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월악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8 no.1, 2015년, pp.35 - 63  

장창석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양선규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연구단) ,  장현도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이로영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품종심사과) ,  박민수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약연구과) ,  김기홍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오병운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circ}46^{\prime}{\sim}36^{\circ}59^{\prime}$, 동경 $128^{\circ}02^{\prime}{\sim}128^{\circ}19^{\prime}$)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41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6과 429속 717종 4아종 78변종 16품종의 총 81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80분류군이었으며, 조사지역을 9개 대표 채집지로 구분하여 채집지별 주요 식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월악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2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15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56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이 한반도 분포의 남한계인 식물로 청나래고사리, 갈기조팝나무, 개미취 등이, 중심지인 식물로 자주족도리풀, 가는잎향유, 선부추 등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floristic,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05 to October 2012 the Woraksan National Park (N $36^{\circ}46^{\prime}{\sim}36^{\circ}59^{\prime}$, E $128^{\circ}02^{\prime}{\sim}128^{\circ}19^{\prime}$) to characterize the flora of the region. Especially, we divid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월악산 국립공원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증거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증거표본에 기초하여 작성된 관속식물상을 바탕으로 조사지역의 정확한 자생식물상을 확인함은 물론 식물지리학적 특이성과 중요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특산식물, 희귀식물, 멸종위기식물 등 주요 분류군의 분포를 파악하여 월악산 국립공원의 종 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하였다.
  • 최초 본 조사의 목적은 월악산 국립공원 전체의 식물상을 조사·기록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별 식물상의 명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향후 조사일수, 조사경로, 조사인원 등을 균등하게 편성하여 체계적인 조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악산 국립공원이란? 월악산 국립공원은 소백산 및 속리산 국립공원과 더불어 충북지역을 대표하는 국립공원 중 하나로써 백두대간이 소백산을 지나 속리산으로 연결되는 중간에 위치하며, 1984년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제 17호로 지정되어 보호·관리되고 있다.
월악산 국립공원의 식물상에 관한 선행연구를 모두 통합한 결과 존재하는 식물들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이들 문헌을 모두 통합하면 월악산 국립공원에는 약 1,200여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나, 목록상에는 살구, 대추, 콩, 동부, 무궁화 등 식재 및 재배식물과 곰솔, 모데미풀, 눈괴불주머니, 황산차, 용머리 등 분포여부가 불확실한 분류군과 댓잎현호색, 녹다래나무, 가는참나물 등 분류학적 처리가 요구되는 식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Choi and Chung (1997), Oh et al.
월악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은 어떤것이 있는가?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80분류군이었으며, 조사지역을 9개 대표 채집지로 구분하여 채집지별 주요 식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월악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2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15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56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이 한반도 분포의 남한계인 식물로 청나래고사리, 갈기조팝나무, 개미취 등이, 중심지인 식물로 자주족도리풀, 가는잎향유, 선부추 등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aek, S.E. 1963. The report of plant research in Woraksan. Journal of Chungbuk Forest Socie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14-22 (in Korean). 

  2. Boyle, B., N. Hopkins, Z. Lu, J.A. Raygoza Garay, D. Mozzherin, T. Rees, N. Matasci, M.L. Narro, W.H. Piel, S.J. Mckay, S. Lowry, C. Freeland, R.K. Peet and B.J. Enquist. 2013. The taxonomic name resolution service: an online tool for automated standardization of plant names. BMC Bioinformatics 14:16. 

  3. Chang, C.S., H. Kim and G.S. Chang.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3, Woody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p. 510 (in Korean). 

  4. Cho, H.J., J.H. Lee and K.H. Bae. 2006.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major forest stands in Mt. Worak, Korea: On the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s.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531-537 (in Korean). 

  5. Choi, B.H. and K.H. Chung. 1997. Flora of Woraksan (Jecheon) and Its Adjacent Regions. Report of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71 (in Korean). 

  6. Choi, H.J. and B.U. Oh. 2003. A new species of Allium sect. Sacculiferum (Alliaceae) form Korea: A. linearifolium H.J. Choi et B.U. Oh. Korean J. Pl. Taxon 33:71-78. 

  7. Choi, H.J. and B.U. Oh. 2009. Floristic study of Songni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39:277-291 (in Korean). 

  8. Jang, C.S., S.G. Yang, M.S. Park, K.H. Kim, S.W. Seo and B.U. Oh. 2011. Floristic study of Sobae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398-414 (in Korean). 

  9. Jeon, Y.C. and S.P. Hong. 2006. A systematic study of Elsholtzia Willd. (Lami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6:309-333 (in Korean). 

  10. Kang, S.J. 1996. Plant ecosystem. In Lee, K.S. (ed.), Report of Natural Resources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Korea. pp. 35-101 (in Korean). 

  11. Kim, C.H. and M.K. Han. 1997. Flora of Hwangjangsan (Mungyeong, Gyeongbuk). Report of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26 (in Korean). 

