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봄 파종에 적합한 유채(Brassica napus L.) 품종 선발을 위한 생육 및 개화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the Spring Sowing for Selection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Varieti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8 no.1, 2015년, pp.111 - 118  

김광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하수옥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이영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장영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최인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초록

유채의 경관효과를 높이기 위해 국내 육성 및 국외 도입 유채 8품종을 봄철에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파종하고 품종, 파종시기 및 재배지역에 따른 생육 및 개화특성을 구명하여 봄 파종에 적합한 유채품종 및 파종시기를 구명한 결과,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묘 출현소요일수는 짧아졌고, 초장 및 착화수는 감소하였으며 분지수는 증가하였다. 무안과 제주 포장 모두에서 파종일이 늦어짐에 따라 개화시는 지연되었고 개화지속일은 감소하였다. 개화소요일수는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단축되었는데, 3월 1일 파종 시 73~94일이 소요되었으며, 3월 31일 파종 시 57~71일로 짧아졌다. 조생종인 '탐미유채'와 '목포 111호'가 만생종인 '탐라유채'와 '내한유채'보다 모든 파종시기에서 10일 정도 빠르게 개화하였다. 개화지속기간도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5~14일 정도 단축되었다. 경관용 유채 봄 파종 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개화특성이 향상되었고, 국내육성 품종으로는 조기개화종인 '탐미유채'와 독일도입종인 '봄유채'가 봄 파종에 적합한 품종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sponse of rapeseed (Brassica napus) to different planting date in the spring and varieties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Eight rapeseed varieties were sowed at 10 day interval from 1st to 31th of March at Muan and Jeju in Korea. Signif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경관을 목적으로 유채 종자를 봄에 파종한 후 생육과 개화특성 조사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계작물인 유채를 봄에 파종한 후 생육 및 개화 특성을 조사하여 5월 중에 개최되는 지역축제기간에 맞춘 개화시기 조절 가능 여부 및 봄 파종 적합 품종을 선발하여 유채의 관광자원화 가능성을 높이고자 국내 육성 및 국외 도입 유채 8품종을 봄철인 3월 중에 파종시기를 다르게 파종하여 파종시기,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생육 및 개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채의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7). 하지만, 최근 에너지 위기와 함께 지구온난화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지방산 중 올레 인산 함유량이 높은 유채유가 바이오디젤 원료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지며(Demirbas 2007; Jang et al., 2010), 겨울철 유휴농지를 이용하여 재배할 수 있는 동계작물로 타 식량작물과 경합을 피할 수 있는 장점과 전초를 청예사료용으로 이용이 가능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07; Trethewey, 2012).
유채는 무엇인가? 유채(Brassica napus L.)는 십자화과 Brassica속에 속하는 작물로 배추(B. campestris var. pekinensis L.), 겨자(B. nigra L.) 및 갓(B. juncea L.)과 함께 채소와 기름생산을 목적으로 BC 2300여 년 전부터 재배되어 재배 역사가 상당히 길다(Prakash, 1980). 우리나라에서의 유채 재배는 1960년대부터 일본에서 도입되어 유채유의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되었으며, 1975년에는 재배면적 26.
유채의 개화시기 조절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4), 경관을 목적으로 유채 종자를 봄에 파종한 후 생육과 개화특성 조사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계작물인 유채를 봄에 파종한 후 생육 및 개화 특성을 조사하여 5월 중에 개최되는 지역축제기간에 맞춘 개화시기 조절 가능 여부 및 봄 파종 적합 품종을 선발하여 유채의 관광자원화 가능성을 높이고자 국내 육성 및 국외 도입 유채 8품종을 봄철인 3월 중에 파종시기를 다르게 파종하여 파종시기,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생육 및 개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damsen, F.J. and T.A. Coffelt. 2005. Planting date effects on flowering, seed yield, and oil content of rape and crambe cultivars.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21:293-307. 

  2. Bala, P., A.K. Azad and M.F. Hossain. 2011. Yield response of mustard to sowing date. Libyan Agriculture Research Center Journal International 2:112-117. 

  3. Benzioni, A., S. Mendlinger and M. Ventura. 1991. Effect of sowing dates, temperatures on germination, flowering, and yield of Cucumis metuliferus. Hortiscience 26:1051-1053. 

  4. Demirbas, A. 2007. Progress and recent trends in biofuels. Progress in Energy Combustion Science 33:1-18. 

  5. Fasi1, V.T., R.J. Martin1, B.M. Smallfield and B.A. McKenzie. 2012. Sowing date effects on timing of growth stages, yield and oil content of potential biodiesel crops. Agronomy New Zealand 42:33-42. 

  6. Gul, H. and R. Ahmad. 2007. Effect of different sowing dadeon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d canola (Brassica napus L.) cultivars under different salinity levels. Pak. J. Bot. 39:1161-1172. 

  7. Iannucci, A,. M.R. Terribile and P. Martiniello. 2008.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flowering time of forage legumes in a Mediterranean environment. Field Crops Research 106:156-162. 

  8. Jang, Y.S., K.S. Kim, Y.H. Lee, H.J. Cho and S.J. Suh. 2010. Review of property and utilization of oil crop for biodiesel. J. Plant Biotechnol. 37:1-22 (in Korean). 

  9. Jung, J.H., S.Y. Yoon and J.H. Hwang. 2007. Economic analysis by types of income of a rape farmer for biodiesel. Korean J. Organic Agri. 15(4):355-376 (in Korean). 

  10. Kang, H.S., S.T. Kim, Y.D. Kim, Y.C. Kim, S.J. Ko, M.H. Ko and Y.K. Kang. 2008. Effects of seeding time and low temperature for control of flowering time in rape. Kor. J. Hort. Sci. Technol. 26:119-119 (in Korean). 

  11. Kim, K.S., Y.B. Kim, Y.S. Jang and J.K. Bang. 2007. Bioenergy crop production and research trends. Korean. J. of Plant Biotechnol. 34:103-109 (in Korean). 

  12. Kwon, B.S., S.G. Kim and G.S. Ahn. 1990. Response of rapeseed varieties to sowing dates. Sunchon National Univ. Bull. 9:33-44 (in Korean). 

  13. Lee, T.S., Y.H. Lee, K.S. Kim, H.K. Lee, Y.S. Jang, I.H. Choi and K.S. Kim. 2014. Changes of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rapeseed cultivars with different sowing date. Korean J. Plant Res. 27:80-88 (in Korean). 

  14. Marshall1, B. and G.R. Squire. 1996. Non-linearity in rate-temperaturerelations of germination in oilseed rape.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47:1369-1375. 

  15. Prakash, S. 1980. Cruciferous oilseeds in india. In Tsunoda, S., K. Hinata and C. Gomez-Campo (eds.), Brassica Crops and Wild Allies: Biology and Breeding, Japan Sci. Soc. Press, Tokyo, Japan. pp. 151-163. 

  16. Rameeh, V. 2012. Correlation analysis in different planting dates of rapeseed varieties. The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s 7:76-84. 

  17. Shirani Rad, A.H. 2012. Evaluation of spring rapeseed cultivars response to spring and autumn planting seasons. Annals of Biological Research 3:2527-2532 

  18. Trethewey, J.A.K. 2012. Crop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forage rape seed yield. Agronomy New Zealand 42:111-117. 

  19. Yousaf, M., A. Ahmad, M. Jahangir and T. Naseeb. 2002. Effect of different sowing dat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canola (sarson) varieties. Asian J. Plant Sciences 1:634-635. 

  20. 농촌진흥청. 2012.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 pp. 407-4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