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채는 겨울철 유휴지와 하천부지 등의 효율적인 이용과 환경보호 측면에서 이모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보리수매제도 폐지로 인한 농가 소득 보전을 위한 대체 가능성이 크다. 이에 국산장려 품종인 선망, 탐미유채, 탐라유채, 내한유채, 한라유채, 영산유채를 이용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각 품종의 수량과 개화지속기간을 구명하여 바이오에너지 원료확보 및 경관용으로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채 품종별 파종시기 및 주요 수량구성요소, 종실수량의 분산분석 결과 파종시기와 품종의 효과는 천립중을 제외한 모든 조사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파종시기와 품종의 상호작용은 입모주수, 경장, 종실중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협수와 천립중과는 p < 0.05 수준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수량구성 요소인 경장과 협수, 결실립수 등은 수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기 때문에 $m^2$당 입모수가 많고 이들 수량구성요소의 발현이 높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험의 종실중은 역시 어느 품종을 막론하고 파종기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협수가 많아져 source의 경합이 컸었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종실중은 천립중 보다는 결실립수를 결정하는 주당 협수에 의하여 가장 크게 좌우된다고 생각된다. Schukking (1984)은 유채는 재식밀도가 좁아짐에 따라 유채의 개화기까지의 일수가 늦어지고, 총 분지수, 엽수 등의 형질은 왜소해진다고 하여 파종기 변화에 따른 재식밀도에 대한 추가적인 구명도 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 적절한 파종시기의 선택은 입모수가 많은 밀식상태이고 영양생장기간이 길어지므로 자연적으로 수량구성요소의 생육상황이 좋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무안지역에 있어서 유채 종자 채종을 위한 파종 적기는 10월 5일 이전으로 판단되는데 파종기가 늦어질 경우 영양생장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생육일수의 단축에 의하여 유묘의 건조, 하고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수량구성요소가 감소되기 때문에 재식밀도의 변화를 준다면 수량감소 요인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유채품종 별 개화지속일수는 9월 25일 파종의 경우 선망 > 탐미유채 > 영산유채 > 내한유채 > 한라유채 > 탐라유채 순 이였고, 파종일이 빠를수록 품종 간 개화기 차이가 뚜렷함을 확인하였으며 파종일이 늦을 경우 품종 간 개화기 차이는 거의 없었다. 경관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선망, 탐미, 영산 유채 등을 9월 25일 조기파종하고 탐라, 내한유채를 파종기를 달리하여 파종하였을 경우 최대 4월 3일부터 5월 14일까지 유채꽃을 관상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파종일 차이에 따라 각 품종별로 약 1~14일 정도 개화지속일수차이를 보였으며, 개화종기에 비해 약 2~9일 정도 개화기를 연장 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 중생종과 만생종인 한라, 내한, 탐라유채에 보다는 조생종의 특성을 보이는 선망, 탐미, 영산유채 품종을 축제기간에 맞춰 파종시기를 조절한다면 축제기간에 꽃이 피지 않아 발생하는 고민을 일정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wing date on growth characteristics, flower duration of a total of 6 domestic rapeseed cultivars, "Sunmang", "Tammiyuchae", "Tamlayuchae", "Naehanyuchae", "Yongsanyuchae" and "Hallayuchae" with different sowing dates (25 Sept., 5 Oct., 15 O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으로 유채의 개화성기는 4월 10일에서 4월 30일 전, 후인데 보통 5월초에 개최되는 지역축제기간과 차이가 있으므로 지역축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채 개화기간의 연장이나 개화지연 기술개발을 통한 유채의 개화시기 조절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시험은 전라남도 무안지역에서 유채의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생육특성이나 수량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재배포장 이용효율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유채 품종별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개화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채의 특징은? 유채는 겨울철 유휴지와 하천부지 등의 효율적인 이용과 환경보호 측면에서 이모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보리수매제도 폐지로 인한 농가 소득 보전을 위한 대체 가능성이 크다. 이에 국산장려 품종인 선망, 탐미유채, 탐라유채, 내한유채, 한라유채, 영산유채를 이용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각 품종의 수량과 개화지속기간을 구명하여 바이오에너지 원료확보 및 경관용으로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름생산 외 유채의 새로운 가치창출은 어떤 것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재배내력은 1643년에 발간된 산림경제에 ‘운대(蕓薹)’로 기록되어 있으며 기름생산을 위해서 1960년대부터 전남·북, 경남 및 제주도 지역에 일본 도입종이 보급되면서 시작되었다. 월동작물인 유채는 2012년 수매제도가 폐지되는 보리 재배농가의 소득을 보전해줄 대체 작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관 농업용 등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한데(Jung et al., 2007), 이를 위해서는 겨울철 유휴 경작지의 이모작재배를 통한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갖추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유채박과 같은 부산물 소득과 유채꽃을 통한 경관작물화로 유채가 농가소득 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채의 파종시기가 늦어질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편으로 적절한 파종시기의 선택은 입모수가 많은 밀식상태이고 영양생장기간이 길어지므로 자연적으로 수량구성요소의 생육상황이 좋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무안지역에 있어서 유채 종자 채종을 위한 파종 적기는 10월 5일 이전으로 판단되는데 파종기가 늦어질 경우 영양생장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생육일수의 단축에 의하여 유묘의 건조, 하고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수량구성요소가 감소되기 때문에 재식밀도의 변화를 준다면 수량감소 요인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유채품종 별 개화지속일수는 9월 25일 파종의 경우 선망 > 탐미유채 > 영산유채 > 내한유채 > 한라유채 > 탐라유채 순 이였고, 파종일이 빠를수록 품종 간 개화기 차이가 뚜렷함을 확인하였으며 파종일이 늦을 경우 품종 간 개화기 차이는 거의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k, I.Y., D.C. Shin, C.K. Park, J.M. Lee and H.S. Suh. 1995. Effect of planting time on seed production of vegetable soybean at different locations. Korean J. Crop Sci. 40(1):44- 51 (in Korean). 

