita, "Comparison of the added value of contrast-enhanced 3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and magnetization-prepared rapid acquisition of gradient echo sequences in relation to conventional postcontrast T1-weighted images for the evaluation of leptomeningeal diseases at 3T", AJNRAmJNeuroradiol, vol.31, no.5, pp.868-73, May, 2010. 

  16. S. G. Wetzel, G. Johnson, A. G. Tan, S. Cha, E. A. Knopp, V. S. Lee, D. Thomasson, and N. M. Rofsky, "Three-dimensional, T1-weighted gradient-echo imaging of the brain with a volumetric interpolated examination", AJNRAm JNeuroradiol, vol.23, no.6, pp.995-1002, Jun-Jul, 2002. 

  17. M. J. Sharafuddin, A. H. Stolpen, S. Sun, C. R. Leusner, A. A. Safvi, J. J. Hoballah, W. J. Sharp, and J. D. Corson, "High-resolution multiphase contrast-enhanced three-dimensional MR angiography compared with two-dimensional time-of-flight MR angiography for the identification of pedal vessels," JVascInterv Radiol, vol.13, no.7, pp.695-702, Jul, 2002. 

  18. B. K. Kang, M.-O. Kim, T. Hong, and D.-H. Kim, "Facial Muscles 3D Modeling using Ultra-short Echo-time (UT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pdf," IEIE, pp.4, July, 2013. 

  19. M. Woo Kyung Moon, "MR Contrast Agents and Molecular maging", Departmentof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