  12. Kim, C.H. and M.K. Han. 1999. Flora of Geumsusan (Jecheon.Danyang). Report of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30-54 (in Korean).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81-20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678. 

  14.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34 (in Korean). 

  1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6. Report of Natural Resources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ece, Namwon, Korea. p. 581 (in Korean). 

  16. Lee, B.C.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17. Lee, C.S., H.E. Kim, H.S. Park, S.J. Kang and H.J. Cho. 1993. Structure and maintenance mechanism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Korean J. Ecol. 16:377-395 (in Korean). 

  18. Lee, H.S. 1991. Continous distribution of the forest on the elevational gradient of Mt. Wolak. The Journal of Bulletin of Institute of Basic Science Contents, Seowon University. 5:55-66 (in Korean). 

  19. Lee, H.S. 1992. Studies on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n Mt. Wolak. The Journal of Bullectin of Institute of Basic Science Contents, Seowon University. 6:27-57 (in Korean). 

  20. Lee, T.B. 1979. Woody flora of Mt. Wolak and Choreong valley. The Repor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5:57-76 (in Korean). 

  2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p. 914, 910 (in Korean). 

  22.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Appendix):1-33 (in Korean). 

  23.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24.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25.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26. Lee, Y.N. 1998. Flora of Korea, 3rd ed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 1246 (Korean). 

  27. Lee, Y.N. and Y.C. Oh. 1979. An investigation of monocotyledons on Mt. Juheul and Wolak. The Repor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5:91-99 (in Korean).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p. 173-220 (in Korean). 

  29. Oh, B.U. 2006. Flora. In Kim, W.S and J.K. Oh (eds.), Report of Natural Resources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Korea. pp. 85-106, 531-559 (in Korean). 

  30. Oh, B.U. 2008.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sarum (Aristolochiaceae). Korean J. Pl. Taxon 38:251-270 (in Korean). 

  31. Oh, B.U., D.G. Jo, B.H. Choi, W.K. Paik and K.O. Yoo. 2010b.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8. Jeju-do Provinc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680 (in Korean). 

  32. Oh, B.U., D.G. Jo, B.Y. Sun, B.H. Choi, J.H. Park, H.T. Im, C.S. Chang, W.K. Paik, G.Y. Chung, K.R. Park, J.H. Kim and C.G. Jang. 2004.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1. South-Coast Provinc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692 (in Korean). 

  33. Oh, B.U., D.G. Jo, J.H. Park, H.T. Im, C.S. Chang, W.K. Paik, G.Y. Chung, J.H. Kim, C.Y. Yoon, Y.D. Kim, K.O. Yoo and C.G. Jang. 2005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2. South Province (Jeolla-do & Jirisa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633 (in Korean). 

  34. Oh, B.U., D.G. Jo, S.C. Ko, B.H. Choi, H.T. Im, W.K. Paik, Y.M. Lee, G.Y. Chung, K.O. Yoo, C.G. Jang and S.H. Kang, 2011.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9. Western & Southern coastal area. Korea Forest Service, Pocheon, Korea. p. 813 (in Korean). 

  35. Oh, B.U., D.G. Jo, S.C. Ko, H.T. Im, G.Y. Chung, C.G. Jang and S.H. Kang, 2010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7. South Province (Gyeongsangnamdo) and Ulleung-do Provinc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776 (in Korean). 

  36.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C.G. Jang and S.H. Kang,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6. Central Province (Gangwon-do). Korea Forest Service, Pocheon, Korea. p. 793 (in Korean). 

  37.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J.H. Kim, C.Y. Yoon, Y.D. Kim, K.O. Yoo and C.G. Jang. 200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3. Central & South Province (Chungcheong-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821 (in Korean). 

  38. Oh, B.U., K.S. Kim, S.C Ko, B.H. Choi,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C.G. Jang, S.H. Kang and C.H. Lee. 2008.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5. Central Province (Gyeonggi-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 761 (in Korean). 

  39. Oh, B.U.,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and C.G. Jang. 2007.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4. Central & South Province (Gyeongsangbuk-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771 (in Korean). 

  40.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5 (in Korean). 

  41. Oh, K.K., S.K. Park, H.Y. Shim and T.H. Kim. 2005b.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119-129 (in Korean). 

  42. Paik, W.K. and C.M. Shin. 2008. Flora of Mt. Hwangjang (Mungyeong, Gyeongsangbuk-do). Kor. J. of Plant Res. 21:310-323 (in Korean). 

  43.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575 (in Korean). 

  44. Shin, K.H., H.J. Kwon and H.K. Song. 2011. Vegetation and soil proprerties of the Young-bong area in Wora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43-55 (in Korean). 

  45. Yang, I.S. 1979. Vegetation of Mt. Wolak and Juheul (-on the herbs plants of Dicotyledones-). The Repor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5:77-9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