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와 채소섭취 행동변화단계별 식이효능감, 비만스트레스, 비만관련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Self-efficacy, Obesity Stress, and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BMI and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1, 2015년, pp.65 - 74  

김명숙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to compare dietary self-efficacy, obesity stress, and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OQOL) according to BMI and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326 nursing students agre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섬유소 식이, 고지방 식이 등 부적절한 영양문제를 가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와 채소섭취 행동변화단계별로 식이효능감, 비만스트레스 및 비만관련 삶의 질의 차이를 비교해보고,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인하여 비만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비만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건강관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J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설문에 응답할 것을 허락하고 동의서에 서명한 학생에게 설문지를 주고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대상자 수는 G*Power 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와 채소섭취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이효능감, 비만스트레스 및 비만관련 삶의 질을 비교해보고, 관련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미래의 간호사로서 대상자의 건강관리를 책임져야 할 간호대학생이 올바르고 균형 잡힌 식생활관리를 통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체질량지수와 채소섭취 행동변화단계별 식이효능감, 비만스트레스, 비만관련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바람직한 식생활을 포함한 건강관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미래의 바람직한 건강모델이 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식생활을 위해 체질량지수와 채소섭취 행동변화단계별로 식이효능감, 비만스트레스 및 비만관련 삶의 질 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 이들의 식생활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비만예방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을 포함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부지역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와 채소섭취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이효능감, 비만스트레스 및 비만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학생은 신체적 외모와 관련된 사회적 압력에 민감하며,이때는 신체적 자기평가를 포함한 개인의 정체성과 자신의 가치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Crocker & Wolfe, 2001). 그런데 대학생이 되면서 부모를 떠나 자취, 하숙, 기숙사 등 거주형태가 변화됨에 따라 비록 질병의 이환율은 낮은 시기이지만 학업 이외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기회가 많아 잦은 음주와 흡연, 외식 등이 일상화되어 있어 식습관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결식, 과식, 편식, 불규칙한 식사, 야식, 잦은 외식, 편의식품과 가공식품의 과잉섭취 및 섬유소의 섭취감소 등이 있으며, 건강상의 문제점으로는 비만, 저체중, 빈혈, 소화기계 질병, 변비 등이 보고되고 있다(You, Chin, Kim, & Chang, 2008).
우리나라의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소득수준의 향상, 외국과의 활발한 무역교류로 인한 식품산업의 발달 및 외식산업의 발달로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되고 있고, 가공식품과 인스턴트식품의 이용이 증가되면서 고지방 식품위주의 식습관으로 변화되면서 비만인구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일부 젊은 여성층에서는 정상체중이지만 마른체형을 선호하는 사회분위기로 인해 자신을 비만하다고 평가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체중감소를 시도하고 있고, 자신의 체형과 각종 대중언론매체에 등장하는 체형을 비교하여 스스로를 실제 체질량지수보다 비만이나 과체중으로 인식하여 자신감을 상실하거나 비만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인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Kang, 2012).
채소류를 1일 7회 섭취하도록 제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1). 채소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원이며 섬유소가 풍부하여 비만, 심혈관계 질환, 각종 암 등 생활습관 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매일 적절히 섭취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식사 구성안에서는 19세 이상 성인의 경우 1인 1회 분량으로 채소류를 1일 7회 섭취하도록 제시하고 있다(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 Kim, K. W. (2012). Beliefs regarding vegetable consumption,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1), 1-13.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Ben-Tovim, D. I., M. K., & Walker, M. K. (1991). The development of the Ben-Tovim & Walker Body Attitude Questionnaire (BAQ), a new measure of women's attitude toward their own bodies. Psychological Medicine, 21, 775-784. 

  4. Chaung, S. K., & Kim, C. G. (2007).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overweight and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4), 543-551. 

  5. Cho, S. J. (1996). The effect of female student's obese level and weight control behavior and attitudes on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6. Choi, M. Y., & Kim, H. Y. (2008).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r exercis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3(5), 653-662. 

  7. Crocker, J., & Wolfe, C. T. (2001). Contingencies of self-worth. Psychological Review, 108, 593-623. 

  8. Duval, K., Maceau, P., Perusse, L., & Lacasse, Y. (2006). An overview of obesity-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s, Obesity Reviews, 7, 347-360. 

  9. Hong, H. O., & Lee, J. S. (2006).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focused on the staple food and snack.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9(7), 699-706. 

  10. Hwang, J. H., & Lee, H. M. (2007). A study on lifestyl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2(4), 381-395. 

  11. Jang, H. B., Lee, H. Y., Han, Y. H., Song, J., Kim, K. N., & Hyun, T. (2011). Chang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1999 and 2009.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6(3), 324-336. 

  12. Jeong, M. S. (2005). The comparison of obesity-related stress, diet habit,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and level of quality of life on environment of life for middle age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of Korea, Seoul. 

  13. Jin, Y. H., & You, K. H. (2010). A study on the eating habit and eating out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5(5), 687-693. 

  14. Kang, G. S. (2012). The body mass index(BMI), body image recognition, weight control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8), 3492-3499. 

  15. Kang, H. J., & Byun, K. W. (2010). Effect of two-year course of food and nutrition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food habits of junior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15(6), 750-759. 

  16. Kim, K. 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2), 181-191. 

  17. Kim, S. K., Lee, M. S., Hong, J. Y., & Na, B. J. (2010). A Study on eating attitude, and obesity stres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Proceedings of Spring Conference, 906-909. 

  18.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530-535. 

  19. Kwon, Y. S. (2008). A Study on obesity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431-442. 

  20. Lee, H. J. (2013). Influence on in-dorm university students' body-shape perception, obesity, and weight control toward obesity stres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1), 573-583. 

  21. Na, S. Y., Ko, S. Y., Eom, S. H., & Kim, K. W. (2010).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5(3), 329-341. 

  22. Park, J. Y. (2011). The BMI, body recognition, and weight control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 of Nursing, 18(4), 444-451. 

  23. Park, H. S., Sun, W. S., Ou, S. W., Lee, K. Y., Kim, B. S., Han, J. H., et al. (2003).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2(4), 280-292. 

  24.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83). Stage and process of self-change in smoking-Towards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 390-395. 

  25. Prochaska, J. O., Redding, C. A., & Evers, K. E. (2008). The transtheoritical model and stages of change. In K. Glanz, B. K. Rimer, & K. Viswanath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4th ed., Jossey-Bass, CA, 97-108. 

  26. Song, M. R., Lee, H. W., Jo, J .Y., & Kim, E. K. (2010). Analysis of women's body mass index, weight perception and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 of Nursing, 17(3), 419-426. 

  27. Suh, Y. S., & Chung, Y. G.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on the improvement of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re-action stag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3(6), 597-606. 

  28. Yang, H. Y., & Byeon, Y. S. (2012). Weight control behavior in women college students and factors influencing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 of Nursing, 19(2), 190-200. 

  29. Yoon, J. W. (2002). Effects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self-efficacy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of Korea, Busan. 

  30. You, J. S., Chin, J. H., Kim, M. J., & Chang, K. J. (2008).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by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in Incheon area.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1(8), 818-8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