  2. Bang, J.K., J.I. Lee and E.D. Han. 1990. Effects of leaf harvest number and time on agronomic characters and grain yield in perilla. Korean J. Crop Sci. 35(6):539-542 (in Korean). 

  3. Choi, I.S., S.Y. Son and O.H. Kwon. 1980a. Effect of seedling age and planting density on the yield and its component of perilla (Ocymcides Var. typica MAKINO) intercropped with tobacco or aftercropped. Korean J. Crop Sci. 25(2): 68-75 (in Korean). 

  4. Choi, I.S., S.Y. Son and O.H. Kwon.. 1980b.Effect of seedling age and planting density on the yield and its component of perilla (Ocymcides Var. typica MAKINO) intercropped with tobacco or aftercropped. Korean J. Crop Sci. 25(2): 68-75 (in Korean). 

  5. Jung, J.H., S.Y. Yoon and J.H. Hwang. 2007. Economic analysis by types of income of a rape farmer for biodiesel. Korean J. Organic Agri. 15(4):355-376 (in Korean). 

  6. Kang, H.S., S.T. Kim, Y.D. Kim, Y.C .Kim, S.J. Ko, M.H. Ko and Y.K. Kang. 2008. Effects of seeding time and low temperature for control of flowering time in rape. Kor. J. Hort. Sci. Technol. 26(suppl.):4-6 (in Korean). 

  7. Kim, S.T., Y.K. Kang. M.R. Ko and J.S. Moon. 2001. Effect of planting date on growth and grain yield of vegetable perilla. Korean J. Crop Sci. 46(6):434-438 (in Korean). 

  8. Kwon, S.H., J.H. Oh, J.R. Kim, H.S. Song and B.W. Kim. 1975. Diversity of protein and oil contents of the Korean native soybean seeds II. Koran J. Breed Sci. 7(1):40-44 (in Korean). 

  9. Kwon, B.S., S.G. Kim and G.S. Ahn. 1990 Response of rapeseed varieties to sowing dates. Sunchon National Univ. Bull. 9:33-44 (in Korean). 

  10. Park, C.B., C.W. Kang, D.H. Kim and B.H. Lee. 1999a. Investigation of the marginal direct planting time for grain and leaf perilla variety. Korean J. Crop Sci. 44(suppl.1): 204-205 (in Korean). 

  11. Park, C.B., C.W. Kang, D.H. Kim and B.H. Lee.. 1999b.Investigation of the marginal direct planting time for grain and leaf perilla variety. Korean J. Crop Sci. 44(suppl.1): 204-205 (in Korean). 

  12. Park, J.S. 2005. Respons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sowing times with perilla (Perilla ocimoides L.). Korean J. Plant Res. 18(3):433-440 (in Korean). 

  13. Prakash, S. 1980. Cruciferous oilseeds in india. In Brassica Crops and Wild Allies: Biology and Breeding, Tsunoda, S., K. Hinata and C. Gomez-Campo (eds.), Japan Sci. Soc. Press, Tokyo, Japan. pp. 151-163. 

  14. Torrie, J.H. and G.M. Briggs. 1955. Effect of planting date on yield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soybeans. Agron. J. 47:210-212. 

  15. Schukking, S. 1984. 서유럽에 있어서 사초용유채의 생산관리이 용의 경험담. 사초용유채에 관한 세미나 자료집. NIVAS 화란 종자자문위원회 발행. pp. 28-37. 

  16. 농촌진흥청.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 pp. 407-4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